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고대사에 깃든 디지털 신기술, 성큼 다가오는 고구려

    고대사에 깃든 디지털 신기술, 성큼 다가오는 고구려

    국립중앙박물관 고구려 실감영상관에서 만날 수 있는 평안남도 남포시 덕흥리 고분 내부 모습. 2006년 남북한 공동조사 당시 사진자료와 북한 측이 그린 모사도 등을 바탕으로 디지털

    중앙일보

    2024.02.15 00:11

  • 디지털 고구려, 더 실감 나네…광개토대왕비·고분벽화의 비밀

    디지털 고구려, 더 실감 나네…광개토대왕비·고분벽화의 비밀

      24일 서울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 상설전시관에 디지털 광개토대왕릉비가 설치돼 있다. 디지털 광개토대왕릉비는 높이 8m(받침대 제외 7.5m), 너비 2.6m 규모로, 한학자

    중앙일보

    2024.02.14 14:54

  • 우뚝선 7.5m 디지털 광개토대왕비

    우뚝선 7.5m 디지털 광개토대왕비

    광개토대왕릉비 원석탁본을 소장하게 된 국립중앙박물관이 고구려실을 개편하고 고구려 콘텐트를 강화한다. 올해 선사·고대관을 전편 개편할 방침인 박물관 측은 우선 상설전시관 로비(‘역

    중앙일보

    2024.01.25 00:01

  • 디지털타워로 거듭난 광개토대왕릉비…박물관 고구려실 2배 넓힌다

    디지털타워로 거듭난 광개토대왕릉비…박물관 고구려실 2배 넓힌다

    24일 서울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 상설전시관에 디지털 광개토대왕릉비가 설치돼 있다. 디지털 광개토대왕릉비는 높이 8m, 너비 2.6m 규모로, 한학자 청명(靑溟) 임창순(1914

    중앙일보

    2024.01.24 14:37

  • 물길 변경 등 10여 개 방안 검토 최근 투명 댐 타당성 기초 조사

    물길 변경 등 10여 개 방안 검토 최근 투명 댐 타당성 기초 조사

    완성된 카이네틱 댐 개념도. [자료 문화재청] 지난 10년간 반구대 암각화 보존을 위해 많은 방안이 제시됐었다. 가장 먼저는 2003년에 나왔다. 문화재청이 ▶사연댐 수위조절 ▶계

    온라인 중앙일보

    2013.10.27 09:11

  • 물길 변경 등 10여 개 방안 검토 최근 투명 댐 타당성 기초 조사

    물길 변경 등 10여 개 방안 검토 최근 투명 댐 타당성 기초 조사

    완성된 카이네틱 댐 개념도. [자료 문화재청] 관련기사 반구대 댐 수위 51m 만 돼도 울산시 물 부족 현상 없었는데… 6000년 비바람도 견뎠다 … 그림으로 쓴 이 땅의 첫 역

    중앙선데이

    2013.10.27 01:32

  • 95세 서예가, 매일 약주하며 명작을…

    95세 서예가, 매일 약주하며 명작을…

    소지 선생이 친구와 술을 마신 뒤 즉석에서 쓴 이태백의 ‘산중대작(山中對酌)’. 소지 선생이 행서로 쓴 글씨 중대표작으로 꼽힌다. 작품 속의 취(醉?오른쪽에서 셋째 줄 맨 윗 글씨

    중앙일보

    2012.07.21 01:36

  • 日 교과서를 바꾼 책 국내선 절판돼 아쉬워

    “4세기에 들어오자 야마토 정권의 세력은 조선반도에 진출하여 아직 소국가군 상태에 있었던 변한을 영토로 하고 이곳에 임나일본부를 두고, 392년에는 또다시 군대를 보내어 백제·신라

    중앙선데이

    2008.07.20 00:29

  • ‘좋은 책 선정위원회’가 고른 新고전(26) 『광개토왕릉비의 연구(廣開土王陵碑の硏究)』

    ‘좋은 책 선정위원회’가 고른 新고전(26) 『광개토왕릉비의 연구(廣開土王陵碑の硏究)』

    1972년 재일교포 사학자 이진희 교수가 도쿄의 길천홍문관(吉川弘文館)에서 『광개토왕릉비의 연구(廣開土王陵碑の硏究)』(일조각, 1982)를 출간할 당시만 해도 일본은 물론 동아시

    중앙선데이

    2008.07.20 00:28

  • "외교·문화부 등 공조 필요"

    중국은 지린성(만주 지역)의 광개토왕비를 자기 나라의 유적이라며 세계문화 유산에 등재하는 데 성공했다. 이제 백두산도 세계유산에 등재하려고 한다. 이에 대한 한국 외교부의 대응은

    중앙일보

    2006.09.09 04:45

  • [사람 사람] 박한설씨, 국내성 천도 기념우표 등 자비로 발행

    [사람 사람] 박한설씨, 국내성 천도 기념우표 등 자비로 발행

    "이 우표와 엽서가 고구려에 대한 관심을 높일 수 있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합니다." 중국이 고구려를 자신들의 역사로 편입하려는 이른바 '동북공정(東北工程)'이 논란인 가운데 예맥

    중앙일보

    2004.02.05 18:08

  • [고구려는 살아있다] 4. 중국의 입장과 의도

    [고구려는 살아있다] 4. 중국의 입장과 의도

    고구려사에 대한 중국 학계의 입장은 구체적으로 무엇인가. 중국 동북지역 역사연구의 권위자인 쑨진지(孫進己) 선양(瀋陽) 동아(東亞)연구센터 주임이 본지에 기고문을 보내왔다. 孫주

    중앙일보

    2004.01.25 16:06

  • 네티즌 '고구려 지킴이 운동' 빛본다

    고구려사를 자국의 역사에 포함하려는 중국의 '동북공정(東北工程)' 프로젝트에 대항한 네티즌들의 '고구려 지킴이 운동'이 힘을 얻어가고 있다. 미국의 일간지 워싱턴포스트는 지난 22

    중앙일보

    2004.01.25 11:15

  • 中, 고구려 유적 대대적 정비 나서

    中, 고구려 유적 대대적 정비 나서

    중국의 고구려 유적들이 달라지고 있다. 이는 내년 고분 벽화를 세계문화유산으로 등록하기 위한 절차로 보인다. 고구려연구회 서길수(59.서경대 교수)회장이 지난달 말 KBS '일요스

    중앙일보

    2003.10.13 17:37

  • "고구려 첫 首都는 오녀산성"

    6일 코엑스 특별전시장에서 막을 올린(3월 5일까지) '특별기획전 고구려!-평양에서 온 고분벽화와 유물'은 고구려 문화의 정수를 맛볼 수 있는 살아있는 '역사 교실'이다. 고구려

    중앙일보

    2002.12.10 00:00

  • [독서 칼럼] 다시 역사란 무엇인가

    광화문에서 금화터널을 나와 신촌으로 향하기 전 안산(鞍山) 기슭에 봉원사(奉元寺) 라는 오래 된 절이 있다. 필자가 근무하고 있는 대학으로부터 멀지 않아 점심 때 가끔 산책을 가곤

    중앙일보

    2001.12.15 10:23

  • [독서 칼럼] 다시 역사란 무엇인가

    광화문에서 금화터널을 나와 신촌으로 향하기 전 안산(鞍山) 기슭에 봉원사(奉元寺)라는 오래 된 절이 있다. 필자가 근무하고 있는 대학으로부터 멀지 않아 점심 때 가끔 산책을 가곤

    중앙일보

    2001.12.15 00:00

  • 사이버사학자 '김상' 고대사 책 출간

    인터넷을 통한 토론문화가 활성화되면서 사이버 한국 고대사학계에도 새로운 문화, 새로운 시대에 걸맞은 스타가 탄생하고 있다. 이런 과정을 거쳐 유명세를 타고 있는 사이버 역사학자중에

    중앙일보

    2001.02.06 09:58

  • 이이화'한국사이야기' 발간기념 고구려·발해 탐방

    그들은 역사학자가 아니다. 그러나 과거와 현재의 대화를 통한 자기점검은 신분.나이를 초월한 작업임에 분명할 터. 지난달 28일 시작해 6박7일 동안 진행된 '고구려.발해 역사 대탐

    중앙일보

    1998.08.06 00:00

  • [북한 문화유산 답사기]23.조선중앙력사박물관 下.

    안악3호무덤! 한국미술사의 최대 논쟁점인 이 무덤을 나는 결코 말없이 지나갈 수 없다. 안악3호무덤은 현재까지 발견된 85기의 고구려 벽화무덤 중 가장 규모가 크고,가장 풍부한 벽

    중앙일보

    1998.06.10 00:00

  • 중앙일보·대륙연구소 주관 학술기행(6)

    고구려의 도읍지인 집안에서 압록강 남쪽 건너편에 보이는 북한의 자강도만포시문악동을 바라보는 감회가 깊다. 이 지역을 주무대로 만주와 한반도를 넘나들던 고구려 옛 선조들의 모습이 눈

    중앙일보

    1991.12.04 00:00

  • 일군부가 뜬 탁본 행묘년기사|「해」자는 변조된 것

    집안박물관의 원석 탁본=광개토대왕릉비에 대한 1차 조사에서 기대이상의 성과를 거둔 조사단 일행은 밤늦도록 능비를 비롯하여 벽화·고분 등 고구려유적에 대한 열띤 토론을 벌였다. 특히

    중앙일보

    1991.11.27 00:00

  • 고구려 옛터를 가다|중앙일보·대육연 주관 학술기행(2)

    고구려의 고도 국내성과 광개토왕릉비를 조사하기 위해 집안으로 가는 길은 예나 지금이나 쉬운 여정이 아니었다. 중국대륙을 한바퀴 돌아 통화에 도착한 조사단 일행은 통집공로를 따라 집

    중앙일보

    1991.11.06 00:00

  • 중앙일보·대륙연 주관 학술기행(1)거대한 채석장 곳곳에 즐비|"고대사연구 보고" 만주

    김정배 우리 고대사연구의 최대쟁점인 광개토대왕릉비에 대한 과학적인 조사와 함께 만주지방일대의 고구려유적·유물에 대한 학술적 탐사는 국사학계의 오랜 숙원사업이었다. 하루가 다르게 마

    중앙일보

    1991.10.30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