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김용석의 휴먼북스] 철학의 수컷들의 학문?

    [김용석의 휴먼북스] 철학의 수컷들의 학문?

    20세기 전반까지만 해도 유럽 대학에는 이런 말이 돌아다녔다고 한다. "철학과 강의에 여학생이 들어오는 이유는, 남자들이 뭘 하는지 궁금해서다." 그만큼 철학과 강의실은 남자들의

    중앙일보

    2005.07.22 20:39

  • [책꽂이] 커피와 함께 책을 外

    거실 탁자나 소파 위에 두고 짬짬이 들여다보는 책을 흔히 ‘커피 테이블 북’이라고 합니다. 보통 크고 고급스러운 장식에 화려한 사진과 삽화가 들어가 책 가격도 만만찮습니다. 디지털

    중앙일보

    2004.10.30 09:26

  • [김형경의 책 vs 책] 善이란 무었일까

    에티카, 원제 Ethik B. 스피노자 지음, 강영계 옮김, 서광사, 332페이지, 1만원. 미덕에 관한 철학적 에세이, 원제 Petit traite des grandes vert

    중앙일보

    2004.06.19 09:11

  • [신간] '교양으로 읽어야 할 절대지식'

    교양으로 읽어야 할 절대지식 사사키 다케시 외 지음, 윤철규 옮김 이다미디어,840쪽, 2만7000원 에리히 프롬의 『자유부터의 도피』에서 르네 데카르트의 『방법서설』, 아리스토텔

    중앙일보

    2004.05.22 09:23

  • [책꽂이] 인문.사회 外

    [책꽂이] 인문.사회 外

    ▨ 인문.사회 ◆ 사유의 열쇠(박이문 지음, 산처럼, 1만5천원)=언어.존재.형이상학.일원론.이원론.실재론.진리.합리성 등 철학의 기본적인 개념들을 설명한다. 인식의 문제와 철학사

    중앙일보

    2004.02.13 17:31

  • [고구려는 살아있다] 3. 고구려인은 한국인인가

    [고구려는 살아있다] 3. 고구려인은 한국인인가

    한국 불교철학사의 첫 페이지를 장식하는 인물 가운데 고구려의 승랑(僧朗) 스님이 있다. 그는 중국 삼론종(三論宗) 창설의 선구자이기도 해 중국 불교사에도 반드시 등장한다. 승랑은

    중앙일보

    2004.01.20 16:58

  • [200자 서평] '남자에 대한 동물학 연구서' 外

    [200자 서평] '남자에 대한 동물학 연구서' 外

    남자에 대한 동물학 연구서 ◆자연의 유일한 실수, 남자(스티브 존스 지음, 이충호 옮김, 예지, 1만3천원)= 정자수가 갈수록 줄어드는 건 익히 알려진 사실이다. 하지만 1천만년

    중앙일보

    2003.12.26 17:56

  • 추억으로 떠나는 헌책방 나들이

    에디터 : 유철상 / 사진 : 이미라 어슬렁거리며 독서 삼매경에 빠지기 좋은 헌책방. 서울 시내 곳곳에 보석처럼 남아 있는 전문 헌책방을 찾아 나만의 보물을 찾아보자. ▣ 온고당

    중앙일보

    2003.11.10 16:00

  • [200자 서평] 서양 철학의 흐름 한눈에 外

    [200자 서평] 서양 철학의 흐름 한눈에 外

    *** 서양 철학의 흐름 한눈에 ◇ 하룻밤에 읽는 서양 사상(토마스 아키나리 지음, 오근영 옮김, 중앙M&B, 1만원)=고대 그리스 소크라테스부터 20세기 미국 실용주의 철학까지

    중앙일보

    2003.10.17 16:55

  • [지식계의 새 물결] 2. 다시 살아나는 니체

    [지식계의 새 물결] 2. 다시 살아나는 니체

    니체가 죽은 지 1백년이 조금 넘었다. 하지만 그의 철학은 여전히 우리 곁에서 방황하고 있다. '이미' 존재하지만 '아직' 이해되지 않을 때, 철학은 방황한다. 니체가 말했다. 신

    중앙일보

    2003.09.07 17:45

  • '性과 철학' '번역과 근대' 심포지엄

    이번 주말 두개의 흥미있는 철학 학술회의가 열린다. 31일 연세대 상경대에서 철학연구회(회장 이한구)가 마련한 '성과 철학'이라는 주제의 연구발표회와, 같은 날 건국대 종합 강의동

    중앙일보

    2003.05.30 17:37

  • [책꽂이] '중국황제 어떻게 살았나' 外

    [책꽂이] '중국황제 어떻게 살았나' 外

    ◇중국황제 어떻게 살았나(장위싱 지음, 허유영 옮김, 지문사, 1만원)=요즘 개봉된 영화 '영웅'의 진시황에서 '마지막 황제' 부의에 이르는 절대권력자들의 전횡과 황실 비화를 담았

    중앙일보

    2003.02.07 16:34

  • 휘날리는 깃발을 보며…

    문 앞에 높이 달려있는 깃발이 휘날리는 것을 보고 두 스님이 서로 다투고 있었다. 한 스님은 깃발이 움직이는 것이라고 하고 다른 스님은 바람이 움직이는 것이라고 하면서 서로 물러

    중앙일보

    2002.10.08 00:00

  • [연출가 김광림 교수]첫 단추 꿴 '우리式 연극'

    공연 결과가 괜찮았던 때문일까. 지난 3일 서울 석관동 연구소를 찾았을 때 김광림(50) 교수는 친구와 술 약속을 하고 있었다. "소주 한잔하자"는 평범한 대화였지만 여유가 넘쳤

    중앙일보

    2002.09.09 00:00

  • 고전에서 길어올린 '나의 철학'

    사랑의 번민에 싸여 있던 젊은이가 철학가가 되어 돌아왔다. 남녀의 만남과 헤어짐을 그린 소설 『로맨스』 의 작가로 출발한 드 보통의 작품 연보를 보면 그렇다. 1969년생인 드

    중앙일보

    2002.06.08 00:00

  • 용어로 훑어본 서양철학 '수입사'

    저자는 몇해 전 서울 광화문 총독부 건물 철거 소식을 듣고 이런 생각을 해봤다고 책의 허두를 뗀다. "만일 현재 우리가 쓰고 있는 용어들인 '의식' '정서' '시간' '사고' '

    중앙일보

    2002.04.06 00:00

  • 지구촌 현실을 읽는 이 시대의'知的 조감도'

    급속한 산업화와 도시화의 결과로 대중사회로의 진입이 본격화하고, 대중문화의 현실적 영향력이 갈수록 커지는 시대다. 지금과 같은 상황에서는 사회 전체에 대한 고고한 설교자로서 자리

    중앙일보

    2002.03.30 00:00

  • 반세기에 걸친 철학사를 동원해 밝히는 10여 분간의 진실

    세상에서 가장 흥미로운 독서 방식은 한 책을 읽으면서 다른 책과 겹쳐 읽는 일이다. 어떤 책에 나오는 의문점을 찾아 또 다른 책을 읽어나가다 보면 어느덧 독서가의 반열에 오르는 자

    중앙일보

    2002.01.18 09:52

  • 동양철학. 서양철학 두 학자의 접점찾기

    지난 세기 서구식 근대화 속에 편견과 오해로 점철된 ‘억압된 동양’과 ‘왜곡된 서양’이 한 자리에서 만났다.이해의 지평을 넓혀가는 자리는 단행본의 형태로 열매를 맺었다.신간은 서양

    중앙일보

    2001.12.01 08:37

  • [행복한 책읽기] '서양과 동양이 127일간…'

    지난 세기 서구식 근대화 속에 편견과 오해로 점철된 ‘억압된 동양’과 ‘왜곡된 서양’이 한 자리에서 만났다.이해의 지평을 넓혀가는 자리는 단행본의 형태로 열매를 맺었다.신간은 서양

    중앙일보

    2001.12.01 00:00

  • 내 물음에 대답해볼래? 절대로 남이 한 말을 빌려오면 안돼

    인형극 무대에 선 피노키오는 다른 인형과 달리 스스로 움직이고 노래해 무대를 엉망으로 만든다. 하지만 극단 단장인 스트롬볼리가 보기에 피노키오는 꽤나 쓸 만한 녀석이었다. 그래서

    중앙일보

    2001.11.16 09:40

  • 그리스 가부장제 사회가 ‘여신 죽이기’ 앞장섰죠

    그리스 신화 중에서 가장 먼저 떠오르는 신을 말해보라고 하면 가장 빈번히 등장하는 여신이 헤라다. 그런데 이 헤라는 ‘변변히 하는 일도 없이 질투와 간계를 일삼고 영웅들을 못살게

    중앙일보

    2001.11.02 09:44

  • 퇴계 탄생 500주년 기념 국제학술회의 열려

    국제퇴계학회와 중앙일보가 공동 주최한 제17차 퇴계학국제학술회의가 '퇴계의 삶과 철학, 그리고 세계화 미래'를 주제로 15~16일 성균관대 600주년 기념관에서 열렸다. '퇴계 탄

    중앙일보

    2001.10.17 00:00

  • 서양이 연구한 동양철학 '금자탑'

    신간 『도의 논쟁자들』은 현대 서구의 중국철학 연구 수준을 가늠해 볼 수 있는 대표적 저작물이다. 동양철학은 동양인의 전유물이란 지역적 사고 또 동양철학하면 의레 비합리적이라며 폄

    중앙일보

    2001.08.11 1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