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마트칫솔로 치아보험 개발…디지털 헬스케어 맛들인 보험사
박민수 보건복지부 제2차관이 지난달 20일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글래드 호텔에서 열린 디지털 헬스케어법 토론회에 참석해 축사하고 있다.사진 보건복지부 하루 1만보 이상 걷기를 실
-
한밤 소변이 콜라색이라면? ‘비대면 진료’ 1위 앱의 살길 유료 전용
Today’s Topic, 비대면 진료는 신기루였나요(feat. 닥터나우가 규제와 함께 살아가는 법) “시대 변화의 흐름을 정치가 따라가지 못했다.”(박광온 더불어민주당 의원
-
비바이노베이션, 건강검진 사후관리 사업모델 구축
사진 〈비바이노베이션 제공〉 건강검진 플랫폼 ‘착한의사’의 운영사 비바이노베이션은 인구구조가 고령화되고 질병의 양상이 만성화됨에 따라 향후 건강검진을 통한 사후관리 시장이 확대될
-
"플랫폼 뭐 필요하노?" 어느 의원 한마디에 혁신이 죽었다 [안혜리 논설위원이 간다]
더불어민주당 전혜숙 의원이 지난 24일 국회 복지위 제1법안심사소위 당일 회의장 밖 복도에서 이형훈 복지부 보건의료정책관, 박민수 2차관, 차전경 보건의료정책과장을 질타했다. 회
-
“비대면 환자 기준 너무 제한적” vs “의료 안전 확보 더 중요”
━ 비대면 진료 시범사업 점검 좌담회 장지호 코스포 원격의료산업협의회 공동회장, 김성현 한국디지털헬스산업협회 이사, 박민수 보건복지부 제2차관, 김충기 대한의사협회 정책이
-
이어폰과 헤드폰, 뭐 쓰죠…‘귀 박사’의 귀 지키는 꿀팁 유료 전용
전국의 이비인후과 전문의는 4142명(2022년 말 기준)이고 80% 가까이(3201명)가 동네 의원에 있다. 20%가 안 되는 종합병원(388명)과 상급종합병원(376명)의 이
-
비대면 진료 플랫폼 5곳 문 닫았다…한달 남은 시범사업 논란
지난 5월 24일 원격의료산업협의회 회원들이 서울 용산구 전쟁기념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있다. 원산협은 이날 대상 환자를 제한한 복지부의 시범사업안이 "국민 모두가 비대면 진
-
‘2023 국가서비스대상’ 영광의 부문별 수상자는? – 통신/의료
산업정책연구원(IPS)은 ‘2023 국가서비스대상(6th National Service Awards)’을 통해 46개 기업/기관 55개 서비스를 선정했다. 국가서비스대상은 매
-
비대면 진료 시범기간에 마감세일?…"초진 마지막 기회" 홍보전
백재욱 도봉구의사회 총무이사가 지난 5월 30일 서울 도봉구의 한 병원에서 비대면진료 시범사업 관련 비대면진료 실행 과정을 시연하고 있다. 위 사진은 기사 내용과 무관. 뉴시스
-
지금은 엔데믹 시대… 中 온라인 의료 1등 기업의 다음 목표?
사진 셔터스톡 코로나19 확산으로 촉발된 온라인 의료 시장의 성장이 엔데믹 전환 이후에도 지속할 것인지가 주요 이슈로 부상 중이다. 지난 3년간 코로나19로 교육・유통・금융
-
비대면 진료 시범사업 첫 주말…밤 9시, 문 연 소아과 없었다
백재욱 도봉구의사회 총무이사가 지난달 30일 서울 도봉구 한 의원에서 비대면진료 시범사업 관련 비대면진료 실행과정을 시연하고 있다. 위 사진은 기사 내용과 무관. 뉴스1 이달부터
-
"급할 땐 찾더니, 이젠 사형선고"…원격진료 스타트업 거센 반발 [팩플]
비대면 진료 이미지. 프리픽 보건복지부가 지난 17일 발표한 비대면(원격) 진료 시범사업 가이드라인을 두고 스타트업계가 크게 반발하고 있다. 현재 초진부터 가능한 비대면 진료
-
'초진 vs 재진' 따지다 다시 표류 위기…비대면 진료의 운명은
지난해 2월 코로나19 때 비대면 진료 사진. 위 사진은 기사 내용과 무관. 뉴시스 이르면 5월 코로나19 기간 한시적으로 허용된 비대면 진료의 법적 근거가 사라진다. 코로나19
-
시민 82% "도움된다"는데…'타다 악몽' 비대면진료 덮치나 [팩플]
충남 홍성군 결성면 홍성유일노인요양원에서 이 모(85)할머니가 삼성연합의원 현영순 원장과 화상으로 연결, 원격의료 서비스를 받고 있다. 프리랜서 김성태 코로나19 확산기에 빠
-
[리더스 프리즘] 보건의료의 디지털 대전환
권용진 서울대 의대 교수 요즘엔 아침에 일어나 컴퓨터를 열면 유명 검색엔진이 아닌 ‘챗GPT’에 질문한다. 가끔은 엉뚱한 답도 하지만 그래도 제법이다. 때로는 짜증도 나지만 귀엽
-
[팩플] 의료·법률·세무 플랫폼에 힘 싣는 국회?…유니콘팜 “의원들 설득하겠다”
21일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에서 스타트업 연구모임 '유니콘팜' 주최로 '스타트업과 윈윈은 불가능한가' 토론회가 열렸다. 왼쪽 다섯번째부터 김한규 더불어민주당 의원, 최성진 코
-
“99%가 초진” 물꼬 트인 비대면 진료, 플랫폼 업체 반발 이유는
2022년 서울 중구의 한 병원에서 의사가 재택치료 중인 코로나19 환자에게 전화를 걸어 비대면 진료를 하고 있다. 위 사진은 기사 내용과 무관. 중앙포토 정부가 제도화를 추진
-
"참 편리한데" 1300만명 받은 비대면 진료, 5월이면 불법된다?
비대면 진료를 보는 의사. 뉴스1 정부가 코로나19 상황에서 한시적으로 시행하고 있는 비대면 진료의 운명에 의료계 안팎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이르면 한 달 뒤 코로나19 위기
-
강아지 진료도 이제 온라인에서…中 최대 동물병원 체인 '신루이펑'
반려동물을 키우는 인구가 급증하면서 ‘펫코노미(Petconomy)’가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펫코노미란 반려동물(Pet)과 경제(Economy)의 합성어로, 반려동물 산업을 뜻한
-
“아플 땐 119 다음으로 우리” 900만이 찾은 ‘헬스케어 앱’ [90년대생 창업자 ⑥] 유료 전용
■ 90년대생 창업자가 온다 「 창업의 길을 택한 1990년대생, 그들은 누구인가. 한국의 정보기술(IT) 산업이 태동한 90년대에 태어나 청소년기에 스마트폰 혁명을 경험한 이
-
포켓몬GO도 약이 될 수 있을까? 디지털 치료제가 뭐길래 유료 전용
Today’s Topic 포켓몬고(GO)도 치료제가 될 수 있나요? 2017년 출시 후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던 증강현실(AR) 게임 ‘포켓몬고’를 기억하시는지. 미국 듀크대
-
투자 의사, 창업 의사에 따졌다 “스마트폰 진료가 혁신인가?” 유료 전용
스마트폰 앱으로 진료받고 약을 배달받는 건 혁신일까, 아닐까. 의료 인프라가 훌륭한 한국에선 비대면 진료를 대폭 허용할 필요가 있을까, 없을까. 팩플팀이 만난 비대면 진료 앱
-
中도 코로나 블루로 ‘몸살’ 디지털 멘탈 헬스케어 시장 뜬다
코로나 19 사태가 장기화하면서 중국에서도 우울감을 호소하는 사람이 늘고 있다. 중국 정신 의학 저널이 코로나 19 대유행 시기 중국인 1만 5000명의 심리상태를 조사한
-
수백만명 모으고, 수천억 끌어오는 90년대생 CEO들의 모든 것 [팩플]
네카라쿠배(네이버·카카오·라인·쿠팡·배달의민족)를 이을 ‘넥스트 유니콘’은 누구인가. 이 질문에 답할 전자책(e북) 『90년대생 창업자가 온다』가 18일 출간됐다. 국내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