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장기기증운동 조용한 확산/종교계 주축 6개 센터 운영중

    ◎89년이후 4만7천여명 동참 「부모로부터 받은 신체는 머리카락 한올도 함부로 할 수 없다」는 전통적 사고방식 때문에 불모나 같았던 장기기증운동이 최근들어 활기를 띠고 있다. 89

    중앙일보

    1994.04.17 00:00

  • 23.어린이암 빈혈땐 일단 의심

    암은 성인의 전유물이 아니다.어린이들도 암에 많이 걸리고 있다. 漢陽大의대 병원 高光昱의료원장은『암은 소아의 사망원인중 사고 다음으로 2위를 차지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해야 할 것』

    중앙일보

    1993.09.10 00:00

  • 고아에게 콩팥기증/영세상인 김현준씨의 「이웃사랑」

    ◎“나는 한개면 족하다” 딱한 소식듣고 선뜻/새생명 찾은 조군 “사회필요한 일꾼” 다짐 한 영세상인이 신장병으로 죽어가는 생명부지 고아에게 자신의 콩팥을 기증해 새 삶을 얻게했다.

    중앙일보

    1993.07.23 00:00

  • 심장·간 동시이식 국내 처음 성공/서울 중앙병원서 시술

    국내에서 처음으로 뇌사자의 심장과 간장을 동시에 다른 환자에게 이식하는 수술이 서울 중앙병원에서 14∼15일에 걸쳐 이뤄졌다. 이 병원 관계자는 지난 5일 전북 전주시내에서 교통사

    중앙일보

    1993.07.17 00:00

  • "장기 공여, 선진국선 정부가 관리"|「장기이식」특강 위해 내한 로이 칸 국제이식 학 회장

    세계적 장기 이식수술의 대가인 영국 케임브리지 대 외과교수 로이 칸 경(63·국제이식 학 회장)이 대한의학협회 주최로 7일 서울 인터콘티넨탈호텔에서 열린「공여장기의 분배 및 관리」

    중앙일보

    1993.06.09 00:00

  • 장기 이식|기증자 없어 **있으나마나

    대한의학협회가 지난 4일「뇌사에 관한 선언」에서 뇌사를 사망으로 공식 인정한 것을 계기로 의료계는 장기이식의 한 전기를 마련했다. 그러나 정작 현장에서는 기증장기가 부족, 이식만

    중앙일보

    1993.03.17 00:00

  • 이 재단은 신장질환자들의 어려움을 지원하고 부설기관으로 신장은행을 설립, 신장을 기증받은 뒤 기증자와 수혜자의 가교역할을 할 예정이다. (784)0875.

    중앙일보

    1992.10.14 00:00

  • 뇌사입법 논의 지지부진|장기이삭은 계속 되는데...|가치기준 마련 국민적 힙의 시급

    최근 잇따라 뇌사자의 장기이식수술이 성공을 거둠에 따라 그동안 유보돼왔던 뇌사입법여부가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사회적 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현행 우리법은 뇌사를 인정치않은 상태이

    중앙일보

    1992.07.08 00:00

  • 안구 기증자 갈수록 격감|수술 대기 1만여명 애태워

    각막 실명자들에게 개안의 희망을 줄 수 있는 헌안 운동이 빛을 잃고 있다. 지난 89년 가톨릭 교회의 세계 성체 대회 때 반짝하던 헌안의 열기가 갑자기 식고 있는 것이다. 종교계

    중앙일보

    1992.01.15 00:00

  • 사경 23명에 새삶 심었다/「장기기증 운동본부」발족 1년

    ◎전과속죄의 신장 기증등/몸을 잇는 「사랑고리」정착/성탄이브 장기이식 “최고의 선물” 『힘드시죠. 하루빨리 완쾌돼야 할텐데….』『뭐라고 감사의 말을 표현할 길이 없네요. 어떻게 이

    중앙일보

    1991.12.29 00:00

  • 되돌아본 '91 의학계(상)|내국인간 에이즈감염 급증

    91년 국내의료계는 학문적측면에서 이렇다할 성과가 드문 반면, 보험재정의 적자, 의료사고에 대한 국민적 관심의 고조, 콜레라 파동등 의학외적 문제점들이 많은해였다. 또 에이즈(후천

    중앙일보

    1991.12.18 00:00

  • 지난날 속죄는 아직도…|신장기증 전과 11범 최영일씨

    『온몸이 푸석푸석하고 핏기도 없이 죽어 가는 네 모습을 보다 생기가 도는 얼굴을 대하니 눈물이 나오는구나.』 『정말 고맙습니다. 어떻게 보답을 해야할지…』 10일 오후 2시 사랑의

    중앙일보

    1991.10.11 00:00

  • 신장 기증자에 표창장

    ◇안필준 보사부장관은 22일 신부전증으로 사경을 헤매던 소녀 가장에게 신장을 기증한 조규창씨 (50·인천시 금곡동 6의14)에게 표창장을 수여하고 소녀 가장 이연란 양 (14·성남

    중앙일보

    1991.07.22 00:00

  • 뇌사 불인정 장기이식 어려움 많다|주요 장기별 이식수술 수준과 문제점

    미국·영국 등 선진국에서는 이미 보편화 된 장기이식 수술이 우리나라에서는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법적·제도적 강치가 마련되지 않아 환자들의 안타까운 사정에 비해서는 실적이 미흡한

    중앙일보

    1991.04.16 00:00

  • 신장 암거래 조직/검찰이 수사 나서

    서울지검 형사2부 임안식 검사는 13일 콩팥 등 인체장기의 매매를 알선하는 「인체브로커」(중앙일보 11일자 23면)에 대한 일제 수사에 나섰다. 검찰은 이들의 장기알선 행위가 「영

    중앙일보

    1991.04.12 00:00

  • 장기의 상품화 막는 길(사설)

    오늘날 첨단과학의 눈부신 발달은 의학계에서도 예외가 아니다. 덕분에 수명의 연장과 생명의 구호가 이전엔 상상도 할 수 없었던 정도로 발전하게 된 것도 사실이다. 그 대표적인 실례가

    중앙일보

    1991.04.12 00:00

  • 장기제공- 이식환자 24시간 "시술"

    뇌사의 입법화를 앞두고 신장·심장·간장등의 장기이식을 필요로 하는 환자와 제공자의 원활한 시술을 위해 서울대의대병원에 장기이식연구회가 발족된다. 3월5일부터 본격 가동될 장기이식연

    중앙일보

    1991.02.21 00:00

  • 뇌사와 구명의 생사관(사설)

    인간의 죽음을 단정할때 우리는 심장의 고동이 멈추는 것을 판단의 결정적 기준으로 삼는 오랜 관습에 익숙해 있다. 그런데 의학기술의 발달로 장기이식 수술이 일반화되면서 신선한 인체

    중앙일보

    1990.02.28 00:00

  • (20)백혈병|영화에서처럼 불치병은 아니다

    백혈병-. 불치병의 대명사로 영화나 소설에 자주 등장하는 병이다. 백혈병은 곧 사형선고를 의미하는 것이었고 그래서 영화나 소설은 으례 비극으로 막을 내리고 만다. 그러나 이제는 사

    중앙일보

    1986.06.26 00:00

  • 신장이식 생존율 75%

    ○…연세대의대 의과학교실 박기일교수팀은 지난 79년4월부터 83년3월까지 4년간 81건의 신장이식수술을 실시, 75.3%의 생존율을 보이고 있다고 보고했다. 특히 이중 신장기증자와

    중앙일보

    1983.06.11 00:00

  • 장기이식, 제때에 떼 내야 가능

    장기이식은 흔히「생명 2개의 손실보다 l명의 소생을 위해」로 표현된다. 살아 있는 사람, 또는 죽은지 수 시간이 경과하지 않은 사람들의 인체기관들은 다른 사람에게 옮겨져 새로운 삶

    중앙일보

    1982.11.20 00:00

  • 골수이식

    미국내에서만 10개의 의료센너가 골수이식에 따른 암치료를 하고 있다. 이 치료법은 골수제공자의 뼈속에서 골수를 주사기로 뽑아 환자의 혈관에 주사하는 것으로, 이 주사를 맞은 환자는

    중앙일보

    1982.10.02 00:00

  • 장기이식으로 살 수 있는 사람 기증자 없어 생명을 잃는다

    우리 나라에는 신장·눈(안)등장기의 기증자가 적어 이식수술만 받으면 생명을 건질 수 있는 환자가 목숨을 잃거나 광명을 찾지 못하는 일이 많다. 현재 구미각국에서는 난치병을 앓고있는

    중앙일보

    1981.11.25 00:00

  • 신장병-정석호(163)|요독증(8)

    우리의 신장이 아무리 여분의 기능을 많이 가진 기관이라고 하더라도 정상기능의 5%이하까지 떨어지면 약물치료나 적극적인 식이요법을 써도 요독증은 피할 수 없다. 요독이란 세포가 살아

    중앙일보

    1981.06.17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