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28년만에 다시 본 소련-동완(3)

    우리 선수단의 생활은 규칙적이며 질서정연하다. 김택수 단장은 아침 일찍부터 선수들의 숙소생활·훈련상황을 현장에서 보살핀다. 난점이라면 숙소와 각종 경기장 거리가 멀어 왕래에 많은

    중앙일보

    1973.08.31 00:00

  • 동서음악의 교류와 관계|창악회 15주년 기념「심포지엄」-이혜구씨 주제발표

    창악회는 창립 15주년 기념으로 「동서음악의 교류 및 관계」를 주제로 한 「심포지엄」을 25일 하오3시 서울 YWCA강당에서 열었다. 주제는 이혜구씨(서울대 음대학장)와 김순애씨(

    중앙일보

    1973.04.28 00:00

  • 황홀한 선율...청중압도

    「비엔나·필하모니·오키스트러」의 역사적 한국 첫 공연이 27일 하오7시 이대대강당에서 중앙일보·동양방송주최로 대 성황리에 열렸다. 이날 이대강당은 세계경장의 화음을 들으려는 음악「

    중앙일보

    1973.03.28 00:00

  • (8) 하와이속의 한국

    1월13일. 이곳 「호놀룰루」한국총사관에서 열린 「하와이」이민70주년기념식에서 애국가가 울려퍼지자 교포들 가운데는 눈물을 글썽이는 사람들이 있었다. 1세교포중 생존한 사람들에겐

    중앙일보

    1973.01.16 00:00

  • (659)-서북청년회(19)

    대북방송·6인조의 잠행 등 북녁을 향한 활동이 날카로와 질 무렵 남측에서는 벌써 피를 부르는 전단이 열리고 있었다. 47년 이른 봄부터 그 해 가을까지 대전·공주·유성·강경·군산

    중앙일보

    1973.01.16 00:00

  • 일 광도 「주피터」 소년소녀 합창단 내한

    일본 「히로시마」「주피터」 소년소녀 합창단 (단장 「가무오·노부오」) 일행 50명 (사진)이 서울시 초청을 받고 서울서 공연을 갖기 위해 13일 하오 KAL편으로 내한했다. 빨간색

    중앙일보

    1972.12.14 00:00

  • (611)제28화 북간도(31)

    일본의 무력침공에 대항한 독립군의 항쟁은 청산리 싸움의 승리로 절정에 이르지만 그후 차차 힘을 잃어갔다. (청산리전투 이야기는 역사상 기록이 많아 생략) 이에 따라서 동포들은 지

    중앙일보

    1972.11.16 00:00

  • 어린이 대공원 기공

    「어린이대공원」기공식이 3일 하오 2시 서울 성동구 능동 산3의8 전 서울「컨트리·클럽」「골프」장에서 박정희 대통령부인 육영수 여사를 비롯, 양택식 서울시장, 하점생 서울시 교육감

    중앙일보

    1972.11.04 00:00

  • 한국 여자배구 「헝가리」격파

    【뮌헨 한국신문 공동취재단=UPI】「코리아」의 함성은 배구장에서 터져 나왔다. 소련과의 제1차전에서 3-2로 분패한 우리 여자배구는 30일 동구의 막강인 「헝가리」를 3-0으로 완

    중앙일보

    1972.08.30 00:00

  • (525)|내가 아는 이 박사|경무대 사계 여록 (152)|윤치영

    광복 운동을 본격화한 이 박사의 30대 시절 모국의 상황은 양반·중인·상인으로 구분되던 봉건 관습에서 탈피하려는 노력이 일던 때다. 개화파 지사들이 이 운동을 선도했다. 그들은

    중앙일보

    1972.08.02 00:00

  • 불란서 하늘 뒤흔든 승리의 함성

    【셍디에=장덕상 특파원】목메어 부른 애국가였다. 남북한의 배구경기 제4 「세트」가 경기시간 2시간 20분만에 15-10으로 끝나자 우리 교포·유학생 등 응원단 3백여 명은 눈물을

    중앙일보

    1972.07.31 00:00

  • (264)조사단 피습①

    거창 사건의 진상이 세상에 밝혀지고 관련자들이 군 재에 회부되어 처벌을 받기까지는 꼭10개월이 걸렸다. 그 동안에 이 사건이 국회에 비화하여 조사단이 구성되고 이조사단이 현지로 가

    중앙일보

    1971.12.10 00:00

  • (261)「건벽청야」작전(2)

    (2) 문제의 「거창사건」은 1951년2월11일에 발생했다. 사단장의 「건벽청야」작전방침에 따라 이 지역에서 공비소탕작전을 전개하던 9연대3대대가 거창군 신원면의 주민을 「통비분자

    중앙일보

    1971.12.03 00:00

  • (291)미소공동위원회(3)|문제안

    「모스크바」 3상 회의에서 결정된 「신탁통치」의 내용이 차차 윤곽을 드러내고 윤곽이 드러나는 만큼 반탁과 찬탁이 소용돌이쳤지만 남·북에 진주한 점령군은 미·소 공동위원회 개최준비

    중앙일보

    1971.10.27 00:00

  • 전진 아랑곳없는 향학열

    【사이공=신상갑특파원】『열심히 공부해서 훌륭한 베트남 여자가 되겠어요.』 응·엔·콰이 국민학교 2년생 티쿡양(7)은 또렷또렷한 월남말로 월남문교장관 노·칵·통 할아버지에게 대답했다

    중앙일보

    1971.09.29 00:00

  • (223)|거제도 폭동91)|남과 북의 포로수용소(15)

    도드 준장의 피납으로 거제도 포로수용소의 소요가 비로소 외부세계에 알려졌지만 실은 이 사건은 빙산의 일각에 불과했다. 이미 오래 전부터 무법천지나 다름없는 거제도수용소 안에서는 살

    중앙일보

    1971.09.04 00:00

  • 스포츠회담

    첫 번 대화는 63년1월24일 「로잔」에서, 두 번째가 63년5월17일의 1차 「홍콩」회담, 마지막이 63년7월26일의 2차 「홍콩」회담이었다. 남북간 최초의 대화인 「로잔」회담

    중앙일보

    1971.08.13 00:00

  • (188)방송 50년(17)이덕근

    조선「호텔」앞, 지금 왕궁다방이 있는 3층 건물은 본래「텔러·빌딩」이었다. 이 3층에 신문·「라디오」에 「뉴스」를 공급하던 동맹통신 한국지사가 있었다. 일본이 항복하기 하루전인

    중앙일보

    1971.06.24 00:00

  • (189)38선 돌파와 북진(5)|평양으로(2)|「6·25」20주…3천 여의 증인회견·내외자료로 엮은「다큐멘터리」한국전쟁 3년

    평양으로 향한 각 사단간의 선의의 진격경쟁은 치열했다. 특히 평양 주공 로를 맡은 미제1군단 소속의 미제1기병사단과 한국군 제1사단은 제각기 1착 입성의 영광을 차지하려고 안간힘을

    중앙일보

    1971.06.16 00:00

  • (154)학도 의용병(11)|정훈대대|「6·25」20주…3천명의 증인회견·내외자료로 엮은 「다큐멘터리」한국전쟁 3년

    전회에 이어 정훈대대의 활동 상을 대원들로부터 더듬어 보겠다. 원래 이 부대는 이북에서의 정훈선무를 목적으로 편성됐지만 정세의 변동으로 남한에서 활동하게 되었다. 대부분이 학생인

    중앙일보

    1971.03.24 00:00

  • 황성기숙청년회(8)>청년이란 용어

    이 기회에「청년」에 대해 한마디 언급하고 싶다. 청년이라는 용어는 지금은 누구나 다 알고 예사롭게 쓰는 말이다. 하나 황성기숙청년회가 청년회 간판을 처음 내걸 당시에는 전혀 새로운

    중앙일보

    1971.03.20 00:00

  • (151)학도 의용군(8)-이북선무(1)

    학도의용병의 전국적 조직으로는 「학도의용대」가 있었다. 6·25 직후에는 각 중학이나 대학에서 개별적으로, 혹은 몇명씩 집단으로 군문으로 들어갔지만, 그후부터는 몇갈래의 조직을 통

    중앙일보

    1971.03.17 00:00

  • (113)적 치하의 3개월(26)|요인 납북(1)|「6·25」20주…3천 여의 증인회견·내외 자료로 엮은「다큐멘터리」한국전쟁 3년

    북괴는 적치 3개월의「피날레」에서 남한 인사들을 대거 납북해 감으로써 그 잔학성을 가중시켰다. 그들은 남한을 적화하려고 남침했기 때문에 후퇴하는 마당에 한국 안에 반공 투사나 전재

    중앙일보

    1970.12.18 00:00

  • 남산 제2호 터널

    모든 사물은 보는 이의 마음에 따라서 그에 대한 해석과 느낌이 서로 다르려니와 지난 8월에 개통된 남산 제1호「터널」에 이어서 지난 4일 이루어진 제2호「터널」개통을 보고 내게도

    중앙일보

    1970.12.05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