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 군 대체복무 도입 공약했는데 …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민주통합당 문재인 후보가 10일 기자회견을 하고 양심적 병역 거부자에 대한 대체 복무제 도입을 공약으로 제시했다.

 대체복무제는 양심이나 종교적 이유로 병역·집총을 거부하는 이들이 병역법에 따라 징역형을 받는 대신 군복무 기간 또는 그 이상을 사회복무요원이나 사회공익요원, 재난구호요원 등으로 근무할 수 있게 하는 제도다. 병역의무를 합법적으로 기피하는 길을 열어준다는 비판, 그리고 군에 복무하는 젊은이들과 형평에 맞지 않는다는 지적이 제기돼 왔다. 이에 대해 문 후보는 “대체 복무 내용을 군복무 이상으로 강도를 높이고 기간도 1.5배 정도로 해 더욱 무거운 제도로 만들 수 있다”고 말했다.

 대체복무제는 사회적으로 찬반이 팽팽하게 맞서는 이슈다. 17대 국회에선 열린우리당 임종인, 민주노동당 노회찬 의원이 각각 발의했고 18대 국회에선 민주당 김부겸, 민주노동당 이정희 의원이 각각 발의한 적이 있다. 하지만 두 차례 모두 반대 여론에 밀려 국회 상임위에서 계류되다 자동 폐기됐다. 또 2005년엔 대법원의 입영 거부자 유죄 확정 판결, 헌법재판소의 병역법 합헌 결정이 났다. 반면 같은 해 국가인권위원회는 양심적 병역 거부 인정과 대체복무제 도입을 권고하면서 사법부와는 다른 입장을 내놨다.

 명지대 김형준(정치학) 교수는 “그동안 어젠다 측면에서 새누리당 박근혜 후보에게 밀렸던 문 후보가 ‘인권 대통령’이라는 어젠다로 부동층을 공략하려 한 것”이라고 풀이했다.

 인터넷 공간에선 찬반 논란이 뜨겁다. 아이디 indigopastel은 “나는 무슨, 양심이 없어서 병 전역하고 부사관까지 연장 복무했나. 여호와의 증인 신도 늘어나는 소리 좀 안 나게 해라”고 트위터에 썼 다.

 반면 아이디 jeongonceaday는 “종교적 신념에 따라 병역을 거부했다고 감옥에 집어넣는 것은 인권을 중시하는 국가에서 할 일이 아니다”며 찬성했다.

류정화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