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삼성전자, 288M 초고속 램버스 D램 양산

    삼성전자는 차세대 고속 메모리 반도체중 하나인288M 다이렉트 램버스 D램 개발에 성공, 기존의 싱크로너스 D램을 대체할 고속 반도체 양산에 나서게 됐다고 3일 밝혔다. 288M

    중앙일보

    2000.01.03 11:07

  • 현대전자, 0.15㎛ 공정 256메가D램 개발

    현대전자는 세계 처음으로 회로선폭 0.15미크론(㎛)의 초미세 공정기술을 적용, 데이터 처리속도 166㎒의 초고속 2세대 256메가 싱크로너스 D램 상용 제품을 개발했다고 8일 발

    중앙일보

    1999.11.08 15:13

  • 현대전자, 0.15㎛ 공정 256메가D램 개발

    현대전자는 세계 처음으로 회로선폭 0.15미크론(㎛)의 초미세 공정기술을 적용, 데이터 처리속도 166㎒의 초고속 2세대 256메가 싱크로너스 D램 상용 제품을 개발했다고 8일 발

    중앙일보

    1999.11.08 11:04

  • 현대전자, 0.15㎛ 공정 256메가D램 개발

    현대전자는 세계 처음으로 회로선폭 0.15미크론(㎛)의 초미세 공정기술을 적용, 데이터 처리속도 166㎒의 초고속 2세대 256메가 싱크로너스 D램 상용 제품을 개발했다고 8일 발

    중앙일보

    1999.11.08 11:04

  • S램·플래시 메모리 차세대 반도체 뜬다

    세계 메모리반도체 시장에 'S램' 과 '플래시메모리' 라는 쌍두마차의 도전이 거세다. 지금까지는 컴퓨터의 기억장치로 사용되는 D (Dynamic) 램이 주종을 이뤘는데, 최근 S

    중앙일보

    1999.08.04 00:00

  • [커버스토리]차세대 반도체 또 한발 앞섰다

    '가늘게, 더 가늘게…' . 반도체 기술의 핵심은 한마디로 반도체내의 회로 굵기를 보다 미세하게 만드는 것이다. 그래야 반도체의 집적도가 높아지며 원가도 줄여 갈수록 치열해지는 세

    중앙일보

    1998.06.10 00:00

  • 삼성전자-한국표준과학연구원,반도체 초정밀 측정기술 공동개발

    삼성전자는 한국 표준과학연구원과 함께 세계 최고 수준의 반도체 초정밀 측정기술과 표준시료.측정장비등을 개발하는데 성공했다고 12일 발표했다. 2년간의 공동연구를 통해 개발된 이 기

    중앙일보

    1997.10.13 00:00

  • 국산 펜티엄칩 개발성공 - 현대전자. 과기원 공동

    컴퓨터의 핵심부품인 마이크로프로세서'펜티엄 칩'이 국내기술로 개발됐다. 현대전자(대표 鄭夢憲)연구팀과 한국과학기술원(KAIST) 경종민(慶宗旻)교수팀은 지난 95년 4월부터 국책과

    중앙일보

    1997.05.24 00:00

  • 1兆비트급 D램등 4개분야 집중지원-科技處 원천기술확보책

    정부는 2005년까지 총 3천90억원을 들여 1테라비트급(1테라=1조)D램 반도체등 4개 미래원천기술 4개연구과제를 집중개발키로 했다. 과기처 임재춘(林載春)기계전자연구 조정관은

    중앙일보

    1996.10.30 00:00

  • 현대전자,高집적반도체장비 개발

    현대전자는 1기가 D램 이상의 차세대 초고집적반도체 제조에 필수적인 반도체제조장비를 개발하는데 성공했다고 2일 발표했다. 이 장비는 화학물질간의 반응으로 형성된 가스입자들을 웨이퍼

    중앙일보

    1996.08.03 00:00

  • 256메가級이상 超고집적반도체用 차세대 이온주입기 국산화

    2백56메가D램 이상의 초고집적(超高集積)반도체 제조에 사용되는 차세대 이온주입기가 국내에서 개발돼 연간 7천5백만달러(약5백70억원)이상의 수입대체효과를 얻을수 있게 됐다. 한국

    중앙일보

    1995.05.24 00:00

  • 개인 휴대통신단말기 소형화 한국통신,반도체칩 개발

    차세대 이동통신으로 관심을 끌고 있는 개인휴대통신(PCS)용단말기를 소형.경량화할 수 있는 핵심 반도체 칩이 국내에서도 개발됐다. 한국통신(사장 趙伯濟)은 3일 통신시스템개발센터

    중앙일보

    1995.03.04 00:00

  • 포항공대 7일 준공 放射光가속기-세계5대보유국 부상

    20만평의 부지에 건물면적은 6개동 1만1천6백평,1천5백억원이 투입된 포항 방사광가속기(放射光加速器)가 마침내 7일 준공된다.포항공대 구내에 위치한 방사광가속기는 91년4월에 착

    중앙일보

    1994.12.03 00:00

  • 95년 과기처예산 어디에 얼마쓰나

    최근 확정된 정부의 내년도 과학기술예산 7천1백95억원 가운데 연구개발비에서만 금년에 비해 1천억원이 늘어나 특정연구개발사업등 연구사업 활성화가 기대되고 있다.특정연구개발사업예산이

    중앙일보

    1994.10.01 00:00

  • 반도체산업 美정상탈환-인텔.모토로라 약진

    美國이 80년대 중반 日本에 빼앗겼던 세계 반도체시장 정상의자리를 되찾아 모처럼 활기를 띠고 있다. 10년전 반도체를 둘러싼 美-日 마찰이후 D램시장으로부터 철수한 미국이 非메모리

    중앙일보

    1994.06.14 00:00

  • 반도체산업-올 수출 75억불 황금알을 낳는다

    세계반도체산업은 90~95년사이 평균 13.3%씩 성장,통신8.9%,전자 7.2%,컴퓨터 6.8%를 능가하는 고성장이 예견되고 있다.이같은 고성장전망은 반도체가 컴퓨터는 물론 각종

    중앙일보

    1993.11.27 00:00

  • 60년대이후 북한 달라진 생활상-곳곳에 자본주의 냄새

    北韓에선「먹는 문제」가 예전이나 지금이나 가장 중요한데「衣食住」를 늘「食衣住」로 부르는데서도 알수 있다. 「쌀은 공산주의다」라는 슬로건까지 내건 北韓은 줄곧 식량증산과 식품가공업에

    중앙일보

    1993.09.21 00:00

  • 한일 과학·기술협력/61개 사업 새로 추진/내일부터 양국협력위

    한일 양국은 2일부터 이틀간 동경에서 제6차 과학기술협력위원회를 열어 오는 2001년까지 3조7천억원을 투입하는 초고집적 반도체기술 등 11개 핵심선도기술의 중점 개발지원(G­7)

    중앙일보

    1993.02.01 00:00

  • 「작은 거인」운동(분수대)

    지난 8월 미 하원은 3백억달러가 소요되는 우주정거장 건설계획을 가결함으로써 그동안 논란을 거듭했던 「궤도선회 깡통」에 대한 비판은 일단 잠잠해졌다. 막대한 재정적자 때문에 더이상

    중앙일보

    1992.10.17 00:00

  • 「G7 프로젝트」 11개 과제 확정

    2000년대 과학기술 선진 7개 국권 진입을 위한 선도기술사업(일명 G7프로젝트)계획이 마무리돼 올해부터 본격적으로 추진된다. 이 계획은 8개 부처와 3개 정부투자기관 및 기업이

    중앙일보

    1992.06.22 00:00

  • 정부출연 연구기관 새해설계|원자력기술 자립에 박차

    정부 출연연구기관들은 지난해의 합동평가에 따른 조직개편과 기능재정립이 마무리됨에 따라 새로운 연구체제에 따른 연구활성화가 기대되고 있다. 이와 함께 평가에 따른 후속조치에 미온적이

    중앙일보

    1992.01.06 00:00

  • 조명 91과학계(상)|핵처분장 설립 "진퇴양난"

    올해는 과학기술에 대한 국민적 공감대가 형성되기 시작했고 국제연구협력의 전개, G7 프로젝트의 착수, 과학기술자문회의의 설치등 과기처의 기능에 걸맞은 일들이 이뤄졌으며 연구개발수확

    중앙일보

    1991.12.16 00:00

  • 과학기술 선진화|국제공동연구 추진|과기처 발표 첨단기술 국제협력 방안

    과기처가 연구개발의 국제화, 한미 기술동맹 결성 등을 내용으로 하는 「새로운 국제질서에 대응한 첨단기술협력방안」을 발표한 것은 미소등선진국의 연구개발여건이 변화함에 따라 이에 대한

    중앙일보

    1991.10.25 00:00

  • 무공해 전자자동차 거리질주|21세기 과학기술고 한국의 과제

    오늘날을 「테크노 헤게모니」 시대라고 한다. 국가의 융성과 패권수단이 무력에서 경제, 경제에서 과학기술로 이행된 것이다. 선진국들은 자국보유기술의 보호 내지는 신기술의 개발가속화로

    중앙일보

    1991.09.25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