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5)|홍재휴 교수(대구교대)교주|(제자의 뒷배경 글씨는 임진록 원본의 일부)

    진양으로 가려 하였지만 막상 그때 장마들어서 회양가는 길에 강물이 넘쳐 배조차 없다는 것이었다. 그런 차제에 예장수(왜장) 가등의 병사가 점점 가까이 다가와 금화에도 더 있을 수

    중앙일보

    1973.03.10 00:00

  • 그애환을 되새겨보는 특별기획(7)

    ▲사회=거의 한평생을 이역땅에서 살아오던 여러분께서는 고생이 이루 말할 수 없이 많으셨을줄 생각합니다. 그래서 하실 이야기도 고생만큼이나 많으실 것이고 또 감개무량하실 것으로 짐작

    중앙일보

    1973.01.15 00:00

  • 신춘「중앙문예」당선 희곡|철길(2)

    정여사 (현호의 팔을 가볍게 흔드는) 아이, 여보! 최덕수 아, 기차시간이 멀었는데 역전에서 천천히 저녁요기나 하고들어올 것이지, 개찰도 않는데 맘대로 역구내를 들락거리면 어쩌자는

    중앙일보

    1973.01.05 00:00

  • 연대 동방학연구소주최 「세미나」발표요지-최성환의 『고전비략』―이조 중인층의 실학사상

    다산 정약용, 추사 김정희 등을 하한으로 양반층의 실학사상은 정채를 잃어가고 중인층의 실학 및 개화사상적 지향이 주목된다. 19세기 중엽 소수특권 「벌열」가문을 제외한 양반층의 사

    중앙일보

    1972.12.04 00:00

  • 박 부수상, 이 위원장 숙소 방문

    3일 상오 10시 박성철 부수상이 이후락 위원장 숙소를 찾아와 환담을 하다가 돌연 김일성을 방문하게 되기까지의 대화는 다음과 같다. 이 자리에는 장기영 전 부총리, 최규하 대통령특

    중앙일보

    1972.11.03 00:00

  • 개화기의 숨은 사상가 유 대치|역사학회 월례회서 이광린 교수 발표

    이조 말의 실학 및 개화사상연구에 있어서 잘 알려지지 않았던 대치 유홍기의 존재가 새로 인식되고 있다. 이광린 교수(서강대)는 23일 서울대 문리대에서 열린 역사학회 월례발표회에서

    중앙일보

    1972.09.26 00:00

  • 남·북 생활의 단층을 깊었다|직접 대했던 이들이 말하는 북의 사람

    『북의 일행』54명이 서울에 머무른 지 4박5일-. 먹고 자고 보고 말하면서 그들이 남긴 일거일동은 분단 27년이 빚은 남북생활의 거리를 역력히 드러낸 것이었다. 숙소에서, 나들이

    중앙일보

    1972.09.18 00:00

  • 정 부의장·김병식 재회 약속

    박정희 대통령은 19일 하오 도보로 경복궁 현대 미술관에서 열리고 있는 제3회 대학 미술전에 들러 약 l시간 동안 학생들의 작품을 관람했다. 박 대통령은 새마을 사업을 주제로 한

    중앙일보

    1972.09.16 00:00

  • 실학연구에 획기적 전기|정다산의 미소개 저서 10종 발견을 계기로

    조선조의 대표적 실학자 다산 정약용(1762∼l836년)의 알려지지 않았던 저작들이 최근 대량으로 발견됨으로써 실학연구에 획기적인 전기를 마련하게 되었다. 지금까지 전혀 학계에 소

    중앙일보

    1972.09.07 00:00

  • 남사당과 전통 문화

    문화재 보호, 고분 발굴, 고원 복원이니 하는 소리를 자주 듣게 되는 요즈음, 나는 무형문화재에 속하는 민속 예술인 남사당놀이에 매료당해 있는 중이다. 아무리해도 나는 상류층에 흐

    중앙일보

    1972.08.04 00:00

  • (525)|내가 아는 이 박사|경무대 사계 여록 (152)|윤치영

    광복 운동을 본격화한 이 박사의 30대 시절 모국의 상황은 양반·중인·상인으로 구분되던 봉건 관습에서 탈피하려는 노력이 일던 때다. 개화파 지사들이 이 운동을 선도했다. 그들은

    중앙일보

    1972.08.02 00:00

  • (509)|내가 아는 이 박사 경무대 4계 여록(136)|곽상훈

    (11) 이 박사 행정부의 통치는 갈수록 강경 수단을 강화했다. 부산정치 파동서 등장한 소위 민의나 애국을 앞세운「테러」풍조에 행정부도 물들어 가는 느낌이었다. 부산정치 파동 때의

    중앙일보

    1972.07.13 00:00

  • 이조사회의 계급제도

    「하버드」대학 극동언어학과 주임교수 「에드워드·E·와그너」박사가 23일 밤 전주「카톨릭·센터」강당에서 「이조사회의 계급제도」라는 제목의 강연을 가졌다. 「와그너」교수는 「하버드」대

    중앙일보

    1972.06.28 00:00

  • 두 백 의장이「화해식사」

    『옛날에는 자기 손으로 일을 하지 않는 사람을 양반이라고 했는데 부지런한 사람을 양반이라고 했더라면 우리 나라 농촌은 벌써 부자가 됐을 것이다.』 지난 주말에 영·호남지방을 시찰한

    중앙일보

    1972.06.19 00:00

  • 토속문화로 본 한국의 서민의식|도민예술과 종교의 분석에 의한 접근

    한국의 서민은 역사 속에서 어떻게 살아왔고 그 서민들은 어떤 문화를 형성해 왔는가? 서민이 형성해온 민화와 구비문학, 민간연희와 토속신앙은 그들의 예술의욕과 정신과 미중사상, 사회

    중앙일보

    1972.06.19 00:00

  • (21) 숙종 때 암행어사 박만정의 행적(제자는 『해서 암행일기』의 표지)

    무상으로 주는 양곡에 있어서도 공평치 못하였다. 화과호독(홀아비 노인·과부·부모 없는 아이·자식 없는 노인 등)이나 폐질 자가 허다하게 누락된 데 반하여, 이 고을에서 양반이라고

    중앙일보

    1972.06.05 00:00

  • 숙종 때 암행어사 박만정의 행적|이봉래 역

    저녁에 서흥 남면 고방치라는 마을에 도착하여 쉬며 소문을 들었다. 또 토졸들에겐 거친 벼 한 섬을 주어 정미로 찧게 하고 쌀 6말씩 가져오라고 하였는데 작년에는 모든 곡식이 잘 여

    중앙일보

    1972.06.02 00:00

  • (18)숙종 때 암행어사 박만정의 행적|이봉래 역

    4월11일 맑다. 수안객사에 들어가 진휼문서를 조사했다. 군수 이만섭이 공상은을 들여와 문안했다. 3고을의 이 폐단과 자질구레한 민막은 진작 뜯어고칠 수도 있으련만 의연히 답습돼,

    중앙일보

    1972.06.01 00:00

  • (5) 숙종 때 암행어사 박만정의 행적

    【3월19일 계속】김 서리의 의견은 중요한 고비에 황해도에서 어른거릴 것이 아니라 대동강 건너 평안도 땅에서 양식을 구해 오자는 것이다. 그건 좋은 생각이라 여겨졌다. 『마침 용강

    중앙일보

    1972.05.15 00:00

  • 암행어사 일기-제자는 『해서 암행일기』의 표지(2)숙종 때 암행어사 박만정의 행적

    3월10일 맑다. 새벽에 일어나니 몸이 퍽 거뜬해졌다. 금천군 앞 주막에서 아침을 먹고 출발, 저탄을 지나 백천 땅에 들어섰다. 저탄은 이괄의 난 때 이중로·박영신 등이 싸우다 죽

    중앙일보

    1972.05.10 00:00

  • 「서 업」소득 자

    며칠 전「서 업 소득 자」에 대한 대대적인 세무조사를 한다는 기사가 난적이 있다. 매달 꼬박꼬박 엄청난 갑근세를 물고 있는 나로서는 세무사찰하고는 워낙 거리가 먼 터이지만 표제 중

    중앙일보

    1972.04.17 00:00

  • 현대문학전속극회『양반전』공연

    「현대문학사전속극회」는 제2회 공연으로 유신종 극본 차범석 연출『양반전』을 25·26 양일간(하오 4시·7시) 한국일보사 소극장에서 상영한다. 이조 중엽의 박지원 작『양반전』을 현

    중앙일보

    1972.02.22 00:00

  • 「신민사관」 바로 잡은 신채호 선생|그의 36주기 추모기념 강연에서

    단재 신채호 선생 36주기 추모기념 강연회가 21일 하오1시 천도교 수운회관에서 열렸다. 조국독립을 위한 광복운동의 선구자이며 사학자요 언론인이었던 단재가 여순 감옥에서 세상을 떠

    중앙일보

    1972.02.21 00:00

  • (368)「카페」시절(10)|이서구(제자는 필자)

    지금도 그렇지만 극장주변에는 술집도 많고, 호떡집도 그득하다. 해가 저물어 극장 옥상에서 손님을 부르는 날나리 소리가 구슬프게 들리면 극장앞마당은 설레기 시작한다. 그때는 주간흥행

    중앙일보

    1972.01.28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