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향토사 정리의 새계기

    충주에서 5세기말 고구려비의 발견은 뜻하지 않은 성과요 개가다. 지난해 인근 단양에서 진흥왕대 적성비를 찾아냈던 단국대고적조사단이 이에 힘입어 다시 유적지를 추적하는 과정에서 그

    중앙일보

    1979.04.12 00:00

  • 지진 무방비에의 경종

    지난7일 하오 충남 홍성을 비롯한 충청·서해안 일대에 진도5의 강진이 발생, 수명의 부상자와 3천여동의 건물이 부서지거나 금이 갔으며, 이밖에 가구·문화재등이 상당수 파손됐다고 한

    중앙일보

    1978.10.10 00:00

  • 주말 기습한 늦여름 물난리

    태풍「카른멘」호가 몰고 온 폭우는 전국적으로 때아닌 물난리를 겪게 했다. 산사태로 충북제천에서 한 가족 4명이 숨지는가하면 서울에서는 안양천이 다시 넘쳐 공장과 가옥들이 물에 잠기

    중앙일보

    1978.08.21 00:00

  • 일 전역에 강진

    【동경=김경철 특파원】7도의 강력한 지진이 14일 정오께 일본의 전지역을 강타하여 사망 13명·실종 11명·부상 14명 등 모두 38명의 인명 피해를 냈으며 가옥 9백70여동이 파

    중앙일보

    1978.01.16 00:00

  • 여수담 철저히 따지기로

    여야는 서울과 경기 일원을 강타한 이번 폭우피해와 관련, 행정상의 허술한 대목을 어떻게 고쳐 가느냐에 부심. 신민당이 여야공동으로 수해조사단을 구성하자고 제의하고 나서자 여당은 일

    중앙일보

    1977.07.14 00:00

  • 겉치레 건설행정과 수재

    장마가 시작되는가 했더니 아니나다를까 올해도 어김없이 수마의 횡포를 면하지 못한채 수많은 생명과 재산을 한꺼번에 잃는 엄청난 참사를 당하고 말았다. 8일 하룻동안 서울·경기지방에

    중앙일보

    1977.07.11 00:00

  • 수해 보험제

    『불 끝은 있어도 물 끝은 없다』는 속담은 화재보다 홍수 등 수해에서 오는 피해가 훨씬 혹심하다는 뜻이다. 또 이 말은 오랜 세월 이 땅의 사람들이 얼마나 물난리에 시달려 왔는가를

    중앙일보

    1976.08.16 00:00

  • 우리사회주변의 원시의 늪

    어떤 사고나 참사도 결코 우연히 일어나지는 않는다. 얼핏 우발적인 듯한 사고도 따져보면 그럴만한 충분한 원인이 있어 일어나는 법이다. 사고의 위험성이 충분히 예견되고있었는데도, 게

    중앙일보

    1976.08.11 00:00

  • 수마할퀸 자국에 재기의 삽질-완주 고안부락

    극심한 가뭄끝에 예기치않은 수해를 당한 전북도민들의 수해복구현장에는 자연에 도전하는 집녑이 곳곳에 서려있다. 마을마다 수마가 할퀸 자국을 손질하는 농부들의 일손이 바쁘고 한톨의 쌀

    중앙일보

    1976.08.10 00:00

  • 흙더미에 묻힌 「수련 마지막날」|무악산 기도원 산사태 참사현장|버락치자 무너진「50도」

    수련마지막 새벽의 기습으로 21명의 목숨이 앗긴 무악산기도원 연경원(전북완주군 구이면) 사고현장에는 7일 상오에도 성경책과 옷가지들이 여기저기 흩어져 비극의 순간을 말해주고 있었다

    중앙일보

    1976.08.07 00:00

  • 「5월 물난리」…곳곳서 침수·붕괴

    18일과 19일 집증호우가 경남·전남등 남부지방을 비롯, 전국일원에 내려 11명이 죽고 32명이 실종되는 등 예년에 없는 「5월 물난리」를 몰아왔다. 특히 부산지방은 19일 하룻동

    중앙일보

    1974.05.20 00:00

  • 홍수피해 예상지도 작성

    해마다 여름만 되면 연례행사처럼 겪는 홍수는 연간 거의 1백억원에 달하는 재산피해와 상당한 인명피해를 안겨준다. 이러한 피해를 사전에 줄이기 위해서는 일련의 대책이 필요하고 이 대

    중앙일보

    1974.05.15 00:00

  • 침수·산사태 위험지구 비 주거 무허 건물 일제 철거

    서울시는 23일 오는 25일부터 30까지 침수예상지역, 산사태위험지역, 도시미관상의 문제지역 안에 있는 창고·축사·노점상 등 비 주거용 무허가건물을 모두 무조건 철거하기로 했다.

    중앙일보

    1973.07.23 00:00

  • 판자식 무허 건물 안전 조사

    서울시는 오는 25일부터 8월 10일까지 시내 판자식 기존 무허가건물 일제조사를 실시한다. 서울시가 처음으로 실시하는 이번 무허가 판잣집「센서스」는 현지개량·철거 등 주택행정의 기

    중앙일보

    1973.07.20 00:00

  • 산사태로 둘 압사

    【순천】23일 하오3시부터 24일 상오6시까지 순천지방에는 초속 9.5m의 강한 남서풍을 동반한 2백37㎜의 큰 비가 내려 산사태로 2명이 죽고 5명이 부상을 했다. 또 집 3채가

    중앙일보

    1973.04.24 00:00

  • 우기앞둔 안전진단 실시

    서울시는 29일 해마다 되풀이되는 여름철 풍수해를 줄이기위해 우기(우기) 종합안전진단실시계획을 마련, 오는 4월6일부터 5월5일까지 위험대상물에대한 안전진단을 실시하고 5월6일부터

    중앙일보

    1973.03.29 00:00

  • (끝)시민의 안전 생활을 위한「캠페인」|공원·녹지

    서울에는 공원·녹지가 빈약하기 짝이 없다. 공원과 녹지, 그리고 자연공원의 임야 등의 훼손은 서울을 산사태와 홍수로 휩쓸리게 할 위험이 많다. 지난번 수해 때 산사태가 많이 일어난

    중앙일보

    1972.09.26 00:00

  • (8)부실공사|시민의 안전 생활을 위한「캠페인」

    서울시내 각종공사는 풍·수해와 화재 등 재난이 있을 때마다 그 부실여부가 문제된다. 부실공사는 생명을 앗아가기 일쑤이고 그 피해는 이루 말할 수 없이 크다. 지난 홍수 때 가장 큰

    중앙일보

    1972.09.20 00:00

  • 수재민들로 복구대위 구성

    박정희 대통령은 18일 하오『수목 보호와 산사태를 방지하기 위해 필요하다면 강력한 법을 만들어 향후 10년 동안 강력한 산림보수정책을 쓰도록 하라』고 내각에 지시했다. 박대통령은

    중앙일보

    1972.09.19 00:00

  • 부서진 집수리 한창(신정동)

    ▲신정동=지난 8·19 폭우 때 서울에서 가장 심한 수해를 입었던 서울영등포구 신정동144, 목동409 일대는 폭우로 무너지거나 부서진 가옥의 수리가 한창이다. 추석 때까지는 집

    중앙일보

    1972.09.19 00:00

  • (1)시민의 안전생활을 위한 「캠페인」|도로

    8·19수해는 수도 서울시민의 안전생활을 완전 위협했다. 유사이래 처음이라고 하는 대홍수였지만 서울은 6백만 인구에 1년 예산 8백억원을 쓰는 세계 제8위의 대도시이다. 시민의 안

    중앙일보

    1972.09.05 00:00

  • 단양군 영춘면 수해현장 르포|토사더미… 흔적 잃은 한 마을 1백70호|단양 수해현장=김재봉·조원환·이을윤 기자>

    탁류에 휘말려 고립됐던 단양군 일대에 대한 집중적인 구호가 지난 26일부터 진행되고 있으나 남한강 물길이 할퀸 상처는 좀처럼 아물지 않는다. 현지 주민들에 의하면 지난 20일부터

    중앙일보

    1972.08.28 00:00

  • 수해 사망 모두 2백60명 긴급복구비 28억원 필요-서울시

    서울시 재해대책본부는 24일 이번 수해로 서울시내에서 긴급복구를 요하는 피해지역이 4백38개소에 달하며 이를 긴급보수하는데는 28억2천여만원이 소요된다고 밝혔다. 재해대책본부는 이

    중앙일보

    1972.08.24 00:00

  • 수재민수용소서 전염병 발생하면 보건소장 문책키로

    서울시는 22일 하오 침수지역이나 이재민수용소에서 법정전염병이 발생했을 때는 방역책임소홀로 관할보건소장을 문책하겠다고 밝히고 일부터 오는 26일까지 5일 동안 의사·간호원·보건요원

    중앙일보

    1972.08.23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