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역사교육의 새 방향 모색

    제14회 전국 역사학 대회가 6월25일∼26일 단국 대학에서 역사교육연구회·역사학회·한국사학회·동양사학회·한국서양사학회·한국미술사학회·한국경제사학회 등 7개 단체의 공동주최로 열

    중앙일보

    1971.06.28 00:00

  • 새 용어 광범수록

    현대사회에서 사용되고 있는 시사어·신어 등 각 분야의 새로운 용어들을 광범하게 정리, 수록한 「현대용어백과사전」이 출간됐다. 자주시대·정보화시대인 오늘날에 있어서 자꾸만 생겨나는

    중앙일보

    1971.05.25 00:00

  • 신·구 악수의 2년 산고 『공동 번역 신약 성서』완성

    세계에서 뿐 아니라 한국에서도 최상위의 「베스트·셀러」인 성서가 11일 부활절을 기해 「프로티스턴트」와 가톨릭 공동 번역으로 출판, 발매된다. 『공동 번역 신약 성서』는 69년1월

    중앙일보

    1971.04.09 00:00

  • 라디오

    대폿집에서부터 양장점 다방 이름까지 외래어가 쓰이는가하면 외래어를 자랑삼아 쓰는 사람이 늘어가고 있다. 그래서 외래어 사용시비를 주제로 삼았는데-막상 녹음을 시작하고 보니까, 출연

    중앙일보

    1971.03.18 00:00

  • 이상에의 길잡이…교훈|각급교서 지향하는 학생상|강릉 교대 서정국 교수 연구 논문

    학교마다 교풍이 있고 교훈이 있다. 그것은 한창 감수성이 강한 성장기의 사람들에게 중요하게 영향을 미치는 교육 환경의 분위기요, 또 거기서 베푸는 교육의 지표이다. 그중 교풍은 자

    중앙일보

    1971.03.09 00:00

  • 전국교육연구대회서 발표된 3가지 현장연구-언어순화를 위한 아동 은어분석

    국민학교 아동 1천2백 명을 대상으로 조사해본 결과 90% 이상이 은어사용을 아무렇지도 않게 느끼고있다. 심지어 남아의 3·9%, 여아의 2%는 은어사용을 자랑스럽게 느끼고 있다.

    중앙일보

    1970.11.13 00:00

  • 한글날의 반성

    한글반포 5백24돌을 기념하는 한글날을 다시 맞는다. 5천년 한국사뿐만 아니라, 세계문화사 전체를 통해서도 불세출의 영주였다고 할 수 있는 세종대왕이 친히 오랜 연구 끝에 창제한

    중앙일보

    1970.10.09 00:00

  • 한글에 맹점 있었다|국어연구 3개년 계획의 의의|김민수

    언어·문자는 매우 보편적인 것이나, 우리는 이를 떠나서 하루도 실주 없다. 특히 한 국가사회 형성의 기본요건의 하나이기 때문에 그 질서를 세우는 일이 어느 시대에 있어서나 커다란

    중앙일보

    1970.10.05 00:00

  • 무교·명동 뒷골목|가짜 외제양품 판쳐

    서울시내 명동·무교동 등 번화가에는 요즘 일부외제양품에 보세가공품을 같이 진열, 보세품을 외제인양 속여 판다는 양품점이 부쩍 늘고있다. 이들 양품점에는 바지·난방·잠바·샤쓰·가방에

    중앙일보

    1970.08.31 00:00

  • (11)|외국인 학자를 찾아|한국어의 미로|형용사 숲에 도전|한·중 입성 자음 비교 연구|중국인 왕준 씨

    67년8월 우리 나라 문교부의 초청 장학생으로 서울에 온 중국인 왕준씨가 오는 8월말 서울대학의 후기 졸업식에서 문학 석사 학위를 받게 되었다. 한국에 온지 꼭 3년 만이다. 논문

    중앙일보

    1970.07.20 00:00

  • 생활 합리화 세미나

    문공부 자문 기관인 생활 문화 협의회는 20일∼21일 「아카데미·하우스」에서 『생활 문화의 향상은 생활의 합리화에 있다』는 주제로 세미나를 갖는다. 각계 인사 60여명이 참가할 이

    중앙일보

    1970.07.08 00:00

  • 이미지

    요즈음 각광을 받고 있는 외래어 가운데「이미지」란 말이있다. 얼마전까지만 해도 일반대중들에게는 생소했던 이 말이 최근에 와서는「매스·미디어」의 발전과 더불어 만인의 입에 자주 오르

    중앙일보

    1970.04.27 00:00

  • 「한글맞춤법」재조정

    문교부는 17일 현행 불완전한 한글맞춤법을 재조정, 72년까지 새로운 한글맞춤법통일안을 만들기로 했다. 문교부는 이를위해 우선 올해안에 국어심의위원회를 중심으로 맞춤법통일안 사용실

    중앙일보

    1970.01.17 00:00

  • 한자 폐지는 가능한 일|한글로 기계화를

    한자는 매력있는 글자이다. 「상형문자」에서 출발하여「자사, 회의, 형성, 전주, 가차」와 같은 여러 가지 방법으로 수만이나 되는 글자를 만들어낸 중국민족은 과연 위대한 지혜를 가진

    중앙일보

    1970.01.06 00:00

  • 「찬반론20년」에 정책적종지부는 찍었으나…

    정부는 70년 1월1일을 기해 각급 학교 교과서는 물론 호적과 법령을 포함하는 모든 공문서에 한글전용을 실시한다. 이로써 한글전용에 대한 20년간 논의는 정책적으로 종지부를 찍은

    중앙일보

    1970.01.06 00:00

  • 비술어의 한

    모든 전문기술에는 그 방면의전문가들끼리만 알아 듣는「자아곤」(상투어)이라는것이 있다. 「스포츠」라는 것도 전문기니까 그 나름의 「자건」이 있다. 그래서 그 「자건」을 모르면, 가령

    중앙일보

    1969.10.13 00:00

  • 「한글전용」에 붙이는 논단

    1970년부터 한글전용을 하게 되었읍니다.돌이켜보건대 1948년 10월9일 법률제6호「한글전용에관한법률」 의제정시행을 비롯하여 한글전용 추진회등의 민간활동을통하여 한글전용운동을 전

    중앙일보

    1969.10.09 00:00

  • 본받아야할 세종대왕의 고지

    한글창제 5백23돌을 기념하는 「한글날」을 맞이하게 되었다.개국이래 거의 4천년이 지났건만, 그때까지만해도우리에게는 고유한 국어문자가 없어, 한자어 의성운을 빈 이두 만이 우리의어

    중앙일보

    1969.10.09 00:00

  • 외래어 표기 5개 원칙 확정

    문교부는 24일 외래어 표기 심의회가 마련한 외래어의 한글표기 5개 원칙을 확정 발표했다. 문교부는 또한 숫자표시는 「아라비아」숫자로 쓰되 틀림없이 적고자할 때는 1969는 일천구

    중앙일보

    1969.05.24 00:00

  • 외래어와 외국어의 혼동

    문교부는 16일 이른바「한글전용화계획에 따른 외래어 표기 5개 원칙」을 채택, 이것을 최종적인 것으로 확정지었다 한다. 이 원칙은 문교부내 국어심의회 외래어분과위가 만들어 문교부장

    중앙일보

    1969.05.17 00:00

  • 외래어표기 5개원칙 확정

    문교부는 16일 한글전용화계획에따른 외래어표기 5개원칙을 결정했다. 문교부안에 설치된 국어심의회 외래어분과위원회(위원장 김선기)가 만들어 문교부장관에게 보고한 이 원칙은 한글정자법

    중앙일보

    1969.05.16 00:00

  • 계산착오

    세계적인 「바이얼리니스트」인「엘먼」이 처음으로 일본 대판에서 연주회를 열었을 때의 일이다. 일본의 한 젊은 비평가가 서툰 영어로 『어떻습니까, 이 음악「홀」의 기분은?』하며 자랑스

    중앙일보

    1969.03.15 00:00

  • 유선형 상술

    물건의 질을 높이기 않은채 값을 올려받거나 많이 팔리게 하는 방법에는 여러가지가 있다. 잘 팔리지않는 물건의 포장이며 상표만을 쓸쩍 바꿔놓고 엄청난 값을 불러 파는 수가 있다. 그

    중앙일보

    1969.02.10 00:00

  • 한글전용계획

    정부는 늦어도 70년1월1일부터 공문서뿐만 아니라 신문·잡지를 포함한 모든간행물 및 공용문서에 전면적으로 한글전용을 시행토록 규정한「한글전용화세부계획」을 마련, 이를 강행하기 위해

    중앙일보

    1968.10.28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