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공항 라운지] 기내 몰래 흡연 ‘꼼짝 마’… 화장실 곳곳 첨단장치

    지난달 김포에서 출발한 김해행 항공기 화장실에서 담배를 피운 여대생 A씨(23). A씨는 승무원에 의해 적발돼 김해에 도착하자마자 공항경찰대로 넘겨졌고 50만원의 벌금을 물고서야

    중앙일보

    2009.03.02 01:50

  • 또 반복된 물류창고 참사 … “자동소화장치들 전혀 작동 안 했다”

    또 반복된 물류창고 참사 … “자동소화장치들 전혀 작동 안 했다”

    5일 발생한 경기도 이천시 마장면 장암리 소재 서이천물류창고 화재 사고의 실종자인 이현석(26)씨의 시신이 7일 낮 창고 지하에서 발견됐다. 이로써 이 사고로 인한 사망자는 7명이

    중앙일보

    2008.12.08 02:44

  • 숭례문 화재 100일 … “옛 위용 되찾게 복구” 계획 발표

    숭례문 화재 100일 … “옛 위용 되찾게 복구” 계획 발표

    숭례문 화재 100일을 맞은 20일 문화재청이 ‘숭례문 복구 기본계획’을 발표했다. 이건무 문화재청장은 “현재 숭례문의 지반은 100년 전보다 1.6m 올라와 있는 상태이기 때문

    중앙일보

    2008.05.21 02:50

  • 제주도, 아파트 가스 경보기 설치 의무화

    제주도는 최근 잇따르는 LP가스 폭발사고와 관련, 20가구 이상 공동주택에 대해 가스 누설 경보기 설치를 의무화하는 등 종합 안전관리 대책을 추진하기로 했다. 이 대책에 따르면 도

    중앙일보

    2008.05.07 01:20

  • 문화재 관리 어떻게 … 목조건물 140채 창덕궁, CCTV는 2대뿐

    문화재 관리 어떻게 … 목조건물 140채 창덕궁, CCTV는 2대뿐

    흥인지문엔 적외선 감지기가, 돈화문에는 감시 카메라가 설치돼 있다. [사진=박종근 기자]‘국보 1호’ 숭례문이 화마(火魔)로 소실된 지 10일로 딱 한 달이 된다. 시커멓게 타버린

    중앙일보

    2008.03.10 02:15

  • 중구청, “숭례문 방화는 면책” 황당한 계약

    국보1호 숭례문의 관리 책임을 맡고 있는 서울 중구청이 지난해 12월 KT텔레캅과 경비용역을 맺으면서 방화 등에 대해선 면책 조항을 둔 것으로 드러나 논란이 일고 있다. 15일 서

    중앙일보

    2008.02.16 04:55

  • 문화재 방재 일본 1인자 하타케야마 슈지

    문화재 방재 일본 1인자 하타케야마 슈지

    일본 전국에서 35년간 중요 문화재의 방재를 전문적으로 처리해 온 아즈사설계콘설턴트 하타케야마 슈지 사장이 와카야마(和歌山)현의 고가와사(粉河寺)에서 물길이 25m까지 치솟는 방수

    중앙일보

    2008.02.15 05:00

  • 숭례문 화재, 중구청 문화재청 관계자 줄소환… CCTV 추가 공개

    국보 1호 숭례문 방화사건을 수사 중인 서울 남대문경찰서는 14일 서울 중구청과 문화재청, 소방당국 등 행정기관과 경비업체 책임자들을 잇달아 소환, 책임소재를 가리기 위한 수사에

    중앙일보

    2008.02.14 08:20

  • “혹시 우리 고장 목조문화재도?”

    “혹시 우리 고장 목조문화재도?”

    숭례문 화재가 있었던 다음날인 11일 오전 충북 보은군 속리산 법주사 팔상전(국보 55호) 앞. 보은군과 보은119안전센터가 대형 굴절사다리 차량을 동원해 실전을 방불케 하는 소

    중앙일보

    2008.02.14 04:58

  • 숭례문은 노숙자들의 ‘놀이터’ 였다

    10일 화재로 전소된 숭례문(남대문)은 경비 허술로 인근 노숙자들의 ‘놀이터’였다고 13일자 조선일보가 보도했다. 노숙자들은 “숭례문 누각은 시원하기 때문에 여름이면 고참 노숙자들

    중앙일보

    2008.02.13 08:57

  • 문화재청, 숭례문 ‘화재 위험’ 사전 경고 무시

    숭례문이 관리 소홀로 화재위험에 노출돼 있었다는 점을 문화재청도 이미 알고 있었던 것으로 드러났다. SBS TV 보도에 따르면 2005년 4월 양양 낙산사 화재를 계기로 문화재청은

    중앙일보

    2008.02.13 08:49

  • 자금성, 화재 막으려 식당선 가스 못 써

    자금성, 화재 막으려 식당선 가스 못 써

    세계 각국은 중요문화재를 화재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꼼꼼한 대비를 하고 있다. ◇매년 실전 훈련하는 일본=일본에서는 매년 1월 26일 ‘문화재 방재의 날’을 전후해 전국 지방자치단

    중앙일보

    2008.02.13 04:45

  • 숭례문 화재 … 왜 불씨 못 잡았나

    숭례문 화재 … 왜 불씨 못 잡았나

    화재 발생부터 화마(火魔)가 본격적으로 숭례문을 덮칠 때까지 3시간이나 있었다. 이 시간 동안엔 연기만 올라왔을 뿐이다. 불기둥은 보이지 않았다. 왜, 소방 당국은 불씨를 못 잡

    중앙일보

    2008.02.12 04:42

  • 숭례문 우리가 태웠다

    숭례문 우리가 태웠다

    누가 숭례문에 불을 질렀는가. 국보 1호를 누가 불태웠는가. 허술한 문화재 관리 시스템, 한심하기 짝이 없는 화재 대처 능력, 관련기관 간 책임 미루기 등 다양한 분석이 제기되고

    중앙일보

    2008.02.12 04:26

  • [분수대] 불탄 숭례문

    [분수대] 불탄 숭례문

    승려에게 낮잠은 금기다. 게으름은 수행을 방해한다고 본다. 1400년 고찰인 전북 김제의 금산사. 오층석탑·당간지주·석련대 등 11점의 보물을 품고 있다. 나무로 된 미륵전과 대장

    중앙일보

    2008.02.11 20:40

  • 네티즌 "흥인지문도 홀딱 탈라" 안전대책 촉구

    네티즌 "흥인지문도 홀딱 탈라" 안전대책 촉구

    ‘국보 1호’ 숭례문이 화재로 전소되면서 네티즌들은 “흥인지문(동대문)만은 지켜달라”며 ‘보물 1호’의 안전에 촉각을 기울이고 있다. 서울 종로구가 관리하고 있는 흥인지문은 평일

    중앙일보

    2008.02.11 18:16

  • 경보장치 하나 없어 화재 무방비

    불이 난 숭례문은 조선 초기 목조 건축물로는 서울에 유일하게 남아 있는 귀한 문화유산이다. 하지만 이 ‘국보 1호’가 방화 등 돌발적인 화재 위험에 노출돼 온 것으로 드러났다. ◇

    중앙일보

    2008.02.11 04:34

  • 광주 지하철1호선 전 구간 개통

    광주 지하철 1호선 전 구간이 3월 27일 정식 개통된다.  광주시는 13일 “도시철도 1호선 2구간 8.14㎞ 선로와 토목공사,전기·통신 설비공사 등이 7년여 만에 모두 마무리

    중앙일보

    2008.01.14 06:03

  • 일본, 72년 118명 숨진 화재 뒤 이렇게 바뀌었다

    일본, 72년 118명 숨진 화재 뒤 이렇게 바뀌었다

    일본 도쿄(東京) 시내 이케부쿠로(池袋)와 신주쿠(新宿)를 연결하는 신주쿠선 지하차도는 길이 6.7㎞의 지하 고속도로다. 시속 80㎞로 운전하면 약 5분 걸린다. 이곳은 안전대국

    중앙일보

    2008.01.12 04:52

  • [Creative CEO] “한강 둔치 쥐떼를 소탕하라”

    ‘쥐 잡는 날’을 최초로 제안했던 전순표(73) 세스코 회장. 그는 우리나라 ‘쥐박사 1호’다. 그것도 영국 정부의 지원을 받는 장학생으로 영국 본토에서 공부한 유학파 엘리트.

    중앙일보

    2007.11.30 14:19

  • [바둑] '제 12회 삼성화재배 세계바둑오픈' 전기 우승자 VS 이세돌

    [바둑] '제 12회 삼성화재배 세계바둑오픈' 전기 우승자 VS 이세돌

    '제 12회 삼성화재배 세계바둑오픈' ○·창하오 9단(중국) ●·이세돌 9단(한국)  이세돌 9단 대 창하오 9단. 비록 8강전이지만 결승전에 필적하는 빅카드다. 이창호 9단에게

    중앙일보

    2007.10.31 20:03

  • 콘서트 열릴 땐 좌석이 앞으로 이동

    콘서트 열릴 땐 좌석이 앞으로 이동

    도쿄돔 내부 모습. 일본 최초의 돔구장으로 마운드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등 최첨단 설치를 갖췄다. 중앙포토 요미우리 자이언츠의 홈구장인 도쿄돔. 겉모습이 달걀과 비슷해 빅

    중앙선데이

    2007.10.28 03:51

  • 일본 니가타현 6.8 강진 … 원전 방사능 첫 누출

    일본 니가타현 6.8 강진 … 원전 방사능 첫 누출

    16일 발생한 니가타(新潟)현 지진의 영향으로 인근 원자력발전소에서 방사성 물질이 바다로 누출되는 사고가 발생, '원전 안전관리 대국'을 자랑하던 일본에 충격을 주고 있다. 일본에

    중앙일보

    2007.07.18 04:31

  • 일본 강진 … 원전 방사능 물질 누출

    일본 강진 … 원전 방사능 물질 누출

    16일 오전 10시 13분 동해와 접한 일본 니가타(新潟)현과 나가노(長野)현 북부 지역을 중심으로 리히터 규모(M) 6.8의 강력한 지진이 발생했다. 이로 인해 무너진 집 건물

    중앙일보

    2007.07.17 04: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