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3)뱃길 40년 선장할아버지 남해군여객선「경전호」의 장관열씨

    섬에서 태어나 뱃사람이 됐다. 뱃길에 애환을 보내며 40여년-. 여객선 「경전호」선장 장관열씨(56·경남남해군서면서상리)는 여수∼남해사이의 뱃길을 하루 2번씩, 올해로 그 뱃길만

    중앙일보

    1972.01.06 00:00

  • 군특수범,경인지역서 무장난동

    인천앞바다 실미도에 수용중이던 공군관리하의 특수범24명이 23일 아침6시쯤부터 무장난동을 일으켜 경비원23명중 14명을 사살하고 섬을 탈출, 인천 송도로 상륙하여 민간인「버스」를

    중앙일보

    1971.08.24 00:00

  • 영동에 폭우·해일 피해

    태풍 「올리브」는 6일 새벽 3시 울릉도 북북동쪽 60㎞해상을 통과, 울릉도를 폭풍우로 휩쓸고 포항·강릉·속초 등 동해안일대 곳곳에 해일과 폭우로 큰 해를 끼쳤다. 이날 상오 9시

    중앙일보

    1971.08.06 00:00

  • (162)-인천 상륙(5)|「6·25」20주…3천여의 증인회견…내외자료로 엮은 「다큐멘터리」 한국 전쟁 3년|「이 작전」

    「맥아더」원수가 절대 자신을 갖고 인천 상륙 계획을 추진하게 된 큰 동기는 「유엔」군이 제공·제해권을 꼭 쥐고 있기 때문이었다. 개전 초에 북괴 공군의 「야크」들은 서울·김포·수원

    중앙일보

    1971.04.14 00:00

  • (196)여정이 얼어붙은 철의 장막

    며칠동안 여객선을 타고 최북단으로 항해하면서 많은 노르웨이 사람들을 사귀었는데 한결같이 멋진 마도로스가 되겠다는 것이 이들의 이상이었다. 이 지구는 육지보다 바다가 훨씬 많이 차

    중앙일보

    1971.02.27 00:00

  • 뿌리뽑힌 작물 앞에 한숨만

    태풍 빌리호가 할퀴고 지나간 제주도·전남·전북 등 남 서해 지방엔 추석명절을 앞두고 상처가 심했다. 제주도의 소득원인 감귤의 수확은 70% 감수가 예상되고 있고 연안의 영세어민,

    중앙일보

    1970.09.01 00:00

  • "태풍「빌리」, 수확기 강타

    중심부초속 35m의 제11호 태풍「빌리」호는 제주도를 강타한데 이어 31일 호남지방과 중부서해안 일대를 거슬러 올라오면서 심한 피해를 끼쳤다. 이날 정오현재 치안 국 집계로는 7명

    중앙일보

    1970.08.31 00:00

  • 감귤 10억 꿈 박살

    【제주=신상범 기자】30일 태풍「빌리」호가 휩쓸고 지나간 제주도는 곳곳에 전주가 넘어지고 상점 간판이 여기저기 흩어져 있는가 하면, 고층건물의 유리가 모두 박살나 앙상한 모습을 남

    중앙일보

    1970.08.31 00:00

  • 자유어장에 붉은 기습

    북괴의 해상만행은 대낮에 저질러졌다. 조기철을 맞아 평화롭게 조업하고있는 우리 어선단을 기회만 있으면 납치하려는 북괴는 우리 어선단의 보호를위해 활동하던 해군방송선에 기습공격을 가

    중앙일보

    1970.06.06 00:00

  • 방역 이방지대|병원없는 옥구21개 섬마을

    외딴섬에는「방역」이란게 없었다. 섬마다 설사병환자가 연달아 늘어나도 찾아갈 병원도 없으며 섬사람들은 서너날 아팠대야 치료를 받을 엄두조차 못낸다. 군산항에서 서쪽으로 뱃길로 2시간

    중앙일보

    1969.09.11 00:00

  • 어패류 판금·압수

    【군산=본사임시취재반】군산시청에 마련된 현지 방역본부는 보사부가 진성「콜레라」 로 공식발표한지 23시간이 지난 10일 상오11시10분에야 겨우 비상방역회의를 열고 발병 14일만에

    중앙일보

    1969.09.10 00:00

  • 북괴 대형무장간첩선 나포-오늘아침 목포앞 흑산도 근해서|정보부 발표

    13일 중앙정보부는 이날 아침 6시께 전남 흑산도 해안○○지점에 접근한 북괴 대형무장간첩선 1척을 여포하고 무장공비특공대원 15명을 일망타진했다고 발표했다. 지난11일 진남포를 출

    중앙일보

    1969.06.13 00:00

  • 해상 야간통금 검토

    정부는 계속되는 북괴의 무장간첩선 침투에 대비하는 해상방위책의 하나로 동서양 해안의 어선들에 대해 해상 야간통금을 실시할 것을 검토하고 있다. 12일 하오 군 고위층은 이같은 해상

    중앙일보

    1969.06.13 00:00

  • 중간도서민은 철수

    정부는 잇따른 어선납북및 간첩선침투사고에대비, 어선의 안전조업과 효과적인 어로지도를위해 이같은 조치를 취하기로했는데 이와아울러 어로지도본부의활동을 강화하기위해 금년도에 2백만원의

    중앙일보

    1969.02.27 00:00

  • "그 혈기를 밖으로 돌리지"

    박정희 대통령은 30일 하오 강릉에서 「헬리콥터」편으로 영동지방해안선을 저공비행, 항만과 어선피해상황을 돌아본 후 거진항에 내려 육지에 밀려온 피해어선을 만져보면서 상세한 복구계획

    중앙일보

    1968.10.31 00:00

  • 거의 조개팔러가던 어민 16구 인양

    선객들은 조개를잡아 군산으로팔러가던 남녀어민과 개야다의 파시를 보고 돌아오던육지상인들이었다. 경찰 경비정5척과 현장근처에 있던 어선20여척,「헬리콥터」등이 동원되어 구조작업을 펴고

    중앙일보

    1968.05.25 00:00

  • 장항앞바다의 해상참사

    24일 전북옥구의 개야도리를 출발, 군산으로 돌아오던 부정기 연락선 서조호가 장항앞 유부도근해해 상에서 침몰, 승객 61명중 16명이 익사하고 9명이 실종한 일대참사가 발생하였다.

    중앙일보

    1968.05.25 00:00

  • (74)희망의 단계⑪거제대교

    다리가 선다. 다도해 맑은 바다 위에 다리가 선다. 임난의 성웅 이순신 장군이 왜적의 배를 몰고 들어온 견내량 물목 굽이에 「콘크리트」다리가 서는 것이다. 길이는 5백60미터, 거

    중앙일보

    1967.07.15 00:00

  • 70년, 외채상환

    【군산=김동익·김재환 기자】김종필 공화당 의장은 12일 상오 11시 군산공설운동장(청중 4천)서 열린 유세를 통해 『공화당 정부는 70연도까지 모든 외채를 상환, 자립으로 경제건설

    중앙일보

    1967.04.12 00:00

  • 책임규명 불투명 속에|한일호 사고 벌써 한달

    1백여 생명을 앗아간 「한일호」 참사가 있은 지 한 달째― 7일 현재 아직도 사고의 원인과 책임 소재가 밝혀지지 않은 채 물 속에 잠긴 원혼을 달랠 길 없다. 특히 「한일호」와 충

    중앙일보

    1967.02.07 00:00

  • 북괴와 포격전

    【속초】22일상오 10시30분쯤 동해어로저지선 근해에서 명태잡이하던 우리어선에 북괴가 지상포화를 퍼부어 우리경비함정과 약20분동안 교전했다. 이날 거진·대진항에서 출어한 우리어선들

    중앙일보

    1966.11.23 00:00

  • (12)경남 거제군

    언제부러 그렇게 불렸는지 몰라도 거제섬을 일컬어「수난의섬」이라 했다. 이는 나라의 풍운에항상 민감한 탓이리라. 낙동강하류에다 머리를 잇대고 진해만을 가로 질러 멀리 한려수도의 길목

    중앙일보

    1966.10.27 00:00

  • 전남 무안군

    노령산맥의 한줄기가 기름진 전남평야를 지나 전남서남단에 무안반도를 뻗쳐놓고 그 앞자락에 수많은 섬들을 점찍어 놓았다. 일컬어 다도해라 했다. 전남의섬 1천7백7개중 45%인 7백7

    중앙일보

    1966.09.15 00:00

  • 강풍 대피 위한 기항도 제지

    선원들은 장기 항해에 시달려 심한 피붓병 등 항해병에 걸렸고 제1삼양호 통신사 심판석 (34)씨는 육지상륙을 못한채 장시간 파도에 시달려 선실에서 정신분열증까지 일으켰다는것. 지난

    중앙일보

    1966.08.31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