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김석환교수 오지그릇전/전통옹기와 만난다

    ◎서민정서 물씬… 덕수궁서 250점 전시 우리의 고향집 뒤뜰에서 변함없이 「한국의 맛」을 지키던 간장·된장·김칫독들.우물에서 갓 길어낸 시원한 물을 담아 아낙의 머리위에 얹고 갈때

    중앙일보

    1994.06.23 00:00

  • 인스턴트식품의 기린아 큐후드-호박죽.된장국히트

    자본금 1억원으로 출발해 창업 5년만에 3백억원대의 매출을 올렸다면 꽤나 유망한 업체가 아닐까. 게다가 이 회사가 생산하는 제품이 소비의 보수성향이 강한 식품분야라면 한번쯤 그 비

    중앙일보

    1994.04.20 00:00

  • 향토음식관광상품화방안 책낸 관광공사 박황숙 과장

    『우리 농산물로 식탁을 아주 특색있고 다채롭게 꾸밀 수 있습니다.한국방문의 해를 맞아 맛깔스런 음식들이 풍성하고 지역마다볼거리가 많았으면 좋겠어요.책 출간이 관광상품의 인식폭을 넓

    중앙일보

    1994.01.03 00:00

  • 日 건강.自愛상품 인기-광고회사 텐쓰 올해 히트상품 발표

    올해 일본의 히트상품은「자신의 몸과 마음」「인간관계」「일상생활향상」과 관련된 물건들이다.이 목록은 바로 일본인들이 무엇에관심이 많은지를 보여준다. 일본최대의 광고회사 덴쓰(電通)는

    중앙일보

    1993.12.21 00:00

  • 포장밥 내년 일본 수출-식품개발연구원

    『맛좋은 우리쌀을 가공식품으로 만들어 해외로 수출하자.』 한국식품개발연구원 쌀이용연구센터가 쌀시장 개방에 따른 농가의 위기 극복을 위한 처방을 내놓았다. 우리 농민들도 이젠 생산량

    중앙일보

    1993.12.15 00:00

  • 승가 고사리탕 두통에 효험-韓日 사찰음식 전시.강연회

    한국 전통사찰 음식문화연구소(소장 寂門스님)가 27일 오후2시 중앙승가대학에서 개원1주년기념 韓日사찰음식전시회및 강연회를가졌다.사찰음식연구소는 사라져가는 전통사찰음식을 발굴,계승하

    중앙일보

    1993.11.27 00:00

  • 해물뚝배기.해물감자빈대떡.꽃게찜

    서울 역삼동 노보텔 앰배서더 호텔 한식당 다사랑의 주방장 趙熙淑씨가 소개하는 메뉴는 해물뚝배기.해물감자빈대떡.꽃게찜등 쌀쌀한 날씨에 어울리는 해물요리들이다.전통 궁중음식의 맛에 뿌

    중앙일보

    1993.11.13 00:00

  • 재래식 된장.간장 日.美에 첫수출-국산햇콩등 사용 전통맛

    경기도양평군 지제농협(조합장 李榮宰.68)이 순수 재래식 된장.간장을 만들어 일본.미국에 수출해 해외시장개척에 성공했다. 지제농협은 지난달 15일이후 두차례에 걸쳐 수입식품 통관절

    중앙일보

    1993.11.11 00:00

  • 우리의맛展에 송편22종-우리음식연구회 발족기념 전시회

    모시잎을 빻아 넣어 새까만색이 된 모시잎송편,수리취를 빻아넣으면 수리취송편,솔잎대신 옥수수잎을 깔아 만들면 옥수수잎송편,솔잎의 은은함이 향기로운 솔잎송편.우리의 추석상에 보름달대신

    중앙일보

    1993.09.25 00:00

  • 94년 전문대 신설이색학과-장담그기.만화영화 전공도

    전통 발효식품과.여가생활과.상담심리과.만화 영화과.산업영상과…. 세상이 점점 전문화되고 세분화되면서 전문 인력을 기르는 대학에도 각종 이색.첨단학과가 속속 등장하고 있다. 94학년

    중앙일보

    1993.09.17 00:00

  • 「장 담그기」 「만화영화」 전공도/94학년 전문대 신설 이색학과

    ◎「여가생활과」등 모두 22개/김치총론·된장학도 강의 전통 발효식품과·여가생활과·상담심리과·만화영화과·산업영상과…. 세상이 점점 전문화되고 세분화되면서 전문인력을 기르는 대학에도

    중앙일보

    1993.09.17 00:00

  • 콩으로 만들 수 있는 요리 모두 소개|『한국전래 대두…』장지현 저

    최근 대두이용 음식은 전 세계적으로 영양가나 건강성 면에서 그 우수성을 인정받고 있다. 그러나 대두 문화의 종주국이라 할만큼 전통적으로 많은 음식에 대두를 이용해 왔던 우리나라에서

    중앙일보

    1993.06.27 00:00

  • 김수학새마을회장이 후배공무원에 주는 글(공무원)

    ◎“「깨끗한 부」 부끄럼 아니다”/재산 모으되 정당한 노력으로/분수지키는 「게의 철학」 배워야 50년동안 공직생활을 하고 있는 새마을운동중앙협의회 김수학회장(66)이 후배공무원들에

    중앙일보

    1993.04.03 00:00

  • 할머니 손끝서 장맛 살아나요|양천구「할머니 봉사대」 발족

    『장맛은 손끝 맛이야. 우선 물 한말에 소금을 2되반 정도 넣고 적당히 풀어준 다음에…』 「×표 간장」「××식품 즉석된장」등 인스턴트 식품에 밀려 점차 사라져 가는 옛 장맛이 할머

    중앙일보

    1993.03.06 00:00

  • 전북 부안 메주

    장 담그는 철이 다가왔다. 콩을 주원료로 한 발효식품인 간장· 된장·고추장 등 장류는 가장 한국적인 전통조미료로 꼽히고 있다. 요즘 아파트촌에서는 장 담그기가 쉽지 않지만 시골마다

    중앙일보

    1993.02.20 00:00

  • 전통식품 상징마크 된장 등 17품목 추가

    농수산물의 「KS마크」라고 할 수 있는 전통식품 상징마크 실시품목이 대폭 늘어난다. 농림수산부는 지난 91년 10월부터 한과 한품목에 대해 전통식품 상징표시제를 실시한 결과 연간

    중앙일보

    1993.01.07 00:00

  • 국·탕·죽 찌개 인스턴트 식품 쏟아진다

    잣죽·호박죽·된장국·김치찌개에서 사골 육수까지 죽·탕·국 등 우리 전통음식의 맛을 즉석에서 맛볼 수 있는 인스턴트식품이 쏟아지고 있다. 지난해부터 본격적인 제품개발과 판매경쟁에 돌

    중앙일보

    1992.11.22 00:00

  • 「사전평가품목」 16종 추가/된장·마늘 등 저가수입 정밀조사

    관세청은 고추·마늘·화장품·카메라 등 농수산물·공산품 16종을 사전평가대상품목으로 새로이 정해 사전평가품목을 68가지로 늘렸다. 특히 최근 들어 된장·고추장 등 우리전통음식이나 마

    중앙일보

    1992.11.17 00:00

  • 작가 한수산이 본 이모저모(이웃사람 일본인:1)

    ◎숟가락 안쓰는 식사문화/그릇모양·도예형태까지 영향/국물은 후룩후룩 마셔… 놓고 먹는 우리와 대조 작가 한수산씨의 「이웃사람 일본인」을 연재합니다. 주2회 연재될 이 시리즈에서 한

    중앙일보

    1992.09.26 00:00

  • 지재덕(수원문화원장) -『털보집』수원시신풍동

    시골장터 국밥 집보다 더 촌스러운 모습을 지녀 옛 생각을 불러일으키기에 알맞은 집이다 효의 상징인 수원성의 화서문 안쪽으로 활처럼 휜 옛길을 따라 3백여m쯤 내려가면 오른 쪽에 금

    중앙일보

    1992.09.18 00:00

  • 『부일 갈비』

    나이가 든 사람에게는 육식이 건강에 별로 좋지 않다고 하지만 원래 육식을 좋아하는 나는 거의 매일 점심을 고기로 택하는 편이다. 그래서 직장 근처의 육류 식당들이라면 한번씩 다 거

    중앙일보

    1992.08.21 00:00

  • 『오육도』

    아쉽게도 갈수록 우리식탁에서 순수한 자연의 맛이 사라져가고 있다. 봄의 미각을 돋우는 햇쑥도, 미나리로 유명한 내 고향 울산 언양의 미나리 쌈도, 복더위에도 쩌르르한 우물 맛도 어

    중앙일보

    1992.07.17 00:00

  • 『개성집』 -갓 쪄낸 조랑 떡국에 “어머니 손맛”이…이원영

    『집에서 하는 식사가 제일』이라고 선친께서 늘 말씀하셨다. 어려서는 그 말씀이 식사를 준비하는 어머님을 배려한 외교적인 동기에서 비롯되었다고 무심히 여겼는데 나이가 들면서, 특히

    중앙일보

    1992.06.26 00:00

  • 월회비 모아 점심식사 공동으로 한다

    『자, 오늘은 뭘로 할까요.』 16일 오전11시50분 서울 광화문 정부종합청사 내무부 공보계. 지방신문에 실린 내무행정 관련기사를 정리하던 안광호 행정주사가 스크랩북을 덮으며 묻는

    중앙일보

    1992.06.17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