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박종무의 휴먼 & 펫] 들개와 함께 살아가기

    [박종무의 휴먼 & 펫] 들개와 함께 살아가기

    박종무 평생피부과동물병원 원장 새해가 밝았다. 연말에 많은 눈이 내렸다. 사람과 반려동물은 추위를 피해 실내에서 따뜻하게 보내지만 집 밖에서 찬 바람을 맞으며 살아가는 동물도 있

    중앙일보

    2024.01.03 02:41

  • 너무 말라 추적장치 헐렁…부산 온 '멸종위기' 붉은여우 어디에

    너무 말라 추적장치 헐렁…부산 온 '멸종위기' 붉은여우 어디에

    부산 해운대 야산에서 포착된 붉은여우. 사진 독자 신병륜씨 “혼자 와서 외롭게 지내던 ‘우리아기’. 새 짝 만나서 잘 살았으면….” 부산 해운대에 사는 ‘여우 명예보호원’ 하경숙

    중앙일보

    2023.02.12 17:16

  • 삵에 속절없이 당한 황새...멸종위기종 서식처 '정주영 유산'

    삵에 속절없이 당한 황새...멸종위기종 서식처 '정주영 유산'

    충남 서산시 천수만에 있는 서산버드랜드 주변 농경지에 날아든 천연기념물이자 멸종위기야생생물 I급 황새 무리가 자태를 뽐내며 한가로운 시간을 보내고 있다. 연합뉴스  ━  이사 8

    중앙일보

    2023.01.15 05:00

  • 버려진 마스크 수십억개의 저주…새는 부리를 열지 못했다

    버려진 마스크 수십억개의 저주…새는 부리를 열지 못했다

    싱가포르에서 관찰된 검은해오라기. 부리가 마스크 끈과 얽혀 있다. [자료: Science of Total Environment, 2022] 지난 2020년 4월 캐나다에서는 미국

    중앙일보

    2022.08.13 16:00

  • [더오래]담비, 귀엽게 생겼다고? 알고 보면 사나운 포식자

    [더오래]담비, 귀엽게 생겼다고? 알고 보면 사나운 포식자

     ━  [더,오래] 신남식의 야생동물 세상보기(23)     야생의 세계에서 살아가기 위해서는 다른 동물보다 우위를 차지하는 것이 많을수록 유리하다. 특히 육식동물은 덩치가 크고

    중앙일보

    2020.11.18 13:00

  • 참새·제비가 돌아왔다…3~4년 전부터 회복세 뚜렷

    참새·제비가 돌아왔다…3~4년 전부터 회복세 뚜렷

    숫자가 크게 줄었던 참새가 3~4년 전부터 꾸준히 늘고 있다. 추석 명절 전날인 지난해 10월 3일 아침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행신동 한 공원에서 나뭇잎 붉게 물든 나뭇가지에 참

    중앙일보

    2018.03.09 06:00

  • 탕탕탕...백두대간 '멧돼지 사파리' 가볼까?

    탕탕탕...백두대간 '멧돼지 사파리' 가볼까?

    백두대간이 통과하는 경북과 강원도 지역에서 멧돼지를 비롯한 야생동물 수렵활동이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다. 야생동물들의 개체수가 늘면서 농작물뿐 아니라 인명 피해까지 자주 발생하면서

    중앙일보

    2017.06.02 12:18

  • 시내 한복판에 멸종위기 동물 출현

    시내 한복판에 멸종위기 동물 출현

    [사진=뉴시스]23일 오전 부산 부전동 밀리오레 상가 부근에서 멸종위기동물 2급으로 지정된 '삵' 1마리가 발견됐다. 119구조대는 이날 "짐승이 상가 계단을 막고 있으니 출동해

    온라인 중앙일보

    2012.07.23 15:09

  • 충북, 옥천·영동·보은·단양군에 순환수렵장 운영

    충북도는 야생동물의 적정 서식밀도 조정을 위해 17일부터 내년 3월 16일까지 옥천·영동·보은·단양 등 4개 군에서 순환수렵장을 운영한다. 수렵장에서는 3종의 포획승인권이 발급된다

    중앙일보

    2010.11.08 01:06

  • “동물이 살 수 없는 환경에선 인간도 살 수 없다”

    “동물이 살 수 없는 환경에선 인간도 살 수 없다”

    서울에도 야생동물이 살고 있을까. 아스팔트 가득한 서울에서 야생동물을 보고 그들과 어울리면 어떨까. 서울의 일상속에서 야생동물을 보기란 쉽지 않다. 100년 전 호랑이가 있었던

    중앙선데이

    2010.05.30 00:31

  • [숫자로 보는 사회] 36만 5056마리

    다음 달부터 내년 2월까지 전국 19개 시·군의 순환수렵장에서 포획할 수 있는 야생동물 숫자. 꿩·까치·까마귀·고라니·청설모 등 야생동물 14종 가운데 조류를 제외하면 멧돼지가 8

    중앙일보

    2009.10.27 01:43

  • [브리핑] 야생동물 피해방지단 운영 外

    ◆야생동물 피해방지단 운영 천안시는 농작물 수확기를 맞아 9월부터 10월까지 두 달간 야생동물 피해방지단을 운영한다. 시는 한국야생동식물보호관리협회의 협조를 받아 20명으로 방지단

    중앙일보

    2009.09.03 14:42

  • [로컬가이드] ‘시민을 위한 군악축제’ 外

    [로컬가이드] ‘시민을 위한 군악축제’ 外

    ◆육·해·공군의 각 본부 군악대와 대전시립예술단이 함께 펼치는 ‘시민을 위한 군악축제’가 2일 오후 7시30분 충남대 정심화국제문화회관에서 화려하게 펼쳐진다.건군 제59주년을 기념

    중앙일보

    2007.10.01 05:59

  • 멧돼지·고라니가 헤집고… 뭉개고… 농사보다 힘든 '밭 지키기'

    멧돼지·고라니가 헤집고… 뭉개고… 농사보다 힘든 '밭 지키기'

    지리산 자락에서 농사를 짓는 강대성(70.전북 남원시 운봉읍)씨는 올해 지은 5000여 평의 옥수수 밭 가운데 절반 정도를 망쳤다. 지난달 멧돼지 떼가 밭을 짓밟아 뭉개고 알이 꽉

    중앙일보

    2005.08.19 05:35

  • 천안 '광덕호두' 흉작

    호두 주산지인 충남 천안의 '광덕호두'가 올해 큰 흉작을 기록했다. 31일 광덕농협에 따르면 올 생산량은 3t으로 지난해(25t)의 12% 수준에 불과한 것으로 집계됐다. 연간 2

    중앙일보

    2004.10.31 20:42

  • 원주·태안·영동에 순환수렵장

    환경부 방침에 따라 강원도 3개 시.군(원주.홍천.평창)과 충남 태안군, 충북 영동군이 11월 1일부터 내년 2월말까지 4개월 동안 순환 수렵장을 운영한다. 수렵 희망자는 2만~4

    중앙일보

    2004.10.26 20:45

  • [중부 뉴스 브리핑] 10월 23일

    *** 행사 모임 대전 대덕구는 26일 대청호반에서 제6회 환경사랑 대덕사랑 자전거타기 대회를 연다. 대회는 오전 10시 30분 대청댐 잔디광장을 출발, 보조댐~노산~잔디광장으로

    중앙일보

    2003.10.22 21:22

  • 까치·청설모 포획 보상금 3천원 지급

    농작물에 막대한 피해를 주는 까치.청설모 등 유해 조수와의 전쟁이 수확기를 앞두고 시작됐다. 최근 국내 최대 호두생산지인 충남 천안시 광덕면은 청설모, 청양군은 까치에 대해 1마리

    중앙일보

    2003.07.23 21:07

  • 생태계 망치는 "들고양이를 부탁해"

    '들고양이를 잡아라'. 환경부에 떨어진 긴급과제다. 이는 들고양이가 너무 늘어나 다람쥐나 청설모를 닥치는대로 잡아먹고 나무 위의 새둥지까지 습격하며 생태계를 교란하고 있는 데 따른

    중앙일보

    2003.06.30 18:07

  • [마이너리티의 소리] 그림책서만 보는 여우·살쾡이…

    고대로부터 인간은 에너지원인 육류를 수렵행위를 통해 확보, 조달해 왔다. 오늘날 가금.가축화된 동물들은 이런 수렵의 역사적 산물이기도 하다. 농경국가였던 과거, 대량 사육이 어려웠

    중앙일보

    2002.01.03 00:00

  • [시민의 힘] 충남 '광덕산을 지키는 사람들'

    지난 18일 충남 아산의 광덕산 자락 강당골 입구. 등산복 차림의 10여명이 모여 준비물을 점검하고 있다. 동식물 분포 지도, 새 먹이, 가위, 집게, 봉지 등을 하나씩 챙긴다.

    중앙일보

    2001.02.21 00:00

  • 전남·북지역 4년만에 순환 수렵장 지정

    전남.북지역이 다음달 1일부터 내년 2월 말까지 4개월 동안 순환수렵장으로 설정돼 사냥이 가능하다. 순환수렵장은 야생 조수의 개체수 조정을 통한 자연생태계 균형 유지를 위해 전국을

    중앙일보

    2000.10.07 00:00

  • 까치로 농작물 피해 4년간 117억

    까치.멧돼지 등에 의한 농작물 피해가 갈수록 심각해지고 있다. 22일 환경부에 따르면 유해조수에 의한 농작물 피해액은 1996년부터 지난해까지 총 1백58억9천9백만원으로 연평균

    중앙일보

    2000.08.23 00:00

  • 밤·도토리등 열매 흉년 산짐승들 굶주림

    야생동물들의 겨우살이용 먹이인 산열매가 예년에 비해 크게 줄어들어 이들 동물의 기아사태가 우려된다. 산다람쥐.청설모.반달 가슴곰.멧돼지 등 국내 야생동물들의 주요 먹이인 밤.도토리

    중앙일보

    1999.11.19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