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문화 단신] 고려대 의료원 外

    ◇고려대 의료원이 유라시안 필하모닉과 함께 음악회 ‘Life+, 나눔과 사랑의 실천’을 연다. 지휘자 금난새와 바이올린 연주자 강동석이 협연, 브람스의 교향곡 1번과 브루흐의 협주

    중앙일보

    2008.06.26 01:13

  • 강원서 살길 찾는 에티오피아

    강원서 살길 찾는 에티오피아

    에티오피아 농촌개발연수단이 11일 횡성 둔내 산채마을에서 나무 시계를 만드는 체험을 하고 있다. [강원도 제공]에티오피아 농업 관계자들이 강원도의 새농어촌건설운동을 배우고 있다.

    중앙일보

    2008.06.12 01:23

  • 에티오피아 어린이들 ‘평화의 노래’

    에티오피아 어린이들 ‘평화의 노래’

    24일 춘천에서 공연하는 에티오피아의 에티 어린이합창단.한국전쟁 당시 아프리카에서 유일하게 군대를 파견했던 에티오피아의 어린이합창단이 춘천에서 평화의 노래를 전한다. 에티 어린이합

    중앙일보

    2008.06.11 01:29

  • [사이언스브리핑] 한국과학재단 外

    ◇한국과학재단은 18일 대전 베스트웨스턴 레전드 호텔에서 개최한 ‘제6회 원자력 대학생 연구논문 발표대회(NtUss Forum 2008)’에서 KAIST 이유호 학생의 논문을 대상

    중앙일보

    2008.03.21 01:50

  • [내생각은…] 한국전 참전 용사와 유대 이어가야

    [내생각은…] 한국전 참전 용사와 유대 이어가야

    우리 국민에게 있어 현충일, 6.25전쟁이 있는 6월은 순국선열의 호국정신을 기리면서 국가안보의 귀중함을 되돌아보는 뜻깊은 달이다. 캐나다에선 현충일이 11월 11일이다. 겨울이

    중앙일보

    2007.06.18 21:04

  • 에티오피아 '한국촌' 살아났다

    에티오피아 '한국촌' 살아났다

    에티오피아 수도 아디스아바바 동북쪽에 이 나라와 한국의 우호를 상징하는 학교가 있다. 도심에서 20여 분쯤 떨어진 코리안 빌리지에 자리 잡은 '히브레트 피레' 초등학교다. 이 학교

    중앙일보

    2007.01.31 05:23

  • 4만895명 '보은의 이름' 하나하나 새겼다

    4만895명 '보은의 이름' 하나하나 새겼다

    23일 부산 유엔공원을 찾은 방문객들이 새로 조성된 추모 명비 앞에서 묵념하고 있다. 높이 2~4.5m, 폭 60㎝의 화강암판 166개에 4만895명의 이름을 새겼다. 송봉근 기자

    중앙일보

    2006.10.24 04:13

  • 아프리카에 소방차 간다

    강원도내 화재 현장을 누벼 온 소방차들이 아프리카 에티오피아의 수도 아디스아바바시에서 불 끄기에 나선다. 강원도소방본부는 "올해 소방차를 신형으로 바꾸면서 나오는 중고 소방차 10

    중앙일보

    2005.04.17 21:50

  • 춘천시, 6.25 참전용사 돕기 판촉운동

    춘천시가 설 명절을 앞두고 에티오피아산 커피 판매에 발벗고 나섰다. 한국전쟁에 참여했던 에티오피아 참전 용사와 유가족 지원 사업 비용을 마련하기 위해서다. 27일 춘천시에 따르면

    중앙일보

    2005.01.27 21:06

  • [81-90]

    1981년 2. 5 : 허담(외교부), 비동맹외상회의 참석차 뉴델리에 체류 중 성명 발표, 「세계비동맹운동이 제국주의자들의 침략 및 전쟁정책에 대항, 더욱 회원국들간의 단결을 시위

    중앙일보

    2004.10.25 13:30

  • [조정연의 세계일주] 당신의 관심을 보여주세요

    법명도 없이 그저 '은주'라고 불리는 50대 여스님을 만난 곳은 에티오피아의 아디스아바바였다. 한국 여자가 묵고 있다는 소식을 듣고, 혹시 벌써 떠났을까 부랴부랴 달려오셨다며, 해

    중앙일보

    2004.09.09 15:47

  • "동두천 보화원 출신 6·25전쟁 고아 아시나요"

    "동두천 보화원 출신 6·25전쟁 고아 아시나요"

    ▶ 6.25전쟁 기간 중 에티오피아군 목사와 군인 일행이 보화고아원 원생들에게 음식을 나줘준 후 한국인 자원봉사자들과 함께 기념 촬영한 사진. [유엔 한국참전국협회 제공] "한국전

    중앙일보

    2004.06.08 19:13

  • [책꽂이] '사랑은 야채 같은 것' 外

    [책꽂이] '사랑은 야채 같은 것' 外

    ◇사랑은 야채 같은 것(성미정 지음, 민음사, 6천원)=시집 '대머리와의 사랑'을 펴냈던 시인의 두번째 시집. 시인의 고민은 변비와 음주벽, 비만과 피부 트러블이라는 등 시상.형

    중앙일보

    2003.08.08 17:23

  • "지구촌 질병·기아 추방에 앞장설 것"

    "국제로타리의 정신은 국제우호 증진과 지역사회의 발전입니다. 인종·종교·국적 등을 초월한 사랑의 씨앗을 심어 지구촌에서 질병과 기아를 추방하는 데 앞장서겠습니다." 11일 오후

    중앙일보

    2002.12.12 00:00

  • 에티오피아 참전 용사 8년째 도와 신광철 참전용사후원회 사무국장

    15일 오후 검은 얼굴을 한 백발의 '잊혀진 용사'들이 한국을 찾는다. 에티오피아의 한국전쟁 참전 장병 20명이 국가보훈처의 초청을 받아 '한국전 참전 50주년 행사'(2000∼

    중앙일보

    2002.10.15 00:00

  • [출국] 에티오피아에 보건소 건립

    민병준(閔丙晙.한국광고주협회장)국제로터리 3650지구 총재는 에티오피아 아디스아바바에 위치한 한국전 참전용사들의 집단거주지인 워레다 지역에 세워지는 보건소 착공식에 참석하기 위해

    중앙일보

    2001.12.12 00:00

  • 해외 한방의료봉사단 에디오피아서 봉사활동

    "아메세크날루 독토르(선생님, 고맙습니다). " 지난 15일 오전 에티오피아 아디스 아바바의 블랙라이온 병원 한쪽에 꾸며진 임시진료실. 30년간 천식을 앓아 온 아킬레르 아다미트

    중앙일보

    2001.08.27 10:59

  • 해외 한방의료봉사단 에디오피아서 봉사활동

    "아메세크날루 독토르(선생님, 고맙습니다). " 지난 15일 오전 에티오피아 아디스 아바바의 블랙라이온 병원 한쪽에 꾸며진 임시진료실. 30년간 천식을 앓아 온 아킬레르 아다미트(

    중앙일보

    2001.08.27 00:00

  • 최재관씨 한국전 참전국 돕기 나서

    "6.25 때 우리를 도왔던 사람들에게 언젠가는 보답해야 한다고 생각했습니다. " 한국전쟁 직후 외국 구호단체의 도움을 받으며 자랐던 어린이가 어른이 돼 한국전 참전국가들의 어린이

    중앙일보

    2001.06.25 00:00

  • [사람사람] 6·25때 동부전선 지킨 하브타씨

    "아직도 눈을 감으면 강원도 산골의 치열한 전투장면이 떠오릅니다." 한국전쟁 50주년을 앞둔 20일 아프리카 에티오피아의 수도 아디스 아바바에 있는 한국촌. 한국전에 참전했던 하브

    중앙일보

    2000.06.24 00:00

  • 기아대책기구, 에티오피아에 식량 전달

    '굶주림의 땅에 사랑의 밀을-. ' 3년째 계속되는 극심한 가뭄으로 8백만명 이상이 기아선상에서 허덕이고 있는 에티오피아를 한국국제기아대책기구(회장 尹南重)가 이달초 찾았다. 긴급

    중앙일보

    2000.05.18 00:00

  • 아내 사망 보상금으로 아프리카에 교실 선물…기아차 연구원 이재후씨

    "내 작은 정성이 그들에겐 엄청나게 큰 것이란 사실을 알고 놀랬습니다. 지금은 땅속에 있는 아내도 기뻐할 겁니다. " 기아자동차 광주공장 기술연구소 연구원 이재후(李在厚.38)씨는

    중앙일보

    1999.11.18 00:00

  • 한의사의료단 에티오피아서 자원봉사 구슬땀 "코리아 자원봉사 넘버원"

    열사 (熱砂) 의 땅 아프리카에 우리나라 자원봉사자들의 인류애가 꽃을 피웠다. 대한한의사협회 해외의료봉사단 (단장 權庸周.36) 13명은 에티오피아 수도 아디스 아바바에서 지난달

    중앙일보

    1997.10.02 00:00

  • 97 기아체험 24시간 캠프 막내려 "북한 어린이 떠올리며 굶었어요"

    중앙일보가 한국선명회.서울방송(SBS)과 공동주최한'97 기아체험 24시간'캠프가 6일 오후6시30분 막을 내렸다.대부분 청소년들인 5천5백여명의 참가자들은 북한동포와 지구촌 난민

    중앙일보

    1997.06.07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