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산역세권개발 사업 중단 위기…사업비 마련 무산

조인스랜드

입력

업데이트

[박일한기자] 사업비가 31조원인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사업이 좌초 위기에 몰렸다. 전환사채(CB) 발행을 통해 심각한 자금난을 해결하려 했지만 실패했다.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 사업 추진 회사인 드림허브프로젝트금융투자회사(PFV·이하 드림허브)는 12일 30개 출자사를 대상으로 2500억원 규모의 CB 발행을 위한 청약 결과 한 곳도 참여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드림허브측은 이날 코레일(25.0%), 롯데관광개발(15.1%), KB자산운용(10.0%), 푸르덴셜부동산투자(7.7%), 삼성물산(6.4%) 등이 지분 비중 만큼 CB를 인수할 것으로 기대했으나 발행이 무산됐다.

1대 주주인 코레일은 다른 출자사들이 청약에 참가하지 않는다는 이유 등으로 CB 발행에 참여하지 않았다. 롯데관광개발은 코레일이 참여하지 않으면 의미 없다고 판단해 추가 투자를 포기했다.

CB 발행 쉽지 않을 듯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사업은 당장 디폴트(채무불이행) 상황에 빠지지 않지만 극심한 자금난으로 정상적인 사업 추진이 어려울 전망이다. 드림허브는 현재 190억원 정도를 가지고 있어 17일로 다가온 금융 이자(121억원)는 해결할 수 있다. 드림허브 관계자는 “이번에 돌아오는 이자와 1월에 내야 하는 은행 이자 46억원까지는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위기는 계속될 수밖에 없다. 종합부동산세(156억원)와 646억원에 달하는 설계비, 271억원 규모의 토지정화공사비 등을 내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자금을 못 받은 회사는 드림허브를 상대로 소송을 걸어 남은 자산에 대한 가압류를 신청할 수 있다.

드림허브는 조만간 긴급 이사회를 열어 CB발행 계획을 추가 논의할 계획이다. 주요 빌딩의 시공권을 연계해 외부 투자자를 대상으로 CB발행을 논의할 계획이다.

하지만 용산국제업무 개발 방식을 둘러싸고 대주주간 갈등이 여전하고 개발사업 전망도 어두워 CB 발행에 참여할 곳이 나올 가능성은 크지 않다.

코레일은 철도정비창을 먼저 개발하고 서부이촌동을 나중에 개발하는 ‘단계적 개발’을 계속 고집하고 있다. 반면 2대 주주인 롯데관광개발은 당초 계획대로 철도정비창과 서부이촌동을 동시에 개발하는 ‘통합 개발’이 현실적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드림허브 관계자는 “드림허브 대주주간 갈등을 해결하고 자금마련에 적극 동참하겠다는 의지가 없는 한 사업을 사실상 파산 수순을 밟을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그동안 이 사업에는 땅값과 대출이자·공사비·운영비 등에 총 1조5600억원이 투입됐다.

<저작권자(c)중앙일보조인스랜드. 무단전제-재배포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