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전화카드.승차권등 수집-박경규씨

    모으기 챔피언으로 93년 기네스북 등재,한국통신 주최 제1회공중전화카드 전시회 금상 수상,일본 세이부 백화점 전시회 참가,한.미 수교 1백주년 기념 전승공예품 전시회에 소장하고 있

    중앙일보

    1996.05.22 00:00

  • 4.大理

    동파문화연구소 다음으로 찾아간 곳은 여강시장.세계 어느 곳을 가나 시장은 그 지역에 사는 사람들의 생활모습을 현장감 있게 살펴볼 수 있는 유일한 곳이다.여강시장도 옛날 우리나라 시

    중앙일보

    1995.08.28 00:00

  • 『소말리아 어린이 돕기 사랑의 장터』|각계 각층 훈훈한"십시일반"

    「소말리아 어린이들에게 한국인의 사랑을 전합시다」. 극심한 가뭄과 내전으로 굶주리며 질병에 시달리는 1백만명이 넘는 아프리카 소말리아 어린이들의 참상이 전해지자 국내에서도 이 어린

    중앙일보

    1992.11.17 00:00

  • 여름 - 시와 그림

    여름…. 우리의 원초적 삶의 모습, 그리고 태양과 바다 등 자연에 한결 목마른 계절이다. 한줄기 시원한 바람, 혹은 신생의 양식으로 실어보는 시와 그림을 통해 일상의 눅눅함이 떨쳐

    중앙일보

    1992.07.18 00:00

  • 부채바람(분수대)

    우리나라 속담에 「여름 생색에는 부채요,겨울 생색에는 달력」이라는 말이 있다. 또 「단오선물은 부채요,동지선물은 책력」이라는 말도 있다. 여름철엔 시원한 부채를 받는게 가장 반가운

    중앙일보

    1992.07.15 00:00

  • 「절전선」(분수대)

    그동안 장마때문에 사용이 다소 줄어들었던 선풍기와 에어컨이 장마가 끝나자 다시 풀가동되고 있다. 그래서 여성단체들은 절전운동의 일환으로 선풍기나 에어컨 대신 부채를 사용하자는 캠페

    중앙일보

    1991.08.06 00:00

  • 합죽선에 예술·실용성 "앙상블"

    서울 수송동 월드아트미술관(석탄회관 1층)에서 납량 선면 작품 초대전 (5일까지)이 열리고 있다. 지루한 장마 끝에 모처럼 햇볕이 쨍하고 무더위가 기승을 부려서「납량」이란 말만 들

    중앙일보

    1988.08.02 00:00

  • 나의 스케치여행|"내 낙타 그렸으니 돈 내라" 주인이 생떼도

    중앙일보는 세계 여러나라의 풍물을 화폭에 담은 『세계풍물스케치전』을 호암갤러리에서 열고있다 (28일까지). 전시회 참여화가인 김기창 김형근 이규선 오승우화백의 여행에 얽힌 에피소드

    중앙일보

    1987.05.15 00:00

  • 호남

    호남지방은 예부터「예향」이라일컬어지면서 한국 풍류도의 정맥을 이어온 문화예술의 고장이다. 전남북이 예향이라 지칭되는까닭은 그림·글씨·판소리등의 명인들이 많이 배출됐고 주민들의 문화

    중앙일보

    1987.01.01 00:00

  • 외국인은 전승공예품을 좋아한다 농협 농가공산품센터 86앞두고 선호도 조사

    86아시안게임에 몰려들 외국인들은 과연 어떤 한국상품을 좋아할까. 농협에서 운영하는 농가공산품센터 (서울강남구잠원동 뉴코아예식장 1, 2층)가 지난번 세계은행·국제통화기금 서울총회

    중앙일보

    1986.08.28 00:00

  • 전주 합축선 "새바람"이 분다

    실용적인 선풍기와 에어컨에 밀러 났던 부채가 옛것을 찾는 현대인들에게 새삼 각광받고 있다. 특히 예부터 단오때면 임금이 신하들에게 나눠주었다는 단오부채의 고장 전주에서 만들어지는

    중앙일보

    1986.06.10 00:00

  • (7)요란한 배꼽춤에 신바람나 스케치

    이집트행은 처음부터 기분 잡쳤다. 관문인 카이로공항은 총을 든 군인들이 삼엄한 경계를펴고 있어 지금까지 여행한 유럽과는 너무 대조적이어서 무시무시한 생각마저 들었다. 입국절차도 까

    중앙일보

    1981.11.26 00:00

  • 죽부인으로 침상의 더위를 잊고…

    한낮의 찌는 더위가 우리 곁을 파고들었다. 해마다 어김없이 찾아오는 여름. 우리 선소들은 그 불볕더위를 어떻게 지냈을까. 풍류가 담긴 여름실내를 연출했던「그들의 여름」을 민속학자

    중앙일보

    1981.06.30 00:00

  • 간송 미술관 부채 그림 전 8∼22일, 김홍도작품 등. 50여 점

    고 전형필씨의 수집 품을 중심으로 발족한 한국민족미술연구소는 8∼22일 간송 미술관(서울 성북 초등학교 앞)에서 선면 전을 연다. 71년이래 소장품에 대한 12회 째의 공개 전시회

    중앙일보

    1977.05.09 00:00

  • 합죽선에 그림 넣은 부채전|19일까지 중앙 화랑

    근년 여름이면 합죽선에 미술가들의 그림을 넣은 부채 전이 빈번히 열리는데 이번에 또 중앙 화랑(서울 관훈동8의3)에서 마련했다(2일∼10일). 참가한 미술가는 김은호 변관식 이상범

    중앙일보

    1975.08.01 00:00

  • 김화경 화백 초대전

    동양화가 김화경 화백의 초대전이 10∼20일 미도파화랑에서 열린다. 출품작은 견본·지본 20점, 선면형·원면형·합죽선 등 20점, 접시그림(김재석도제) 15점.

    중앙일보

    1972.06.07 00:00

  • 「붐」이룬 부채 전…국립박물관·현대화랑서도 신·구 선도전

    금년 여름에는 선면에 그린 그림을 중심으로 하는 부채전이 「붐」이다. 이미 전시중인 신세계 화랑의 그것을 비롯하여 7월1일부터는 국립박물관이 옛 화가의 명화 부채를, 그리고 현대화

    중앙일보

    1971.07.01 00:00

  • 격조 높고 옛 향취 그윽한 명사들의 『애장 부채 전』

    신세계 화랑은 명사들이 곱게 간수하고 있는 옛 합죽선들을 모아 29일 애장 부채 전을 열었다. 7월 11일까지 계속 이 전시회에 출품된 부채들은 이미 부채로서의 기능을 상실하였지만

    중앙일보

    1971.06.29 00:00

  • 계절감이 담뿍 실린 천경자씨 부채전

    여류화가 천경자 여사는12일 서울신촌 로터리 부근에 개인화실(창천동 동원빌딩 3층)을 마련하고 계절감이 담뿍한 부채전을 마련했다.(12일∼20일) 합죽선의 선면 위에 그의 독특한

    중앙일보

    1971.06.14 00:00

  • 인기 없는 명화우표

    우리 나라에서는 처음 발행한 명화우표가 원화와는 너무도 동떨어진 치졸한 그림이 되고 있어서 우표애호가들 사이에 빈축을 사고있다. 체신부는 금년부터 우리 나라 고래의 회화작품 가운데

    중앙일보

    1970.09.30 00:00

  • ④전주 합죽선

    부채는 예부터 우리 생활 속의 여름철 필수품이었다. 또한 풍류의 멋 부림에도 빼놓을 수 없는 것이기도 했다. 그 부채가 지금은 「에어컨디셔너」와 선풍기에 밀려 빛을 잃어가고 있다.

    중앙일보

    1970.08.06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