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평화와 공존 4강 정상 신년 키워드

    평화와 공존 4강 정상 신년 키워드

    2006년 새해를 맞아 세계 각국 정상들이 신년사를 발표했다. 지난 한 해를 되돌아보고 새로운 한 해를 구상하는 내용이다. 조지 W 부시 미국 대통령은 지난해 12월 31일 휴가지

    중앙일보

    2006.01.02 06:08

  • 후진타오 "중·대만 경제통합 추진"

    중국의 후진타오(胡錦濤) 국가주석과 롄잔(連戰) 대만 국민당 주석은 29일 오후 100분 동안 만났다. 후 주석의 말대로 '봄바람'처럼 화기애애한 분위기였다. 60년 만에 제3차

    중앙일보

    2005.04.29 19:53

  • 롄잔 대만 야당주석 방중 … 중국·대만 화해 물꼬 트이나

    롄잔 대만 야당주석 방중 … 중국·대만 화해 물꼬 트이나

    ▶ 롄잔 대만 국민당 주석(첫줄 가운데)이 26일 중국 난징 공항에 도착해 인사하고 있다(사진위). 그가 대만을 떠나기 전 공항 출국장 밖에서는 그의 방중에 반대하는 군중이 시위를

    중앙일보

    2005.04.27 05:28

  • 둥젠화 홍콩 행정장관 사퇴

    둥젠화 홍콩 행정장관 사퇴

    홍콩의 둥젠화(董建華.사진) 행정장관이 10일 오후 사퇴했다. 둥 장관은 이날 "중앙정부에 사퇴를 요청했다"고 말했다. 그는 1997년 홍콩의 주권이 중국으로 회귀된 이후 7년여

    중앙일보

    2005.03.10 21:42

  • [마 카오 중국반환 5주년] '한 국가 두 체제' 실험 성공

    [마 카오 중국반환 5주년] '한 국가 두 체제' 실험 성공

    ▶ 20일 마카오 경찰이 중국 반환 5주년을 기념해 중국 국기인 오성홍기와 마카오 특별행정자치구기를 함께 게양하고 있다.[마카오 AP=연합] 중국의 최고 지도자인 후진타오(胡錦濤)

    중앙일보

    2004.12.20 19:18

  • [홍콩 반환 7주년] '반중국 정서' 가라앉았다

    [홍콩 반환 7주년] '반중국 정서' 가라앉았다

    홍콩이 중국에 반환된 지 1일로 7년이 지났다. 일국양제(一國兩制)는 성공한 것일까. 한 나라에 두 체제가 존재할 수 있는 걸까. 중국과 홍콩의 겨루기가 흥미진진하다. "시위를

    중앙일보

    2004.06.30 17:53

  • [홍콩에서] 佛心 이용 '反中 달래기'

    석가탄신일을 맞아 홍콩은 뜻밖의 경사를 맞았다. 중국 대륙이 애지중지하는 '불지사리(佛指舍利)'와 20여점의 다른 국보를 홍콩에 보낸 것이다. 불지사리는 1987년 산시(陝西)성

    중앙일보

    2004.05.26 18:40

  • 中, 홍콩 직선제 거부

    중국의 전국인민대표대회(全人大.의회 격)가 6일 홍콩의 민주화 개혁은 중앙 정부가 결정할 사안이라는 결정을 내렸다. 홍콩의 민주파 정당과 시민단체들은 "홍콩의 자치와 민주를 짓밟는

    중앙일보

    2004.04.06 20:47

  • 홍콩 反中 시위… 행정수반 직선제 등 요구

    홍콩 反中 시위… 행정수반 직선제 등 요구

    ▶ 2일 홍콩 정부청사 앞에서 행정수반 및 입법의원 직선제를 주장하며 시위를 벌이고 있는 시민들이 경찰과 몸싸움을 벌이고 있다. [홍콩 AP=연합]홍콩에서 민주화를 요구하는 반(反

    중앙일보

    2004.04.02 19:50

  • [대만 총통선거 보름 앞으로] '중국과 절연' 놓고 팽팽한 표심

    [대만 총통선거 보름 앞으로] '중국과 절연' 놓고 팽팽한 표심

    대만은 중화민국의 일부인가, 아니면 중국과는 무관한 별개의 국가인가. 20일 열리는 대만 총통 선거의 화두다. 천수이볜(陳水扁) 현 총통은 별개의 국가론을, 국민당과 여기서 갈려

    중앙일보

    2004.03.04 18:12

  • [홍콩에서] 부활하는 鄧小平 어록

    홍콩의 친(親)중국계 신문인 문회보는 20일 덩샤오핑(鄧小平)의 사진과 홍콩 관련 어록을 1면부터 4개 면에 쫙 깔았다. "홍콩의 지도자는 애국자를 주체로 해야 한다"는 요지의 발

    중앙일보

    2004.02.20 18:47

  • [反中 열풍 거세지는 홍콩] 國安法·불황에…"본토가 싫다"

    중국은 홍콩에 '한 국가 두 체제(一國兩制)'를 인정하고, '홍콩인들이 스스로 홍콩을 다스리게 한다(港人治港)'고 공언해 왔다. 하지만 지난 1일 발생한 '50만 대시위'는 중국식

    중앙일보

    2003.07.21 18:00

  • "홍콩 국가안전 조례 입법 강행땐 신문사 문 닫겠다"

    "홍콩 정부가 '국가안전 조례' 입법을 밀어붙이면 신문사를 팔고 문을 닫겠다." 홍콩의 지식인들이 즐겨찾는 신보(信報)의 창업자 린산무(林山木.61)사장이 4일 폭탄선언을 했다.

    중앙일보

    2003.07.04 18:07

  • 등돌린 민심에 둥젠화號 위기

    홍콩의 총리격인 둥젠화(董建華) 수반의 내각이 위기에 빠졌다. 홍콩 사회가 董내각의 친(親)중국 행보와 '홍콩판 국가보안법'인 국가안보조례(일명 기본법 23조)의 입법 강행에 대대

    중앙일보

    2003.07.02 18:01

  • [반환 6주년 맞은 홍콩] 中서 기업 흡수 … 경제 내리막

    한 나라에 두 개의 체제를 용인한다는 ‘일국양제(一國兩制)’를 내걸고 홍콩을 되돌려 받은 지 6년이 지났다. 중국의 홍콩경영을 점검한다. "이대로라면 홍콩의 미래는 암울하다." 시

    중앙일보

    2003.06.30 17:21

  • "中 - 홍콩 무관세, 경제통합 앞당길 것"

    사오산보(邵善波.53.사진) 일국양제(一國兩制)연구센터 총재는 "홍콩과 상하이(上海)는 그 기능이 서로 다르다"고 단언했다. 예컨대 다국적 기업들이 홍콩에 '아시아 지역본부'를,

    중앙일보

    2003.06.30 17:20

  • [동서남북] 중국 접경지역 불야성 영업

    "홍콩과 중국이 드디어 24시간 내내 통하게 됐다." 중국의 경제특구인 선전(深)에서 봉고차로 관광객을 실어나르는 양밍다(楊明達.49)씨는 춘절(春節.설날) 연휴기간 중 '전일(全

    중앙일보

    2003.02.04 18:37

  • 바로잡습니다

    ◇9월 23일자 3면 '북한·중국 경제특구 비교표' 가운데 홍콩특별행정구의 일국양제(一國兩制)에서 1997년 이후 중국의 사회주의 속에 자본주의를 인정한 기간은 5백년간이 아니라

    중앙일보

    2002.09.25 00:00

  • 北주민 외엔 모두 '無비자' 달러 통용… 한·중·영어 사용

    24일 북한 신의주 특별행정구 초대 행정장관으로 임명된 양빈(楊斌·39) 어우야(歐亞)그룹 회장은 임명되기 전날인 23일 "특구에 유럽식 입법·사법 제도를 도입할 것"이라며 "초

    중앙일보

    2002.09.25 00:00

  • 신의주 특구 초대장관 양빈

    [홍콩=이양수·베이징=유광종 특파원] 북한은 24일 신의주 특별행정구 초대 행정장관에 중국의 2대 부호인 양빈(楊斌·39·사진) 어우야(歐亞)그룹 회장을 공식 임명할 것이라고 C

    중앙일보

    2002.09.24 00:00

  • 타이밍 맞춘 신의주 구상

    동북아 정세가 숨가쁘게 돌아가고 있다. 신의주를 특별행정구로 한다는 북한의 발표 속에 미국의 조지 W 부시 대통령은 20일 '국가안보전략보고서'에서 북한을 '악의 축'으로 재지명

    중앙일보

    2002.09.24 00:00

  • [신의주 특구] 중국 개혁초기보다 과감한 개방

    북한의 신의주 경제특구는 개방 초기 자본주의 방식을 수용하는 데 따른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경제 발전의 거점으로 삼기 위해 해안선을 따라 특구를 지정했다는 점, 자본주의 홍콩을 사

    중앙일보

    2002.09.23 00:00

  • 대북문제 韓·日공조… 효과 미지수

    김대중(金大中)대통령과 고이즈미 준이치로(小泉純一郞)일본 총리가 22일 양국 정상회담에서 북·미 대화를 촉구했다. 한·일 양국이 이처럼 한반도 문제에 대해 공동의 목소리를 내는

    중앙일보

    2002.09.23 00:00

  • 신의주에 입법·사법·행정권

    북한이 지난 12일 특별행정구(특구)로 지정한 신의주시에 별도의 입법·사법·행정권을 부여하는 법률을 채택한 것으로 22일 밝혀졌다. 이에 따라 50년간 이 지역의 토지가 임대되며

    중앙일보

    2002.09.23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