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국내 브랜드 최초 해외체인 프로젝트"

    "국내 브랜드 최초 해외체인 프로젝트"

    임피리얼팰리스 호텔(이하 임피리얼). 강남 중년 여성들 사이 ‘음식 맛있는 호텔’로 알려진 ‘아미가’에서 유럽풍 왕실 이미지의 부티크 호텔로 변신한 지 2년이 흘렀다. 토종 호텔

    중앙일보

    2007.05.22 17:24

  • 애경, 강남 SKM면세점 인수

    AK면세점을 운영하고 있는 애경그룹이 SKM면세점을 인수한다. 애경그룹의 유통 계열사인 디피앤에프는 SKM면세점의 최대주주인 KTB네트워크와 면세점 인수를 위해 양해각서를 체결하기

    중앙일보

    2007.04.19 18:58

  • 롯데 장선윤 vs 신세계 정유경… 재벌 3세 딸들의 명품 전쟁 스토리

    강북 지역에서 우위를 점한 것은 롯데 에비뉴엘. 오픈을 총괄 지휘한 장선윤씨는 올초 이사에서 상무로 승진했다. 그러나 3월 신세계 본점 리뉴얼 오픈하면서 '반격'이 시작된다. 디

    중앙일보

    2007.03.05 11:05

  • [SHOPPING] 멋진 신세계

    [SHOPPING] 멋진 신세계

    [사진=연합뉴스]지난달 28일 다시 문을 연 서울 충무로 신세계백화점 본점 본관은 오랜 역사에서 오는 여유로움과 편안함이 느껴졌다. 석강 백화점 대표는 "화려함보다는 누구나 마음

    중앙일보

    2007.03.01 19:20

  • 롯데-신세계 '럭셔리 결투'

    롯데-신세계 '럭셔리 결투'

    서울 충무로 신세계 본점의 본관이 리노베이션 공사를 끝내고 28일 명품관으로 문을 연다. 건물의 역사적 가치를 보존하기 위해 첨단공법을 썼다. 1930년 일본 미스코시백화점 경성지

    중앙일보

    2007.02.22 19:05

  • 백화점 할인점마다 명품족 북적

    일부 고소득층의 전유물로 여겨지던 명품의 주요 고객들이 젊은층으로 확산되고 있다. 최근 개점 1주년을 맞은 롯데백화점 명품관 '에비뉴엘'이 지난 1년간 영업을 분석한 결과, 30대

    중앙일보

    2006.04.06 11:29

  • [아직도 못벗은 짝퉁 왕국 오명] 못말리는 중국산 짝퉁

    [아직도 못벗은 짝퉁 왕국 오명] 못말리는 중국산 짝퉁

    ▶ 중국 선전의 대표적인 짝퉁 상가인 로우상창 풍경. 지난 4일 인천공항에 중국에서 들여온 화물의 박스 속에는 여성용 고급 의류 3620벌이 들어 있었다. 최종 목적지는 일본. 한

    중앙일보

    2005.08.18 05:17

  • [노트북을 열며] 국민을 위한 마케팅 전략

    비 오는 날 빵집에선 바삭한 패스트리가 가장 많이 팔린다고 한다. 수영복도 화창하고 더운 날보다는 비 오는 날 더 많이 팔린다. 지난달 하순께 그 무더웠던 일주일 동안 아이스크림

    중앙일보

    2005.08.02 20:27

  • 지구촌 공연장도 명품 시대

    지구촌 공연장도 명품 시대

    ▶ 발렌시아 예술궁전(산티아고 칼라트라바 설계) 서울시가 추진 중인 노들섬 오페라하우스(가칭) 건축의 첫 과정인 설계 아이디어가 공모를 거쳐 다음달 29일 선정된다. 이와 함께 초

    중앙일보

    2005.06.26 22:00

  • [주말 쇼핑 가이드] 롯데백화점 外

    [주말 쇼핑 가이드] 롯데백화점 外

    *** 백화점 ◆ 롯데백화점은 10일까지 본점.잠실점.영등포점에서 '우수 디지털 가전업체 특별초대전'을 열고,디보스.오르콤.엘리온 등 중소업체들의 디지털 TV를 선보인다. 이레전자

    중앙일보

    2005.04.07 17:57

  • 까다로운 명품 고객 노노스족 마케팅

    까다로운 명품 고객 노노스족 마케팅

    ▶ 백화점 명품 매장에서 소비자들이 로고가 숨겨진 핸드백과 구두를 고르고 있다. 백화점들이 봄 새 단장에 맞춰 '나홀로 명품'을 좋아하는 소비층을 겨냥한 매장을 늘리고 있다. 이른

    중앙일보

    2005.03.07 18:34

  • 중국 명품족 1000만 시대

    해외 유명 브랜드를 찾는 중국인이 늘면서 중국이 일본을 대체할 명품 소비시장으로 떠오르고 있다고 영국의 주간지 이코노미스트가 보도했다. 이코노미스트는 중국 본토 내 명품 소비자수는

    중앙일보

    2004.06.21 18:12

  • 명품브랜드 '동생' 속속 상륙

    '대중적인 명품(accessable luxury)을 지향한다-'. 명품 브랜드보다 싸면서도 나름대로 차별화된 품질과 브랜드 인지도를 갖고 있는 해외 수입 브랜드가 잇따라 등장하고

    중앙일보

    2004.01.05 17:26

  • [마트] 브랜드族 "I♡아웃렛몰"

    지난 4월 말부터 등기분양 신청을 받고 있는 서울 명동의 패션 아웃렛 A사무실에는 하루 50~60여통의 전화가 걸려온다. 이 곳의 분양률은 현재 40% 정도다. 요즘 경기 상황을

    중앙일보

    2003.05.15 16:39

  • [산업 탐구] 문구

    [산업 탐구] 문구

    문구산업이 대전환기를 맞고 있다. 문구는 1980년대 중반까지 '국산품 애용'이라는 우산 아래서 안정적으로 성장했다. 그러나 이후 국내 문구 수요가 급격히 줄고, 해외시장도 경쟁

    중앙일보

    2003.03.02 17:17

  • [마트] 뉴파워 30代 소비를 점령하다

    [마트] 뉴파워 30代 소비를 점령하다

    '뉴 서티족'이라 불리는 새로운 30대가 소비시장에 돌풍을 일으키고 있다. 나이로 따진다면 30대 초.중반으로 흔히 30~35세까지를 일컫기도 한다. 이들은 고도성장이 시작된 1

    중앙일보

    2003.02.27 16:25

  • 롯데百 내년 개점 앞두고 대구 백화점들 대변신

    ◇창립연도:1944년 '대구상회' ◇법인명·성격:㈜대구백화점, 유통전문업체 ◇소재지:대구시 중구 대봉동 ◇직원수:722명 ◇자본금:513억원 ◇매출액:6,594억원(2001년 기

    중앙일보

    2002.11.08 00:00

  • 미도파, 롯데로'신장개업'

    롯데백화점이 지난 7월에 인수한 미도파백화점을 개편하는 작업을 본격화하고 있다. 미도파 상계점은 다음달 3일 '롯데 노원점'으로 간판을 바꿔 달기로 했다. 명동 메트로점은 리뉴얼

    중앙일보

    2002.08.29 00:00

  • [라운드테이블] '지적재산권 보호' 어디까지 왔나

    주한미국상공회의소가 낸 무역투자연례보고서와 주한유럽연합상공회의소의 무역장벽보고서(http://www.eucck.org/trade2001)는 올해에도 한국의 지적재산권 보호 문제를

    중앙일보

    2001.04.27 00:00

  • [라운드테이블] '지적재산권 보호' 어디까지 왔나

    주한미국상공회의소(무역투자연례보고서)와 주한유럽연합상공회의소(무역장벽보고서) 는 올해도 한국의 지적재산권 보호 문제를 거론했다. 한국 정부도 최근 불법 복제 소프트웨어 등에 대해

    중앙일보

    2001.04.26 17:16

  • [라운드테이블] '지적재산권 보호' 어디까지 왔나

    주한미국상공회의소(무역투자연례보고서)와 주한유럽연합상공회의소(무역장벽보고서) 는 올해도 한국의 지적재산권 보호 문제를 거론했다. 한국 정부도 최근 불법 복제 소프트웨어 등에 대해

    중앙일보

    2001.04.26 17:16

  • "지방 의류상인들 새벽장 보러 올라올 필요없죠"

    지난 9월, 남대문과 동대문시장에서 20여년 동안 의류 도매상을 하다 수입명품점 및 패션의 거리로 유명한 압구정동 로데오거리에 동대문식 패션몰인 ‘압구정 디자이너크럽’을 오픈한 서

    중앙일보

    2001.01.03 19:33

  • [뉴스위크]일본은 지금 캐주얼 의류 열풍

    일본 도쿄(東京) 의 거리 풍경은 요즘 부쩍 색깔이 다양해지고 소박한 분위기를 풍긴다. 은행원 기다 다카코(木田孝子·27) 의 쇼핑길에 따라 나서면 그 이유를 알 수 있다. 그녀는

    중앙일보

    2000.11.12 20:41

  • 고가 외국상표 아동복 도입 봇물

    한벌에 50만원 하는 등 어른옷을 뺨칠 정도로 비싼 외국 브랜드 아동복이 백화점 매장에 속속 들어서고 있다. 경기침체로 매출이 부진한 속에서도 씀씀이가 큰 고소득층을 겨냥해 고가

    중앙일보

    2000.10.27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