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한민족 선조 '치우' 중국서 조상으로 모셔

    한민족 선조 '치우' 중국서 조상으로 모셔

    중국인이 선조 3인 중 하나로 숭배하는 치우(아래 사진 왼쪽). 옆은 황제와 염제다. 치우의 한자 뜻은 39벌레 같은 놈39. 한민족의 동이족이어서 상소리로 부르다 90년대 중반

    중앙선데이

    2010.09.05 02:48

  • 원인~인류 중간존재? … 남아공서 새 화석유골 발견

    원인~인류 중간존재? … 남아공서 새 화석유골 발견

    미국의 과학잡지 사이언스가 9일 공개한 고대 원인(猿人)과 초기 인류의 중간 단계에 있는 두개골 화석. 남아프리카공화국 요하네스버그 인근에서 발견된 이 유골은 178만~195만 년

    중앙일보

    2010.04.10 01:52

  • “새로운 인류 데니소바인 3만~5만 년 전까지 생존”

    “새로운 인류 데니소바인 3만~5만 년 전까지 생존”

    100만 년 전 현생 인류와 같은 조상에서 갈라져 나온 또 다른 인류가 존재했을 것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이 ‘미지의 인류’는 멸종 무렵 인간과 공존했을 가능성도 있는 것으

    중앙일보

    2010.03.26 02:25

  • [e칼럼] 인류의 조상 ‘루시’를 찾아서(3)

    [e칼럼] 인류의 조상 ‘루시’를 찾아서(3)

    최초의 인류 아담과 이브가 처음 살았던 에덴동산은 이스라엘이나 중동 근처가 아니라 아프리카의 이디오피아나 탄자니아가 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 과학자들의 공통된 생각이다.루시가 인류

    중앙일보

    2010.03.03 09:32

  • [e칼럼] 인류의 조상 ‘루시’를 찾아서(2)

    [e칼럼] 인류의 조상 ‘루시’를 찾아서(2)

    찰스 다윈은 인류의 기원이 아프리카에서 시작됐을 것이라고 추측했다. 침팬지와 고릴라의 고향이 아프리카이기 때문이다. 그의 직감은 맞아 떨어졌다. 사진은 원숭이를 인류의 조상이라고

    중앙일보

    2010.02.23 10:56

  • [e칼럼] 인류의 조상 ‘루시’를 찾아서(1)

    [e칼럼] 인류의 조상 ‘루시’를 찾아서(1)

    인류 최초의 조상인 루시는 원숭이와 고릴라에 가깝다. DNA족보로 볼 때 루시는 인간의 조상이다.어머니의 어머니, 또 할머니의 할머니를 찾는다는 것은 어렵다. 인류 최초의 어머니를

    중앙일보

    2010.02.16 09:41

  • [e칼럼] 쥬라기 공원이 현실로…(2)

    [e칼럼] 쥬라기 공원이 현실로…(2)

    공룡의 부활이 과학적으로 가능한지에 대한 설명에 앞서 공룡 화석연구에 대해 잠시 짚고 넘어가기로 하자. 공룡화석이 처음 발견돼 고고학자와 생물학자들의 관심을 끈 것은 1800년대

    중앙일보

    2009.12.29 10:36

  • [e칼럼] 네안데르탈인, 왜 인류 조상이 아닌가? (9)

    [e칼럼] 네안데르탈인, 왜 인류 조상이 아닌가? (9)

    현생인류의 조상여부를 둘러싼 네안데르탈인에 대한 논쟁은 최근 미토콘드리아 분석으로 일단락 된 듯하다. 그러나 멸종 여부를 둘러싼 논쟁은 여전히 계속되고 있다. 네안데르탈인 멸종을

    중앙일보

    2009.12.15 09:39

  • [e칼럼] 네안데르탈인, 왜 인류 조상이 아닌가? (8)

    [e칼럼] 네안데르탈인, 왜 인류 조상이 아닌가? (8)

    어쨌든 유럽을 비롯해 중앙아시아, 북해에 이르기까지, 다시 중동 등지에서 발견될 정도로 광범위하게 발견되는 네안데르탈인의 멸종원인을 두고 학자들의 연구는 대단한 열기를 띄었다.

    중앙일보

    2009.12.08 15:47

  • [e칼럼] 네안데르탈인, 왜 인류 조상이 아닌가? (7)

    [e칼럼] 네안데르탈인, 왜 인류 조상이 아닌가? (7)

    “미래에 성공할지를 미리 알고 싶은가? 그렇다면 별자리 운세를 찾아 여기저기 기웃거리며 헤매지 말라. 대신 손가락을 유심히 봐라. 그리고 그 길이를 다른 손가락과 비교해 보아라.

    중앙일보

    2009.11.24 08:22

  • 10개 키워드로 읽는 과학책 9 - 진화

    10개 키워드로 읽는 과학책 9 - 진화

    갈릴레이 망원경 발명 400년, 다윈 탄생 200년. 더구나 24일은 다윈의 『종의 기원』 출간 150년이 되는 날입니다. 과학을 바라보는 우리의 시선이 남다른 2009년입니다.

    중앙일보

    2009.11.24 02:11

  • [e칼럼] 네안데르탈인, 왜 인류 조상이 아닌가? (6)

    [e칼럼] 네안데르탈인, 왜 인류 조상이 아닌가? (6)

    일엽지추(一葉知秋)라는 말이 있다. 떨어지는 하나의 낙엽을 미루어 짐작하건 데 가을이 왔다는 안다는 것이다. 몇 만년, 수십 만년 전에 일어난 사실을 파헤쳐야 하는 고고학에서 일

    중앙일보

    2009.11.17 13:35

  • [e칼럼] 네안데르탈인, 왜 인류 조상이 아닌가? (5)

    [e칼럼] 네안데르탈인, 왜 인류 조상이 아닌가? (5)

    사진左)네안데르탈인은 현생인류의 조상과 이종교배를 했으며 그 후손이 현재 인간이라는 주장이 제기돼 왔다. 사진右)인간도 다른 동물과의 교배가 가능할까? 인간의 이종교배에 의해 생산

    중앙일보

    2009.11.10 08:31

  • [e칼럼] 네안데르탈인, 왜 인류 조상이 아닌가? (4)

    [e칼럼] 네안데르탈인, 왜 인류 조상이 아닌가? (4)

    네안 1: 유럽 전역에 번성했던 네안데르탈인의 멸종은 현생인류조상들이 아프리카에서 유럽으로 대거 유입한 시기와 거위 일치한다.네안 2: 네안데르탈인의 멸종원인 가운데는 현생인류

    중앙일보

    2009.11.03 08:41

  • [e칼럼] 네안데르탈인, 왜 인류 조상이 아닌가? (1)

    [e칼럼] 네안데르탈인, 왜 인류 조상이 아닌가? (1)

    첨단장비를 이용해 복원 시킨 네안데르탈인의 한 소녀의 모습. 현생인류와 흡사하다.인간과 비슷하게 생겼다고 해서 인류의 조상이라고 볼 수 있을까? 더구나 언어도 갖고 있었고 관습도

    중앙일보

    2009.10.06 11:04

  • 440만 년 전 인류 ‘아르디’ 모습 복원

    440만 년 전 인류 ‘아르디’ 모습 복원

    440만 년 전에 살았던 인류의 조상으로 추정되는 ‘아르디피테쿠스 라미두스’(약칭 ‘아르디’· 그림)의 추정 모습이 확인됐다. 1992년 아프리카 에티오피아에서 발견된 아르디의

    중앙일보

    2009.10.05 03:22

  • [새로나온 책] 중국 역사 대장정 外

    학술 ◆중국 역사 대장정(류웨이·장쳰이 지음, 허유영 옮김, 웅진지식하우스, 300쪽, 3만5000원)=현생 인류의 등장부터 중화민국 탄생까지 중국사를 한 권에 모았다. 1000점

    중앙일보

    2009.09.19 01:08

  • Special Knowledge 지하철 타고 박물관 여행

    Special Knowledge 지하철 타고 박물관 여행

    우리나라 최초의 박물관은 1908년 9월 순종이 창경궁에 만든 ‘이왕가 박물관’입니다. 고고유물과 고미술품을 전시해 왕가와 귀족들에게 선보이다 1년 뒤 일반에 공개했지요. 올해는

    중앙일보

    2009.05.29 00:30

  • [새로나온 책] 식민지 이후를 사유하다 外

    [새로나온 책] 식민지 이후를 사유하다 外

    ◆식민지 이후를 사유하다(권명아 지음, 책세상, 396쪽, 2만2000원)= 해방 이후로도 한국인들은 ‘수난의 민족사’를 끊임없이 내면화해 왔다. 그리고 이는 국가의 지배 이데올

    중앙일보

    2009.03.14 00:44

  • 자연이 이끈 인류의 진화, 이젠 과학기술이 바꾼다

    자연이 이끈 인류의 진화, 이젠 과학기술이 바꾼다

    사랑니를 뽑느라 고생한 사람들을 주변에서 흔히 본다. 왜 많은 치아 중에서 유독 사랑니가 문제일까? 수만 년 전 살았던 우리 조상의 주식은 익히지 않은 거칠고 딱딱한 음식이었다.

    중앙선데이

    2009.02.08 07:52

  • [행복한책읽기Review] 46억살 지구 망친 100년간의‘환경 만행’

    [행복한책읽기Review] 46억살 지구 망친 100년간의‘환경 만행’

    20세기 환경의 역사 J R 맥닐 지음, 홍욱희 옮김 에코리브르, 688쪽, 3만8000원 1952년 12월 4일 영국 런던에 겨울 추위가 닥쳤다. 100만 개의 석탄난로 굴뚝에서

    중앙일보

    2008.12.26 21:17

  • [행복한책읽기Review] 로마와 중국 황제가 다른 이유는 …

    [행복한책읽기Review] 로마와 중국 황제가 다른 이유는 …

    역사: 사람이 알아야 할 모든 것 남경태 지음, 들녘 688쪽, 3만8000원  역사란 문명 간 변화와 경쟁의 연속이다. 다른 문명보다 먼저 변화하고 이에 적응하는 문명이 살아남는

    중앙일보

    2008.10.24 19:28

  • [고은 시인 인터뷰] “내 시의 본적지는 한국전쟁 폐허”

    [고은 시인 인터뷰] “내 시의 본적지는 한국전쟁 폐허”

     허리께까지 오는 대문은 손님을 기다렸다는 듯 한 뼘 쯤 열려 있었다. 담벼락에 위태롭게 매달린 낡은 초인종이 두 번 울리자 고은(75) 시인이 모습을 드러냈다. “가을 첫 손님이

    중앙일보

    2008.09.02 01:50

  • [시론] 건강한 지구를 후손에 선물하자

    5월은 청소년의 달이다. 지구촌 모든 어린이는 맑고 깨끗한 환경 속에서 생명을 누리고 건강하게 살아갈 권리가 있다. 그러나 오늘날 지구환경을 살펴보면 앞날이 밝지만은 않은 것 같다

    중앙일보

    2008.05.01 00: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