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해외 석학에게 듣는다] 미래학자 존 내스비트

    [만난 사람 = 길정우 워싱턴특파원] 존 내스비트(70)는 앨빈 토플러와 더불어 미래예측 분야의 대표적 인물로 꼽힌다. 82년 출간된 그의 대표저작 '메가트렌드' 는 2년 넘게 뉴

    중앙일보

    2000.01.03 00:00

  • [20세기 한국의 베스트셀러]

    책은 문화의 척도다. 20세기는 특히 그랬다. 그런 책 얘기를 하면서 그냥 지나칠 수 없는 것이 베스트셀러다. 베스트셀러가 대중의 취향에 영합한 책이요 상업주의의 병폐 속에 왜곡돼

    중앙일보

    1999.12.23 00:00

  • 시인 김지하는...

    1941년 전남 목포에서 태어났다. 김지하 시인의 시를 통한 고행은 1969년 '詩人'지에 '황톳길' 등 5편의 시를 발표함으로써 시작됐다. 1970년 '사상계'에 발표되었던 당시

    중앙일보

    1999.11.05 15:22

  • [중앙일보 선정 '99 좋은책 100선] 대학.일반부

    □어느 날 나는 흐린 주점에 앉아 있을 거다 (황지우.문학과지성사) 한동안 시 바깥에서 노닐다 이제 중년을 넘긴 시인이 여전히 감수성 넘치는 시어로 8년만에 내놓은 시집. □기형

    중앙일보

    1999.06.24 00:00

  • [월요인터뷰] 5년 칩거 접은 김지하 시인

    "집안에 앉아 침묵하면/속에서 우주가 가없이 자라는 것" .정녕 우주적 크기로 다시 태어난 것인가. 이 시가 실린 시집 '중심의 괴로움' 을 펴낸 이후 칩거하며 침묵하던 김지하 (

    중앙일보

    1999.03.29 00:00

  • [옴부즈맨칼럼] 새시대 선도역할 더 나서라

    중앙일보가 삼성과 분리돼 '제2창사' 를 선언하며 8개항에 걸친 지면 쇄신계획을 3월 1일자 1면에 예고한 것은 참으로 환영받을 일이다. 우리는 재벌과의 유착은 물론 모기업과의 친

    중앙일보

    1999.03.15 00:00

  • [고은의 북한탐험]22.금강심을 위하여

    안민영 (安玟英) 은 그의 넘쳐나는 풍류로 조선 5백년의 시조가 마감되는 기념비적인 가인 (歌人) 이다. 그가 있고 나서 시조는 뚝 끊겼다가 최남선의 현대시조로 이어지는 것이다.

    중앙일보

    1999.01.14 00:00

  • '허난설헌''제마의 길''계백'등 역사서 잇단 출간

    아픔 떨치고 일어나야 될 해다. 우리 민족은 진정 저력이 있는가. 각 분야에서 나름의 최선을 다한 우리 선조들이 '그래 우리는 다시 일어나야 한다' 며 소설로 살아나고 있다. 소설

    중앙일보

    1999.01.05 00:00

  • [책동네]'신 일본서기의 침묵과 성덕태자의 한숨' 外

    日 텐치시대 고관은 백제인? ◇교통개발연구원 임호규 선임연구위원이 미래 역사소설 '신 일본서기의 침묵과 성덕태자의 한숨' 을 냈다. 2천년대 초반 초현대식 빌딩이 즐비한 일본 도쿄

    중앙일보

    1998.06.12 00:00

  • [인터뷰]'창작과 비평'100호 발간 앞둔 편집인 백낙청 교수

    학계나 지식인 사회에서는 환갑을 맞으면 후학.제자들이 기념행사나 문집을 만들어 증정하는 아름다운 관행이 있다. 민족문학작가회의 회장이자 문학평론가, 그리고 서울대 영문과 교수이자

    중앙일보

    1998.02.24 00:00

  • 각계 전문가들이 추천하는 신입생 권장도서

    서울 상일여고를 졸업하고 올해 서울대 국문학과에 합격한 신영선(18)양.신양은 요즘 주로 문학작품과 영국 역사학자 E H카의.역사란 무엇인가'등 입문서를 읽으며 대학생활을 준비하고

    중앙일보

    1997.02.11 00:00

  • 97 정시모집 3개대학 논술문제-이화여대

    〈공통〉 다음에 제시된 두 글(가),(나)를 비교하여 공통점과 차이점을 600자 내외로 요약하시오.(30점) (가)韓國史의 진실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한국민족이 존재하는 양상이나 변

    중앙일보

    1996.12.28 00:00

  • 대하기획 시리즈 '양자강1만리'를 끝내고

    중국문화의 모태로 불리는 양자강의 문화예술을 총체적으로 파헤친 컬러 대하기획 「양자강 1만리」가 지난주 50회로 대단원의막을 내렸다.광복 50주년및 중앙일보 창간 30주년 기념사업

    중앙일보

    1996.08.04 00:00

  • 국내 독서계에 일본 시오노 나나미 열풍

    우리 지성계를 파고드는 한 일본 여류저술가가 있다.지난해 10월 혜성처럼 우리 곁에 나타난 시오노 나나미(59.염野七生).고대 로마의 1천년 역사를 다룬 대작 『로마인 이야기』(김

    중앙일보

    1996.03.10 00:00

  • 1.韓.中학자 長江 문화예술대탐사

    양자강(揚子江)은 흙탕물이다.이 흙탕물은 오늘도 거대한 중국문명을 싣고 뒷물이 앞물을 밀어내면서 도도히 흐르고 있다.중국인들은 이 강을「끝없이 긴 강」이라 하여 장강(長江)이라 부

    중앙일보

    1995.09.21 00:00

  • 광복50주년-영욕의 얼굴들

    광복 50년.한반도가 두동강이 나고 체제가 다른 정부가 각각남쪽과 북쪽에 수립된지 반세기가 흘렀다.역사의 마디마디에는 늘일정한 영향력을 행사한 주역들이 있게 마련이다. 정치.경제.

    중앙일보

    1995.08.14 00:00

  • ◇사랑을 위하여(슈밀러 지음,정진화.정진영옮김)=이혼과 재혼,가족관계와 독신 사이에서 방황하는 중년 남녀의 사랑을 그림. 〈풀빛.4백8쪽.6천5백원〉 ◇도둑과 공무원(타하르 젤룬

    중앙일보

    1995.02.11 00:00

  • 민족구원한 절세의 위인 묘사-북한문학에 나타난 김일성

    『나를 옳게 이끌어줄 그런 위인,그런 영웅은 없었구나.5천년역사를 가졌으나 짓밟히고 천대받는 우리 민족을 구원해주고 세계에 당당히 내세워줄 그런 절세의 위인을 한번 만나봤으면….』

    중앙일보

    1994.07.12 00:00

  • 고국서 서예전 여는 중국교포 金浩根씨

    『한글 서예는 빠져들수록 오묘하고 깊숙한 맛이 솟아납니다.잃어버린 역사를 깨닫고 조상의 슬기를 터득하게돼요.이번 전시회는우리 민족고유의 아름답고 우아한 터치에 힘있고 호방한 중국기

    중앙일보

    1994.05.28 00:00

  • 분단희생양 다시 없어야/특별가석방 한달 임수경양(일요인터뷰)

    ◎진정 어려울때 내편은 가족뿐/이념보다 인간관계로 북한행 89년 7월 평양에서 열린 제13차 「세계청년학생축전」참가를 위한 방북사건으로 세상을 떠들썩하게 했던 임수경양(24)이 수

    중앙일보

    1993.01.31 00:00

  • 중국문학기행-상 이경철기자

    북경에서 열린 한국문인협회 주관 해외문학심포지엄을 마치고 돈황까지 간 문인은 38명. 88올림픽이후 중국왕래가 가능해지면서 이곳을 찾은 한국인은 30명도 안된다하니 일시에 38명의

    중앙일보

    1991.08.17 00:00

  • 어휘수보다 민적언어에 바탕을

    이제야 우리도 국어사전을 읽는 즐거움을 누리게 되는가-. 문화부에서「국어대사전 편찬 10개년 계획」을 추진한다는 신문기사를 읽고 나는 깊은 감회를 느꼈다. 그것은 이전에 언젠가 자

    중앙일보

    1991.08.03 00:00

  • (14)「제왕운기」의 산실 두타산 천은사|시인 이은배

    우리 겨레엔 장엄한 역사가 있다. 문헌에 쓰여있는 기록으로만 4323년, 이 눈 부릅뜬 사실이 있기까지 얼마나 오랜 세월이 흘렀는가는 이루 다 헤아릴 수 없다. 후대의 사학도들은

    중앙일보

    1990.10.14 00:00

  • 『민족 문화 백과』 왜색 논쟁을 읽고|"식민 용어 「농악」 고집할 이유 없다"

    「민족 문화 백과』에 대해 지난 7월30일 (일부 지방 31일자) 김창진씨가 제언을 하자 편집 책임자인 박성수 교수가 반론을 제기하고 (8월6일) 여기에 김창진씨가 또 다시 반론을

    중앙일보

    1990.08.23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