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교민들이 「한국인 문화센터」만든다

    소련내 한인 문화센터 설립이 교민들 사이에 본격적으로 추진되고 있어 이에 대한 모국의 지원이 필요하다. 소련 우즈베크 공화국 수도 타슈켄트시 레닌기치 신문(소련에서 발행되는 한국어

    중앙일보

    1989.02.09 00:00

  • 소련의 한국인은 「근면」의 상징

    【소 타슈켄트=안길모 특파원】소련에 거주하고 있는 한국인들은 약40만명으로 추산되고 있다. 소련교민들은 우즈베크공화국에 약20만명, 카자흐공화국에 13만명, 사할린에 4만여명, 그

    중앙일보

    1989.02.08 00:00

  • 사회·교양

    □…KBS 제1TV『겨울방학 특별 앙코르』(13일 밤 7시25분)=「한국 탐구, 소련 땅의 한인을 찾아서」. 우즈베크공화국의 수도 타슈껜트와 그 인근도시 사마르칸트의 동포사회를 알

    중앙일보

    1989.01.13 00:00

  • 소 한인들 「자치구」 요구

    【동경=최철주특파원】 소련카자흐 공화국에 살고있는 한국교포들이 한국인자치구의 설치및 「스탈린」 시대에 숙청된 한국계인사 수천명의 명예회복을 소정부측에 요청했다고 28일 시사통신이

    중앙일보

    1988.11.29 00:00

  • 한국계 4명 소 여객선 타고 왔다

    【부산=제정갑·김석환 기자】 미하일 숄로호프호에는 서동호(36),「발레리·박」,「리주학」「리탈리바실리에비치·편」씨 등 4명의 한국계 소련인이 승선하고 있다. 이들 중 서동호씨는 아

    중앙일보

    1988.09.03 00:00

  • 양TV 공산권 다큐멘터리 방영 호평

    88서울올림픽을 맞아 공산권국가들과의 관계개선에 대한 관심이 높은 가운데 KBS·MBC두TV의 공산권 접근이 최근 활발해지고 있다. 특히 국내 TV의 공산권국가에 대한 시각이 정치

    중앙일보

    1988.05.23 00:00

  • 재소 한민족 동질성 보존 앞장

    【파리=홍성호 특파원】소련 중앙아시아 지방 카자흐스탄 공화국의 한인사회에서 발간되는 순수 한글신문「레닌기치」가 지난 l5일 창간 50주년을 맞았다. 이란· 아프가니스탄·중공과 국경

    중앙일보

    1988.05.17 00:00

  • 소 중앙아시아 한인극단 우리말공연 활기

    소련 중앙아시아에는 전세계교포한인극단 가운데 가장 오래된 카자흐공화국「영예표식훈장음악희극조선극장」을 비롯, 가야금가무단·아리랑가무단·아침노을·도라지 가무단등의공연단체가 우리말 공연

    중앙일보

    1988.05.10 00:00

  • 소, 시베리아 강줄기를 역류시킨다|운하로 연결 중앙아시아 사막을 옥토로|완공되면 식량 자급자족 가능

    소련은 시베리아를 지나 북극해로 흘러 들어가는 강들을 역류시켜 시베리아의 동토와 중앙아시아의 사막을 옥토로 바꿔 세계 최대의 식량기지를 만들기위한 야심에 찬 계획을 추진중이다. 「

    중앙일보

    1984.12.04 00:00

  • 북한제외 3백만명 중소에 2백만 거주

    북한을 제외한 중공·소련 등 공산권에 거주하는 동포는 공식통계상으로는 2백10여만명 수준. 그러나 실제로는 이보다 훨씬 많아 2백40만∼3백만명으로 보고있다. 공식통계상 절대다수인

    중앙일보

    1982.08.16 00:00

  • 모국어 잊지 않은 소련 안의 한국인들

    한국인이 한반도 이의에 거주하는 3대 주거 지역은 요즘은 다소 달라졌으나 전통적으로는 중국·소련·일본이었다. 이 3대 지역에 거주하는 한국인의 통계는 ▲중국=1백90만 (1974년

    중앙일보

    1981.01.26 00:00

  • (1)|본사 노진호 체육부장, 국제스포츠기자연맹총회 참가기

    이글은 본사 노진호체육부장이 한국에있는 기자로서는 처음으로 소련으로부터 입국「비자」를 발급받고 지나달24일입국, 30일까지 소련「모스크바」에서 보고 느낀것들입니다. 한국기자가 처음

    중앙일보

    1979.06.13 00:00

  • 선, 아주 안보 체제 수립 제의

    【동경 5일 합동】소련 과학 「아카데미」와 일본의 「산께이」 신문사가 공동으로 주최하고 있는 『제3회 「아시아」의 안전과 평화에 관한 일·소 전문가 「심포지엄」에서 소련 대표로 참

    중앙일보

    1978.10.05 00:00

  • 소, 대 북괴 태도 변화

    【동경=김두겸 특파원】소련의 한반도 정책에 미묘한 변화가 일어나고 있으며 이 같은 변화는 어쩌면 「남북한 역전」을 위한 포석일지도 모른다고 일본 「요미우리」(독매) 신문이 12일

    중앙일보

    1978.09.12 00:00

  • "소련이 제일 강적…겨뤄 볼만하다"

    백야의 고장「레닌그라드」에서 30일부터 「폴란드」·소련·「불가리아」및 중공과 연 나흘동안 제8화 세계여자배구선수권대회의 준결승「리그」를 치를 한국선수단은 『이억만리에서 동포들의 방

    중앙일보

    1978.08.30 00:00

  • 「넬리·김」양

    그것은 경기이기보다는 하나의 예술이다. 마치 어느 조각가의 영감에 의해 가장 아름다운 인체의 균형미를 빚어낸 것 같다. 「올림픽」경기 중에서 체조만큼 「카메라」의 세례를 많이 받는

    중앙일보

    1976.07.24 00:00

  • 중앙 「아시아」 벽화서 신라인 모습 첫 발견|김원룡 박사가 입수한 사마르칸드 보고서

    중앙 「아시아」에 1천3백년전 신라인의 모습이 나타났다. 소련안의 중앙 「아시아」인 「우즈베크」 공화국 수도 「사마르칸드」시 구성지의 채색 벽화 가운데 서기 8백년께의 한국인 두

    중앙일보

    1976.02.11 00:00

  • (하)조국 떠난지 반세기…소 민속학자가 살펴본 실태

    한인들의 집 구조는 도시의 집들과 비슷하다. 대부분 흙으로 지었고 방은 3∼4개다. 대체로 도로쪽으로 향해있고 집 주위엔 흙담이 높이 둘러싸인 채소밭이 있다. 그들은 직접 집을 짓

    중앙일보

    1975.10.25 00:00

  • (상)조국 떠난지 반세기…소 민속학자가 살펴본 실태

    중앙「아시아」의 소련남부지방에 상당수의 한인들이 집단적으로 살고있다는 사실은 희미하게나마 전해져왔으나 그 규모나 실태에 대해서는 전혀 알려진바 없었다. 일제의 압박을 피해 약 50

    중앙일보

    1975.10.24 00:00

  • 동양학 토의에 적극참여

    국제역사학대회(14차)에 참석했던 한국대표단 14명이 11일 귀국했다. 71년「모스크바」대회 때 가입한 우리나라는 이번에 처음으로 참가했다. 이번 대회에는 미국·소련을 비롯하여 세

    중앙일보

    1975.09.15 00:00

  • 소에 한국인 30만 명, 미 국회도서관 발표

    【워싱턴=AK뉴스】미 국회도서관 법제자료 부 보고에 따르면 소련에는 적어도 30만3천명 가량의 한국인이 살고 있으며 이들은 대부분 소련의 15개 공화국 중 3개 공화국에 집중되어

    중앙일보

    1972.09.26 00:00

  • 활발한 소련에서의 한국어 연구

    소련의 한국학연구는 세계적으로 가장 깊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 가운데도 한국어연구는 주목되는 바 크다. 최근『아세아연구』통권42호(고대아세아문제연구소 간)는 67년 소련에

    중앙일보

    1971.10.14 00:00

  • 소서 억류된 망향 40년|일기자가 본 타시켄트 한국인촌

    【동경=조동오특파원】최근 소련의 지방을 여행한 일본 마이니찌(매일)신문 모스크바주재 특파원 요시오까(길강충웅)씨는 중앙아시아의 소련땅 타시켄트에서 약 40년전 강제로 소련에 끌려가

    중앙일보

    1970.06.24 00:00

  • 소 루나 10호-첫 「달 위성」으로

    【모스크바 4일 AFP·로이터】소련「루나」10호의 달 궤도 진입이 공식 확인됨으로써 4일 인간의 달 정복은 한 발짝 다가서게 되었다. 소련 우주 비행사「블라디미르·코마로프」중령은「

    중앙일보

    1966.04.05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