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퇴계 선생 ‘불천위 제사’ 제례

    퇴계 선생 ‘불천위 제사’ 제례

    퇴계 이황 선생의 불천위 제사는 음력 12월 8일 종가의 별채인 ‘추월한수정’의 재실에서 지낸다. 1570년 퇴계가 세상을 떠난 뒤 437년 동안 한 번도 거르지 않았다. 불천위

    중앙선데이

    2008.09.12 23:04

  • 21세기 종손으로 사는 법

    21세기 종손으로 사는 법

    올해 100세를 맞은 이동은씨에서부터 돌이 갓 지난 이이석군까지 1000원 지폐 ‘그분’의 종손 4대가 사는 곳, 경북 안동시 도산면 퇴계종택(退溪宗宅)을 찾아 이황 선생의 종손

    중앙선데이

    2008.09.12 22:47

  • [me] ‘울학교 이티’서 교사역 맡은 김수로

    [me] ‘울학교 이티’서 교사역 맡은 김수로

    김수로(38·사진)는 코미디에 뛰어난 배우다. ‘간 큰 가족’‘흡혈형사 나도열’같은 영화에서도 그랬지만, 영화 홍보를 위해 출연한 TV 오락물에서도 특유의 입심에 더해 ‘꼭짓점

    중앙일보

    2008.09.09 01:44

  • 패션쇼 무대 오르는 퇴계·서애 종손

    패션쇼 무대 오르는 퇴계·서애 종손

    퇴계 이황(1501∼1570) 선생과 그 제자인 서애 류성룡(1542∼1607) 선생의 종손들이 서울 한복판에서 패션 모델로 나선다. 안동시가 6일 오후 7시 서울 운현궁 특설무대

    중앙일보

    2008.09.06 00:31

  • “멜론이든 망고든 조상님은 기뻐하실 것”

    “멜론이든 망고든 조상님은 기뻐하실 것”

    퇴계 이황 종가의 다례상에는 멜론이 오른다. 고산 윤선도 종가는 제사상에 바나나뿐 아니라 오렌지도 올린다. 불천위(不遷位·4대가 지났어도 자손 대대로 기제사를 모실 수 있게 국가나

    중앙일보

    2008.09.05 02:08

  • “종손 치고 가출 한 번 생각 안 한 사람 없다”

    3일 열린 국립문화재연구소의 ‘종갓집 제사, 어떻게 지속될 것인가’ 심포지엄에는 학술 행사로는 드물게 일반인이 300명 넘게 몰렸다. 행사장인 경복궁의 국립고궁박물관 강당이 꽉 차

    중앙일보

    2008.09.05 02:07

  • ‘지산 문중전’ 오늘 개막 … 기탁한 자료 70점 선보여

    한국국학진흥원이 기탁문중 특별전으로 ‘창녕 조씨 지산(芝山) 문중전’을 연다.  24일 개막하는 ‘지산 문중전’은 안동시 도산면 서부리 국학진흥원 유교문화박물관에서 이 문중이 지난

    중앙일보

    2007.10.24 05:51

  • 퇴계 15대 종손 99세 생일상 "장수 비결은 활인심방"

    퇴계 15대 종손 99세 생일상 "장수 비결은 활인심방"

    "어젯밤 헤아려 보니 자손만 75명이더군요. 내년 이맘때는 100명이 넘을 겁니다. 내년엔 100세 꼭 채우셔야 하는데." 4일 오후 경북 안동 두리원 웨딩홀. 퇴계 이황 선생의

    중앙일보

    2007.07.05 04:44

  • 이연자의 종가음식 기행④ 안동 퇴계 이황 종가

    이연자의 종가음식 기행④ 안동 퇴계 이황 종가

    퇴계 이황 종가에 이달 초 시집온 새색시 이주현씨. 시댁에서 내린 큰상 앞에 다소곳이 앉아 있다.1일 경북 안동시 도산면 토계리에 있는 퇴계 이황의 종가 안방. 형형색색의 맛깔스러

    중앙일보

    2007.04.10 20:43

  • 지방문화재가 털리고 있다

    지방문화재가 털리고 있다

    지난해 12월 7일 충남 예산군 덕산면사무소 직원은 '남은들 상여'(중요민속자료 31호) 보호각에 청소하러 갔다 깜짝 놀랐다. 상여 위에 있던 장식품들이 몽땅 뜯겨져 껍데기만 남아

    중앙일보

    2006.01.05 06:09

  • "에헴 ~ " 옛 사대부의 삶, 눈에 잡힐 듯

    "에헴 ~ " 옛 사대부의 삶, 눈에 잡힐 듯

    1600년 경에 제작된 ‘진성 이씨 족보’ .진성(眞城) 이씨(李氏)는 조선시대의 손꼽히는 양반가다. 조선조가 낳은 큰 유학자인 퇴계 이황을 배출한뼈대 있는 집안으로 유명하다. 경

    중앙일보

    2005.11.23 21:42

  • [김서령의 家] 농암 이현보 17대손 이성원씨 긍구당

    [김서령의 家] 농암 이현보 17대손 이성원씨 긍구당

    이번엔 안동이다. 집을 말하면서 어찌 안동엔 내려올 생각을 않느냐는 꾸지람 겸 초청을 받아들이기로 했다. 풍기를 지나 봉화를 거쳐 청량산을 끼고 돈다. 시루떡 같은 암벽에 넋을 놓

    중앙일보

    2004.03.18 16:25

  • 퇴계 서책 등 6천여점 도산서원 떠나

    경북 안동 도산서원에서 5백년간 보존돼온 퇴계(退溪) 이황(李滉.1501~1570)선생의 친필 서한 등 6천여점의 서책과 목판이 처음으로 도산서원을 떠나 새 보금자리를 마련했다.

    중앙일보

    2003.04.16 18:49

  • [바로잡습니다] 3월 13일자 29면 기사 중

    3월 13일자 29면 '삶.학문 숨쉬는 도산서원 만들 터'기사 중 퇴계 이황 선생의 17대 종손은 이치익씨가 아니라 이치억씨이기에 바로잡습니다.

    중앙일보

    2003.03.13 19:08

  • "삶·학문 숨쉬는 도산서원 만들 터"

    "도산서원을 삶과 학문이 살아 숨쉬는 곳으로 복원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조선시대 성리학의 대가 퇴계 이황 선생의 직계 후손이 뒤늦게 유학을 전공하고 있어 화제다. 주인공은 성균관

    중앙일보

    2003.03.12 18:57

  • [주목! 이 프로] '한국의 종가' 방영

    성(姓)을 중시하는 한국 문화에서 종가(宗家)는 씨족 집단의 구심점 역할을 해왔다. 그러나 생활이 서구화하면서 종가의 전통과 위상은 점차 약해지고 있다. 종가가 농경사회와는 짝을

    중앙일보

    2003.02.16 17:28

  • "목판 수집·분류에 밤을 잊었죠"

    “목판(木版) 한장 한장이 소중한 문화 유산입니다.수만장의 목판이 장차 만들어낼 부가가치는 이루 헤아리기 어려워요.없어지기 전에 수집하는 게 급선무입니다.” 경북 안동 한국국학진흥

    중앙일보

    2003.02.09 18:50

  • 승용차로 경상북도 가족여행

    Q:다음달 3~5일 승용차를 이용해 경상북도로 가족여행을 떠나려 합니다. 초등학교 1,5학년 아이들과 함께 갑니다.이번 여행에서는 우리의 역사와 전통문화를 보여주려고 합니다. A:

    중앙일보

    2002.09.11 00:00

  • ② 유림의 고장 경북 북부:도산서원·병산서원·이육사 생가 등 선비의 뜻 품은 '文鄕'

    퇴 계 이황(1501~1570)은 성리학을 꽃피운 조선시대의 대표적 학자이자 사상가다. 그의 사상은 한국학에 깊은 영향을 미치며 4백여년이 지난 지금까지 면면히 이어져 내려오고 있

    중앙일보

    2002.07.31 00:00

  • 공자-퇴계 후손 뜻깊은 만남 이뤄져

    "퇴계(退溪)선생의 탄신 5백주년을 축하드립니다. " "먼 길을 찾아주셔서 감사합니다. " 5일 오후 경북 안동시 낙동강변 세계유교문화축제 행사장에서 뜻깊은 만남이 이뤄졌다. 우리

    중앙일보

    2001.10.06 00:00

  • [삶과 추억] 고 연민 이가원 선생

    "밥 대신 죽을 드시고 쌀 살 돈으로 책을 사 읽으셨지. " (연세대 이윤석(李胤錫) 교수) "파이프를 물고 강의하시던 모습이 아직도 눈에 선한데 말이죠. " (창원대 민긍기(閔肯

    중앙일보

    2000.11.11 00:00

  • [아카데믹 뷰] 서울대 이순형 교수

    달라야 한다는 것은 시대의 요구. 최근 학술계에도 신선하고 이색적인 시도나 연구가 줄을 잇고 있다. 특색있는 연구로 색깔 있는 학술 현상을 발굴하는 '아카데믹 뷰' 를 격주로 소개

    중앙일보

    2000.06.14 00:00

  • [내마음속의 문화유산]38.사당·정자·비석

    국보나 보물급 문화재 앞에 운집한 사람들의 틈바구니에서는 나의 가슴에 와닿는 감동을 느끼기가 쉽지 않다. 차라리 나에게 '문화유산' 이란 말뜻은 관광객도 없고 문화유산을 순례하러

    중앙일보

    1997.11.22 00:00

  • 천재기계 만드는 교육세태에 돌아본 뼈대있는 배움터 家門. 宗家

    근대화과정에서 잃어가는 우리의 모습이 무엇인지를 돌아보는 길목,그 외진 곳에 종가가 있다.택리지에서 명당으로 지목한 곳에 위치한 안동 토계마을 퇴계 이황 종가와 하회마을의 서애 유

    중앙일보

    1997.03.29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