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래포츠시설에 년 천5백만명 이용

    한국의「아름답고 푸른 도나우」한강-. 한강은 지난86년이래 고수부지에 시민공원과 레저시설이 들어서고 유람선 뜨는등 급속도로 개발이 진행되면서 점점 시민들의 종합휴식공간으로 자리 잡

    중앙일보

    1993.03.26 00:00

  • (13)용산구

    용산구는 올해 용산전자상가 활성화를 위해 서울역∼이태원∼전자상가 사이에 셔틀버스를 운행하고 입주상가에 대해서는 상하수도료는 1년, 도로점용료는 2년간 면제해주기로 했다. 지역 교통

    중앙일보

    1989.02.11 00:00

  • (2) 홍수대비 유수지 3곳 신설

    ◇도로계속사업=작년 또는 금년에 착공되어 내년까지 공사가 계속되는 사업은 간선도로 8건에 4백10억원, 지역도로 7건에 59억원이 투입된다. 연말완공예정인 36km의 강변도로 확장

    중앙일보

    1985.11.29 00:00

  • 87년까지 유수지 9개 신설 | 서울시, 장기 수방대책 마련

    서울시는 18일 지난 폭우로 인한 수해를 분석한 결과 근본적인 수방대책에 문제가 있었다고 판단, 침수지역과 일반지역데 대한 장단기 대책을 마련해 88년까지 총 2천 6백억원을 들여

    중앙일보

    1984.09.18 00:00

  • 올해 우리구 살림 이렇게 달라진다

    용산구청관내에선 올해 산천아파트 진입로 포장 등 20여건의 크고 작은 주민숙원사업이 펼쳐진다. 부분별로는 상·하수도사업 각 9건, 건설사업이 3건. 주요공사로는 우선 미8군 앞

    중앙일보

    1982.01.13 00:00

  • 주택가 유수지 모두 덮어|주차장 공원으로 활용

    서울시는 31일 총57억 원을 들여 주택가에 있는 유수지를 모두 복개해 주차장이나 공원으로 활용키로 했다. 복개대상유수지는 한남·흑석·용산·용두·휘경·용답동 등 6개소 1만4천2백

    중앙일보

    1979.07.31 00:00

  • 영세민 구호사업|구청별 계획내용

    ◇마포 ▲마포유수지(9,000) ▲성산천(9,000) ▲공덕천(2,700) ▲서교지역(1,800) ▲망원동 유수지(28,000) ▲관내 구조물(2,500) ◇용산 ▲한남동 유수지

    중앙일보

    1974.02.22 00:00

  • (5)용산구

    「사업도 행정도 골목안 길에서」라는「캐치·프레이즈」를 내건 용산구는「1동 1사업」위주의 골목길 포장·하수도사업 등에 중점을 두었다. 올해 용산구 관내에서 벌일 각종사업은 본청 예산

    중앙일보

    1974.01.29 00:00

  • 4개 배수「펌프」장 준공

    서울시가 올해 6억3천6백만원을 들여 추진해온 4개소의 신설배수「펌프」장과 8개소의 기설 유수지보강공사가 24일 상오 준공과 동시에 가동됐다. 「펌프」장의 증설 및 보강에 따라 1

    중앙일보

    1973.07.24 00:00

  • (11)하수

    서울시는 올해 하수사업으로 뚝섬 등 4개소의 유수지(유수지)시설의 보강·신설과 청계천하수처리장의 구조물 공사완료 등 모두17건의 크고 작은 공사를 실시 할 계획이다. 총 공사비는

    중앙일보

    1973.01.31 00:00

  • 정능·성수 등 11개 하천 준설

    서울시는 15일부터 오는30일까지 6천4백여만원을 들여 정능천 등 11개 하천과 유수지 동계준설작업에 들어갔다. 이는 겨울철 유휴장비를 이용, 간선배수로와 유수지에 쌓인 흙과 오물

    중앙일보

    1973.01.15 00:00

  • 작년보다 11% 준 시예산

    73년도 서울시 예산은 6백51억6천5백47만3천원으로 확정됐다. 이중 일반회계는 3백36억1천3백84만3천원, 특별회계는 3백15억5천1백63만원이다. 72년도에 비해 일반회계가

    중앙일보

    1973.01.04 00:00

  • (1)시민의 안전생활을 위한 「캠페인」|도로

    8·19수해는 수도 서울시민의 안전생활을 완전 위협했다. 유사이래 처음이라고 하는 대홍수였지만 서울은 6백만 인구에 1년 예산 8백억원을 쓰는 세계 제8위의 대도시이다. 시민의 안

    중앙일보

    1972.09.05 00:00

  • 기습폭우에 허 찔린 한강치수 47년만의 대홍수…그 수방대책의 문제점

    18일 한강범람의 대홍수는 한강연안의 수해대책에 대한 안이와 요행의 허를 찔렀다. 한강은 항상 마음놓을 수 없게 수도서울과 그 일대를 위협하고있다. 중부지방에 대한 강우량의 특성으

    중앙일보

    1972.08.21 00:00

  • 「수해비상」하의 서울시 점검

    한강수위가 19일 정오 위험수위 10m50㎝를 넘어 한강이 범람할 위기에 놓여있다. 서울시는 한강수위가 8m50㎝로 경계수위를 넘자 중랑천·청계천에서 한강으로 들어가는 1백2개의

    중앙일보

    1972.08.19 00:00

  • 마포 등 33 유수지에 모기구충제를 살포

    서울시는 뇌염모기유충구제를 위해 18일 상오 10시부터 하오5시까지 시내 마포 유수지를 비롯한 한남 동·영등포동·흑석 동 유수지 등 시내 33개 유수지에 대해 유제살충제를 뿌렸다.

    중앙일보

    1972.07.18 00:00

  • 서울시의 새마을 운동

    서울시는 지금까지의 구 복지 사업, 무허가 판잣집 개량 사업 등을 새마을 운동에 모두 흡수, 주민들의 적극 참여를 권장, 24개 종목의 각종 새마을 사업을 오는 4월13일까지 벌인

    중앙일보

    1972.03.23 00:00

  • 서울은 물에 약하다

    지리한 장마가 계속되고 있다. 비만 오면 서울시내는 항상 물난리를 겪고 곳곳에서 축대와 건물이 무너져 내리는 사고를 일으키며 낮은 지대에서는 침수소동이 일어난다. 위험한 건물이나

    중앙일보

    1971.07.13 00:00

  • 20개 침수지역에 유수지

    서울시는 2일 장마 때엔 항상 물에 잠기는 시내 20개 침수 지역의 유수지 건설과 이미 건설을 마친 6개 유수지의 유지 관리비를 하수도법에 근거를 두고 수익자 부담 방식으로 유수지

    중앙일보

    1970.10.03 00:00

  • 손도 못댄 필성사업 26%나

    서울시가 올해 필성사업으로 계획한 1백16건의 각종 건설사업지도가 부진할 뿐더러 착공예정일을 넘겨 아직 손도 대지 않은 사업이 전체의 26%인 29건에 이르고 있음이 13일 서울시

    중앙일보

    1970.05.14 00:00

  • (14) 넘치는 하수도

    『하수 시설이 잘못돼 있는 도시는 모래 위에 지은 집과 같습니다.』서울 공대 박중현 교수 (37)는 하수도 문제를 도시 건설의 첫째 조건으로 꼽았다. 서울의 하수도는 50년 전부터

    중앙일보

    1970.03.10 00:00

  • (끝)거의 해방 전 매설 구경 좁아 시간당 50mm비에도 물바다

    서울의 하수공사는 외면 당하고 있다. 시간당 50mm의 비만 와도 길거리는 물바다. 지역적인 집중 폭우가 빈번한 근년의 날씨 변동에 서울 시내는 해마다 물난리를 겪고 있다. 이 물

    중앙일보

    1969.12.30 00:00

  • 서울 새해공익사업 예산승인 요청|총97억 5백만원 규모

    서울시의 내년도 공익사업부문예산은 97억5백57만원으로 책정, 총리실에 승인을 요청했음이 18일밝혀졌다. 부문별 내용은 다음과같다. ◇도로사업 (27억2천6백58만9천원) ▲남산터

    중앙일보

    1969.12.18 00:00

  • 서울살이|하수도

    수도서울은 비에약하다. 궂은비만 내려도 도심의 하수구가 막히는가하면 포장이 안된 변두리길은 진창이 되고 만다. 비내리는 서울은 흡사 물벼락을 맞는 느낌. 장마철 앞서 하수도사정을

    중앙일보

    1969.06.06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