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180)서울수복(5)|환도

    9윌28일 상오10시, 경남도지사 양성봉씨 관저에서는 이승만 대통령 주재로 임시 국무회의가 열렸다. 대통령을 비롯한 모든 장관들의 얼굴은 기쁨과 흥분으로 뻘겋게 상기돼 있었다.

    중앙일보

    1971.05.26 00:00

  • 안개 속의 분류 미·중공해빙|한국에 미칠 영향

    최근 미국과 중공사이에 일어나고 있는 일련의 사태발전에 대해 「워싱턴」에 주재한 한국외교관들은 몇 가지 핵심적 문제를 중심적으로 검토해야 될 것 같다. 무엇보다도 미국의 대중국 고

    중앙일보

    1971.05.06 00:00

  • 남기고 싶은 이야기들(140)양식 복장(7)-이승만(제자는 필자)

    우리 나라에서 맨 먼저 「모던」한 차림의 양복 치레를 한 사람은 구한 말 예식 과장이던 고희성, 영국 「케임브리지」대학 출신의 윤기익, 미국에 8년이나 머무르다 온 이상필-이 세

    중앙일보

    1971.04.26 00:00

  • (137)양식복장(4)이승만

    서양 문물이 우리 생활 속에 침투하면서 언제부터인가 「하이칼라」란 말이 생겼다. 당초에는 모양낸 양복장이에 붙여진 칭호인데, 옷차림 만이 아니라 머리에 기름을 발라 반지르하게 빗

    중앙일보

    1971.04.21 00:00

  • 익살도 만발「4·27」정공·우공의 어록

    ▼선거 때라고 해서 되는 소리 안 되는 소리 함부로 할 수는 없다. 나도 야당처럼 세금을 깎아주겠다고 달콤한 소리 할 수는 있지만 국민을 속이는 일이기 때문에 그렇게 할 수는 없

    중앙일보

    1971.04.21 00:00

  • (136)양식복장(3)이승만

    별기군은 구식 군대 중에서 또렷또렷한 장정들을 발탁해 구성했겠지만 전투하는 병정은 못되었다. 그들의 옷차림이 신식이듯이 위관(장교)은 칼집도 번들번들 하는 군도를 차고, 사병은

    중앙일보

    1971.04.20 00:00

  • (135)양식복장(2)이승만(제자는 책자)

    어릴 때의 기억으로 처음 양복을 본 것은 구한말의 신식 병정이다. 종래의 구식 군대가 앞자락에 퍼런 전대를 늘어뜨리고 머리에 까만 전립을 쓴데 비하여 신식 병정이야말로 뽐낼 만한

    중앙일보

    1971.04.19 00:00

  • (164)인천 상륙(7)

    영흥도 첩보전(2) 「맥아더」사령부 정보 부에서 특파한 「유진·프랭클린·클라크」해군 대위의 첩보 반이 영흥도에서 인천 상륙에 관한 귀중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었던 것은 우리 해군

    중앙일보

    1971.04.19 00:00

  • (125) | 우정 80년 (5)|강직순

    홍영식 선생을 위시한 많은 선각자들이 우리 나라에 우정 제도를 만들 때 미국·일본 등 여러 나라의 제도를 참고한 것은 이미 적은 바와 같다. 그러나 우리는 이와 같은 선진 제국의

    중앙일보

    1971.04.06 00:00

  • 미주(7)|현장 취재…70만 교포 성공과 실패의 자취|독립 투사 김종림씨의 양로원 여생

    【로스앤젤레스=김석성 순회 특파원】 수만 달러의 사재를 털어 캘리포니아주에 비행 학교를 만들고 독립 운동 자금을 조달하는 등 평생의 대부분을 한국의 독립을 위해 헌신했던 재미 교포

    중앙일보

    1971.04.01 00:00

  • 황성기숙청년회(7)>YMCA의 수난

    상동파 인물중에 이갑씨가 있었다. 그는 일찌기 일본에 건너가 무관학지를 졸업하고 노백린 윤치성씨 등과 같이 일노전쟁때 일본군에 가담하여 전공을 세운 당당한 장교였다. 그는 평안도

    중앙일보

    1971.03.19 00:00

  • (150)「6.25」20주…3천여의 증인회견·내외자료로 엮은「다큐멘터리」한국전쟁 3년|학도 의용병(7)|학생 2등병(1)

    정부가 애국심에 불타는 학도의 용병들을 소홀히 대우해서 좌절감을 갖게 한 것은 실책이었다. 전력을 총동원하는데 있어, 이들 학도의 힘을 십분 발휘케 못했다는 것은 국가적인 큰 손실

    중앙일보

    1971.03.15 00:00

  • (103)양식반세기(10)|이중일(제자는 필자)

    해방 후 국제사회에 있어서의 지위를 높이기 위해 우리 나라는 피나는 발돋움을 했는데 처음으로 부닥친 것이 유엔 한국위원단 일행의 방한이었다. 어수선한 국내사정 속에 대한민국 정부

    중앙일보

    1971.03.11 00:00

  • (93)창군전후(12)|이경석(제자는 필자)

    미군정아래서 군대가 아닌 경비대로 발족한지 2년6개월이 지난 48년7월에는 5개 여단 15개 연대로 성장하여 장교 1천4백3명·사병 4만9천87명 등 모두 5만여명에 이르렀다.

    중앙일보

    1971.02.27 00:00

  • (141)6·25 20주…3천여 증인회견·내외자료로 엮은 다큐멘터리 한국전쟁 3년|낙동강 공방전(23)|영천회전(1)

    북괴군이 마지막 안간힘을 기울인 9월 총공세 때 낙동강 교두보는 여러 곳에서 몇 번 아슬아슬한 위기를 겪었지만 그 으뜸가는 것이 영천이 뚫렸을 때였다. 지도를 보면 일목요연하게 알

    중앙일보

    1971.02.22 00:00

  • (85)창군전후(4)|이경석(제자는 필자)

    일군·만군·광복군 출신들은 일본·만주·중국·동남아·남태평양 등지에서 귀국하자마자 서로 모이기 시작했다. 처음에는 필시 서로의 안부를 묻고 돌아가는 정세를 알아보기 위해 만났을 것이

    중앙일보

    1971.02.18 00:00

  • 한국인은 극동의 유태인

    오랫동안 한국문제를 연구해온 학자이며 한국정부 및 주미한국대사관 고문이었던 S·M·비노커 박사는 최근 『한국인은 사실상 극동의 유태인』이라는 가설을 논증한 중요한 저서를 곧 발표할

    중앙일보

    1971.02.17 00:00

  • 각국 외교관에 널리 알려진 3관박사

    표의 수확이 가장 어려운 시기에 유엔대사직을 맡은 한표욱대사(55)는 법학·정치학등 두개의 박사학위를 가진 외교계의 실력자. 함남북청태생인 한대사는 정부수립후 그의 유창한 영어실력

    중앙일보

    1971.01.08 00:00

  • (4)|역대의 얼굴

    정부 수립 후 22년 동안 국무 총리직을 맡았던 인물은「서리」와 5·16 후 군정 때의 「내각수반」까지 합쳐 모두 14명, 군정을 제외한 헌정 아래서 총리를 지낸 얼굴은 11명.

    중앙일보

    1970.12.25 00:00

  • (40)|인술개화|정구충

    8·15해방에 가장 민감했던 것은 의료인들이었다. 의료인들은 8·15 이틀 만인 17일에 휘 문 중학 강당에 모여 전국 의사회를 결성했다. 그때 모인 의사들만도 약 4백 명이 되

    중앙일보

    1970.12.24 00:00

  • 미, 동란 때 이대통령 축출 기도|전 미 대사관원이 밝힌 6·25 한-미 비사

    【동경동화】6·25 동난 직후의 한-미 정부간의 비 사가 내년 미국에서 출판된다. 필자는 6·25발발 당시 강한 미국 대사관 1등 서기관이었던「해럴드·J·노블」씨. 노블씨는 195

    중앙일보

    1970.12.11 00:00

  • (105) 적치하의 3개월(18)

    개회한지 불과 닷새만에 6·25를 만난 제2대 국회는 총의원 2백10명중 1백51명이 남하하고 나머지 59명은 그대로 적치하에 갇혀 갖은 곤욕을 당했다. 이 잔류의원 59명 중

    중앙일보

    1970.11.30 00:00

  • (153)김을한|해방에서 환국까지

    일본의 책임은 크다. ▲영목일씨의 담=지난 1964년 11월22일 이은 전하 내외분은 무사히 한국에 돌아가시었다. 나는 하네다 공항까지 나가서 전송하였는데 아드님 이 구씨까지 세

    중앙일보

    1970.11.04 00:00

  • (93)-적치하의 3개월(6)|6.25 20주....3천여의 증인회견. 내외자료로 엮은 다큐멘터리 한국전쟁 3년

    (3) 기록을 보면 6·25 때1백43만6천명의 서울시민중 약40만 명이 수도가 북괴군에 피점 되기 전에 남으로 빠져나갔는데 그 가운데 8할이 월남동포였고, 나머지 2할인8만 명이

    중앙일보

    1970.11.02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