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사회·교양

    □…25일 밤11시10분KBS 제lTV의『TV미술관』은 치밀 정묘한 채색화가로 유명한 동양화가「이당 김은호화백」편. 산수· 인물·화조, 특히 초장으로 독특한 화풍을 이룩했던 이당의

    중앙일보

    1981.02.25 00:00

  • 김은호 화백 1주기 후소회 7일 추모회

    이당 김은호 화백의 1주기를 맞아 그 문하생들의 모임인 후소회(대표 김기창)는 7일 하오 2시 YMCA 소강당에서 추모회를 갖는다.

    중앙일보

    1980.02.06 00:00

  • 미술

    79년의 미술계는 근래에 보기 드문 침체를 보였다. 국제전 출품을 둘러싼 논쟁·위작사건·예술인 소득세부과문제로 소란하기도 했다. 비교적 규모가 큰 화랑에서조차 예정했던 기획전을 대

    중앙일보

    1979.12.26 00:00

  • 진주 의기동당|논개영정 도난

    【진주】 진주시남성동진주성지내 의기사당에 봉안돼있던 논개영정이 20일새벽 도난당했다. 논개영정(가로1m, 세로1m50㎝은 촉석루 서쪽의기사당에 봉안돼 관리인 김명순씨(56)등 2명

    중앙일보

    1979.12.21 00:00

  • 백윤문씨 유작전

    지난 4월 작고한 동양화가 향당 백윤문씨 유작전이 미국「워성턴」의 H학랑에서 오는14∼28일 열린다. 전시작품은 향당이 오랜 투병생활끝에 화단에 재등단한 77년 이후에 제작된 산수

    중앙일보

    1979.12.08 00:00

  • 이당기념관 개관|기념관 열어

    고 이당 김은호 하백(1892∼1979년)기념관이 13일 인천시 송학동 3가5에서 개관된다. 이번 기념관개관은 이당 문하생들의 모임인 후문회회원 25명이 김화백의 유덕을 기리기 위

    중앙일보

    1979.09.11 00:00

  • 이당 영결식 13일에| 충신교회로 바꿔

    이당 김은호 화백미술인장의 위원회는 10일 김화백의 영결식을 당초 예정보다 하루연기, 13일 상오10시에 거행키로 했다. 또 영결식장도 충신교의(서울 용산구 동부 이촌동) 로 바꾸

    중앙일보

    1979.02.10 00:00

  • 극세필·진채의 우아한 고풍 고수

    □…이당 김은호화백은 동양화단의 첫손꼽는 원로요 거봉. 그럼에도 환갑에 이르도록 「이발장이」라는 놀림을 받았다. 그가 그림을 배우기 전인 17세에 가세가 몰락해 고향인 인천을 떠나

    중앙일보

    1979.02.09 00:00

  • 원로동양화가 김은호옹 별세

    한국동양화단의 거봉인 이당 김은호화백(사진)이 7일하오7시40분 서울 한양대 부속병원에서 급성폐렴으로 별세했다. 향년 88세. 김화백은 지난 연말 돈화문 앞 권농동 이묵헌에서 동부

    중앙일보

    1979.02.08 00:00

  • 이당문하 후소회 10회전 12일까지

    이당 김은호 화백의 문화생으로 구성된 후소회의 10회전이 12일까지 신세계 미술관에서 열리고 있다. 백윤문 김기창 이유태씨 등 원로 동양화를 비롯해 김화경 안동숙 김학수씨 등 그의

    중앙일보

    1978.11.08 00:00

  • 「이당 기념관」 인천에 마련

    □…86세의 이당 김은호 화백이 고향인 인천에 자신의 기념관을 마련하기 위해 그가 50여년간 살아온 서울 와룡동의 이묵헌을 처분했다. 주변에선 화업 반세기의 산실인 그 한옥 자체가

    중앙일보

    1978.08.30 00:00

  • 서울「갤러리」개관 기념전

    서울「갤러리」가 서울종로구동숭동 문예진흥원 옆에 개설돼 12∼21일 개관 기념전을 연다. 대표는 한용옥씨로「토탈」동인이 운영하던 화랑을 인수했다. 이번 초대작가는 동양화에 김은호(

    중앙일보

    1978.08.11 00:00

  • 이당 김은호 화백 도화전

    이당 김은호 화백이 그의 문하생이었던 조소수씨를 돕기 위해 김기창 장우성 정완섭 김화경 이종상 이무왕씨 등 동양화가 몇 사람과 더불어 도화전을 마련했다(24∼29일 신세계미술관).

    중앙일보

    1978.01.25 00:00

  • 이당 작품소재조사 70평생 업적 총정리

    한국 근대미술 연구소(소장 이용렬)는 이당 김은호 화백의 70년에 걸친 업적을 총정리 하기 위하여 개인 소장 작품의 소재를 조사중이다. 연락처는 서울 서대문구 충정로3가270 백왕

    중앙일보

    1977.10.19 00:00

  • 「의제 허백련」출간

    양기만을 정성껏 출판하는 중앙일보· 동양방질에서는 한국남화의 최후의 대가인 허백련 화백의 일대기『의제 허백련』 을 출판했습니다. 원색·흑백 화보 4O「페이지」,등장인물 5 백 여명

    중앙일보

    1977.09.20 00:00

  • 김은호 화백 도화전|28일까지 신세계미술관

    이당 김은호 화백(사진)의 도화전이 23∼28일 신세계미술관에서 열리고 있다. 신세계미술관의 소장품으로 도예가 안동오씨(경기도 광주 번천요)의 작품에 김 화백이 철사신사로 그림을

    중앙일보

    1977.08.24 00:00

  • 화랑

    운정 정완섭씨의 선화전이 13∼20일 견지 화랑에서 열린다. 이당 문하생으로 후소회·백양회 회원인 정 화백의 화력은 40년. 실경산수의 중견 화가다. 출품작 『금강십경』 『설악운무

    중앙일보

    1977.08.12 00:00

  • 『서화백년』단행본으로 출간

    본지의『남기고 싶은 이야기』로 연재(76년 7월∼10월)되었던 이당 김은호 화백(86)의『서화백년』이 단행본으로 출간됐다. 1892년 경기도 인천에서 태어나 1912년 경성 서화미

    중앙일보

    1977.02.14 00:00

  • 구작의 소재 다시 그린 53점

    84세의 이당 김은호 화백이 화필 60여 년을 다시 간추려 보는 신작 기점으로 개인전을 연다. 71년의 회고전 이후 6년만에 처음 갖는 것이지만 이번엔 화랑측의 권고로 그 동안 회

    중앙일보

    1976.12.14 00:00

  • (1782)|서화백년(68)|이당 김은호

    위당 정인진가 지어 준「후소회」란 이름은 제자들에게도 큰 환영을 받았다. 후소회의 제1회전은 이모임이 정식으로 발족한 1936년 가을에 이루어졌다. 10월30일부터 11월3일까지

    중앙일보

    1976.10.25 00:00

  • (1773)|서화백년>(59)|이당 김은호

    1932년 나는 의재와 함께 삼월오복 점(지금의 신세계 백화점)에서 2인 전을 가졌다. 당시 신문은 우리들의 서화전을 다음과 같이 보도했다. 『김은호·허백련 양 화백 작품 전람

    중앙일보

    1976.10.14 00:00

  • 시가 7백 만원 어치 주인 집 병풍 등 훔쳐

    서울 종로경찰서는 29일 주인집 병풍 등 싯가 7백 만원 어치를 훔쳐낸 가정부 정순자양(23·서울 성동구 논현동168의1)을 특수 절도 혐의로, 정양이 훔친 물건을 산 서울 성동구

    중앙일보

    1975.03.29 00:00

  • 도화전 준비에 노익장의 화필|최후의 어진 화가 이당 김은호 화백

    하얀 이조백자 등어리에 청화를 담뿍 먹은 붓끝이 뛰논다. 옹이진 굵은 노목가지에 금새 매화꽃이 봄을 부른다. 우리나라 최후의 어진 화가로 유명한 이당 김은호 화백은 올해 84세의

    중앙일보

    1975.01.24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