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영동에 폭설|2백여 마을 고립

    【강릉·속초】지난 4일 상오 1시쯤부터 내리기 시작한 영동 지방의 폭설은 7일 상오 11시까지 4일째 해안 지방에 1m18cm, 산간 지대에 1m84cm의 강설량을, 설악산에는 3

    중앙일보

    1972.02.07 00:00

  • 오창사건

    극비리 일본에 검찰관 파견 신성모씨 언동 심문 거창 사건관련자도 수관 다스리기 위한 설등군 법 회의는 1951년7월20일부터 대구고등법원에서 개정되었다.재판장은 주영훈 준장이고,심

    중앙일보

    1971.12.22 00:00

  • (175)|낙동강아 잘 있거라(7)|북괴군의 참상 (하)|6·25 20주…3천여의 증인회견·내외자료로 엮은 다큐멘터리 한국 전쟁 3년

    북괴가 낙동강의 마지막 결전에 투입한 총 병력은 13개 사단의 9만8천명이었는데 8군의 총 반격을 받고 살아서 38선을 도로 넘어간 자는 2만5천 내지 3만명에 불과했다. 나머지는

    중앙일보

    1971.05.14 00:00

  • 연초한파 강풍몰고 맹위

    새해 연초 벽두에 밀어닥친 한파는 동해안·서해안등 각해상에 강풍과 파도까지 몰아쳐 어선이 조난 또는 전복되는등 각종 사고를 일으키고 있다. 동해안 속초와 제주는 해일로 온시내가 정

    중앙일보

    1971.01.05 00:00

  • 근시타산…노가리 해금|7년만의 어획허용과 자원보호

    수산청의 수산자원 보호령 제10조1항(길이27㎝이하의 명태새끼 잡 금지)철폐조치는 동해안의 어족자원보호에 큰 문젯점을 던지고 있다. 수산청은 명태새끼 노가리가 회유 성이기 때문에

    중앙일보

    1970.11.23 00:00

  • (8) 변신···· 휴전선

    50년 9월 30일 미 8군사령관 「워커」장군이 「유엔」군의 38선 월경 북한진격을 명령했고 이어 그해 10월 4일 「유엔」군의 전차가 동해안에서 38선을 뚫었을 때, 38선은 영

    중앙일보

    1970.08.14 00:00

  • 선원 12명 실종

    【강릉】폭풍주의보가 내려진 15일밤 11시쯤 양양군 동북쪽 8km 해상에서 명태잡이하던 제156대양호(10t·선장 김종만·27·주문진어협소속)와 영남호(9t·선장 김하권·34·묵호

    중앙일보

    1970.01.16 00:00

  • 경악·분노의 가족들

    납북소식을 「라디오」로 들은 기장 유씨의 부인 엄영희씨(35)는 하오 4시30분 KAL본사로 달려갔으며 집에는 가까운 친척 몇 명과 장녀 혜연양(11) 등 3남매는 갑자기 몰려든

    중앙일보

    1969.12.12 00:00

  • 납북어부 31명 귀환

    어로저지선 근해에서 납북됐던 어선 5척에 31명의 어부가 2일과 3일 인천과 속초항에 각각 귀환했다. 【인천】3일새벽6시 인천항에는 장항어협소속 복승호(19t) 신성호(19·85t

    중앙일보

    1969.11.03 00:00

  • 전략어종 부작용부르는「출혈수출」

    외화획득에만 급급한 나머지 고급 어종의 국내소비를 억제한 소위「5·1조치」는 날이 갈수록 당초 목표했던 것과는 거리가 멀어져가고 있다. 3개월이나된 지금까지 수산청은 전략어종의 수

    중앙일보

    1969.08.02 00:00

  • 휴전16년

    27일은 휴전16주년이 되는 날이었다. 16년전 바로 이 날 판문점에서는「휴전협정」을 비롯해서「중립국송유위원회직권의 범위」와 「휴전협정을 보족하는 석정적협정」(보노처리절차)등이 조

    중앙일보

    1969.07.28 00:00

  • 납북어부 백50명 귀환

    [속초=장창형기자] 지난겨울 동해휴전선근해에서 명태 잡이하다 납북된 속초항소속 준호 (59t·75마력·선장전종수·38)등 23척이 납북 7개월만인 28일하오 어부1백50명을 싣고

    중앙일보

    1969.05.29 00:00

  • 동해안에 불경기

    【속초·강릉】해일과 설화에 겹쳐 무장공비 및 어로 저지선 남하 등 잇따른 악조건은 동해안 일대에 극심한 불경기를 구석구석까지 몰고 왔다. 동해안 11개 어협 집계에 의하면 올해 위

    중앙일보

    1969.05.17 00:00

  • 사망 8·부상 23명

    23일저넉 늦게부터 쏟아진 비는 25일 아침까지 계속내려 이날 상오 현재 속초의 1백63·2㎜를 최고로 서울과 중부지방에 1백㎜ 이상이 내렸다. 이 비로 25일 상오 현재 전국에서

    중앙일보

    1969.04.25 00:00

  • 주문진지서장해직 공비침투사건문책

    【강릉】강원도경은 22일 강릉경찰서 주문진지서장 김진원경위 (47)를 직위해제했다. 해직이유는 지난16일상오1시 무장공비들이 주문진항에 침투, 주문진지서에서 약50미터 떨어진 강남

    중앙일보

    1969.03.24 00:00

  • 기지와 용기로 무장공비소탕 상보

    【주문진=임병돈기자】주문진에 침투했던무장공비를 수색중이던 군경수색대는 l8일상오 공비들이 버리고간 고무「보트」가 발견된 주문진앞 50미터 해저에서 공비시체7구를 인양한데이어 19일

    중앙일보

    1969.03.19 00:00

  • 5마일의 적자

    정부는 지난 22일 국무회의에서「동해어로한계선변경조치」를 의결, 동해의 어노한계선을 5마일 남하시키기로 했다. 이와 함께 한계선 남하에 마른 어부들의 어획손실보장·해장경비강화·지시

    중앙일보

    1968.11.26 00:00

  • 상처속의 재기

    해일에 할퀴고 찢긴 부두와 방파제에도 다시 명태와 꽁치가 쌓이기 시작했다. 주문진에서 대진까지 1백킬로의 동해연안은 비바람에 앗기었던 활기를 되찾아 부서진 어선을 보수하고 잡아올린

    중앙일보

    1968.11.02 00:00

  • 항만 시설 90%파괴

    【거진=박승탁·주섭일·장창영기자】10·24 동해북부연안의 해일은 이곳 항만시설의 90%를 부숴 놓아(총 피해액2억3천만원·33개소) 고기를 잡아도 처리할 수 없게 됐다. 강원도피해

    중앙일보

    1968.10.29 00:00

  • 어선13척 실종|선원2백42명태워

    【강릉】27일 상오8시쯤 주문진 북쪽 20마일 해상에 오징어잡이 나간 주문진항 소속 어선7척과 정나항 소속어선 6척등 13척은 선원2백42명을 태운채 귀항예정시간(28일하오5시)보

    중앙일보

    1968.08.30 00:00

  • 조난가장 일도피?

    【부산】5일 해경은 지난 1월26일 일본「가모모」(북위35도36분 동경135도16분) 해상에서 일본어선에 구조된 명태잡이어선 남풍호(8톤·선적 주문진·선장 김만봉·45·선원5명)가

    중앙일보

    1968.02.06 00:00

  • 3척침몰·4척실종

    【속초·강릉】13일하오 1시부터 밤11시까지 동해안에 초속25미터의 강풍이 불어 14일 정오현재 3척이 침몰, 4척이 선원24명과함께 실종되고 2척이 표류끝에 유실, 1척반파, 2

    중앙일보

    1968.01.15 00:00

  • 동해서도 24명실종

    【강릉】 구랍30일하오1시30분 주문진항을떠난기범선태명호(5톤·20마력선장정상대등6 명)와 1일상오9시거진항을 떠난 생중호(1·2톤선장 임재봉등8명)가 4일상오현재 돌아오 지 않고

    중앙일보

    1968.01.04 00:00

  • 어선2척 실종

    【강릉】지난26일 상오0시10분쯤 주문진 항을 떠난 명태잡이 어선 양동호(5·78톤·선장 강석천·32·선원6명)와 수북호 (7톤, 선장 박홍교·41·선원6명)가 귀항예정인 28일

    중앙일보

    1967.12.30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