심사평가원, 의약품종합정보시스템 정보화사업 실무자 목소리 귀기울여

온라인 중앙일보

입력

건강보험심사평가원(원장 강윤구) 의약품관리종합정보센터가 의약품 제조․수입사, 도매업체 및 의약품관리 SW공급업체를 대상으로 서울 등 전국 5개 지역을 순회하면서 정보화사업 추진방향을 설명하고 업계 의견을 수렴하는 실무협의회를 열었다.

이번 실무협의회는 241개 제약사 410명과 611개 도매업체 648명, 32개 SW공급업체 40명이 참여했으며, 제약사 및 도매업체에 대한 전산환경 파악과 더불어 일선에서의 애로사항 및 의견을 수렴, 시스템 설계에 반영함으로써 사용자 중심의 정보시스템을 구축, 의약품 공급업체 등에 완성도 높은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내년 1월 1일부터 보건복지부 고시 '의약품바코드와 RFID 태그의 사용 및 관리요령'에 의거 의약품 RFID tag 또는 확장바코드의 선택 사용이 가능하고, 전문의약품에 로트(제조)번호, 유통기한 표기가 의무화된다. 이에 따라 심사평가원은 의약품종합정보시스템 정보화사업을 추진 중이다.

이 정보화사업은 제조․수입사에서 RFID 태그부착 의약품에 대하여 출고 전에 의약품정보센터에 보고한 로트(제조)번호, 유통기한을 도매업체 등에 제공하는「의약품유통정보연계시스템」, 식약청에서 규격(함량)․중금속시험 부적합 등으로 회수․판매 중지된 의약품정보를 공급업체 관리프로그램과 실시간 연동하여 의약품 출고(出庫)시점에서 차단하는「위해의약품차단시스템」,「의약품유통통계정보공개시스템」등이 포함 돼 있다.

정보화사업은 2013년 4월까지 완성해 5월부터 서비스를 제공 할 예정이다. 2013년도 1월 1일부터는 우선적으로 RFID 태그 부착 의약품에 대한 로트(제조)번호, 유통기한 정보를 의약품정보센터 홈페이지(www.kpis.or.kr)에서 의약품 도매업체 등에 제공키로 했다.

정보시스템 구축이 완료되면 안전성에 문제가 있는 의약품을 공급되기 이전에 차단함으로써 위해 의약품의 유통․확산을 방지해 의약품 공급업체에 대한 행정처분 방지는 물론 국민의 안전한 의약품 사용을 도모하게 된다.

또 의약품 유통 통계정보를 신속하게 공개함으로써 국민의 알권리를 충족시키고, RFID 유통정보를 연계하여 의약품 공급업체에 원활한 업무지원 기반을 마련하는 등 의약품 유통 선진화를 한 단계 업그레이드(up-grade) 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의약품정보센터 관계자는 말했다.

[인기기사]

·연말, 밀린 잠 한꺼번에 보충하려다간… [2012/12/18] 
·풀무원, 임원 11명 승진 인사 [2012/12/18] 
·풀무원, 전업주부·취업주부 모니터 모집 [2012/12/18] 
·파스쿠찌, 크리스마스 케이크 4종 출시 [2012/12/18] 
·풀무원녹즙 홍삼순액 '아침홍삼' 건강기능식품 인증 [2012/12/18] 

이민영 기자 tia@joongang.co.kr <저작권자 ⓒ 중앙일보헬스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위 기사는 중앙일보헬스미디어의 제휴기사로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중앙일보헬스미디어에 있습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