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이슈초대석] "박태준 전 포스코 회장 북한 보내자"

    ■ 대기업 1개가 개성공단보다 낫다… 남북경협의 시작은 북한 바로 보기 ■ 백두산 관광 특정 업체 선정 안 돼… 평양 관광 대기자만 1만여 명 ■ 남포 활용하면 평양과 가까워져…

    중앙일보

    2007.11.01 10:58

  • "김정일 북방3각서 탈피 남방3국으로 경협 선회"

    "김정일 북방3각서 탈피 남방3국으로 경협 선회"

    남북회담 전문가 김달술(78.사진)씨는 7일 '2007 남북정상선언'을 분석한 뒤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경제 분야에서 북방 3각관계를 탈피해 남방 3각관계로 방향을 전환한 것으로

    중앙일보

    2007.10.08 04:19

  • [남북정상회담D-1] 16개 경협 약속 땐 '12조짜리 회담'

    [남북정상회담D-1] 16개 경협 약속 땐 '12조짜리 회담'

    2007년 남북 정상회담에서 북한이 개성공단과 같은 경제특구를 추가 건설하는 문제가 논의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우리 측이 재정 능력을 벗어나 과도한 지원을 약속할

    중앙일보

    2007.10.01 04:39

  • 이수훈 동북아시대위원장이 보는 남북 정상회담

    이수훈 동북아시대위원장이 보는 남북 정상회담

    신동연 기자 -정상회담을 다음 정부로 넘겨야 한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대선 쪽으로 회담이 다가간 것은 북한의 수해 때문이다. 10월 초로 정해진 것은 노무현 대통령의 외교 일

    중앙선데이

    2007.08.26 01:44

  • 현찰 아닌 경협 … '선불'아닌 '후불' 가능성

    현찰 아닌 경협 … '선불'아닌 '후불' 가능성

    "2차 남북 정상회담은 공식 기구(국가정보원)를 통해 법률에 따라 투명하게 진행해 왔다."(이재정 통일부 장관, 9일 브리핑) "내적으로는 아주 투명하게 진행됐다고 자신한다."(김

    중앙일보

    2007.08.10 04:20

  • 한나라판 '햇볕정책' 배경

    한나라판 '햇볕정책' 배경

    '남북 정상회담 개최' '한반도 종전선언과 평화협정 체결' '북한 내 300만 명 극빈계층에 대한 쌀 15만t 무상 지원'. 한나라당이 대북정책을 대폭 손질했다. 당 평화통일정책특

    중앙일보

    2007.07.05 04:23

  • [글로벌아이] 압록강 비단섬에 경제 특구를

    [글로벌아이] 압록강 비단섬에 경제 특구를

     압록강을 사이에 두고 북한과 마주한 중국 단둥(丹東). 지난달 말 이곳에서 나흘간 열린 ‘북·중 상품 전시회’는 북한과 중국의 경제적 차이를 적나라하게 보여 주는 현장이었다. 2

    중앙일보

    2007.07.03 19:08

  • 김정일 은둔의 장막 걷어내나

    우리는 북한 경제에 대해 얼마나 알고 있는가? 남북 경협 규모가 10억 달러를 넘어섰음에도 우리는 북한 경제의 정확한 실체를 알지 못하고 있다. 굶어 죽는 사람이 발생할 정도로

    중앙일보

    2007.03.22 10:34

  • "체제 지키며 경제 재건" … 북한판 386 전진 배치

    1994년 본격화한 김정일 시대의 목표는 선군정치와 실리주의로 압축된다. 정권과 체제를 지키면서 경제난을 해소하겠다는 것이다. 김정일 국방위원장은 98년부터 경제재건을 위해 개혁.

    중앙일보

    2007.01.06 08:54

  • "체제 지키며 경제 재건" … 북한판 386 전진 배치

    "체제 지키며 경제 재건" … 북한판 386 전진 배치

    1994년 본격화한 김정일 시대의 목표는 선군정치와 실리주의로 압축된다. 정권과 체제를 지키면서 경제난을 해소하겠다는 것이다. 김정일 국방위원장은 98년부터 경제재건을 위해 개혁

    중앙일보

    2007.01.06 04:27

  • "김근태 의장, 개성 가지 마시오"

    "김근태 의장, 개성 가지 마시오"

    18일 오전 열린우리당 비상대책위 회의가 열리고 있는 국회 당의장실. 김근태 의장의 인사말에 이어 회의가 비공개로 바뀌었다. 기자들은 회의장 바깥으로 나왔다. 그러자 참석자들이 김

    중앙일보

    2006.10.19 04:38

  • [내생각은] '중국 역사왜곡'은 왜 대응 않나

    [내생각은] '중국 역사왜곡'은 왜 대응 않나

    일본이 일으킨 독도 문제를 향해 우리 신경이 온통 곤두서 있는 지금, 중국에 의해 또 다른 역사왜곡이 자행되고 있는 사실을 우리는 벌써 잊고 있다. '동북공정'프로젝트다. 중국

    중앙일보

    2006.05.03 21:03

  • "북-중, 신의주 위화도에 '자유무역시장' 개설합의"

    북한과 중국이 양국간 국경무역을 대폭 확대하기 위해 신의주의 하중도인 위화도에 '자유무역시장'을 개설키로 합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경향신문은 13일 이같이 보도하면서 이는 최근 북

    중앙일보

    2006.04.13 09:09

  • 북, 압록강 '비단도'에 경제특구 추진

    북한이 압록강 하구에 있는 평안북도 '비단도'를 새로운 경제특구 후보로 개발할 방침이라고 도쿄신문이 7일 보도했다. 신문은 복수의 소식통을 인용, "북한이 비단도의 주민을 다른 곳

    중앙일보

    2006.03.07 19:40

  • "해외 나가있는 대사들 경제 일꾼들로 바꾸라"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이 최근 "해외에 나가 있는 대사들을 무역.경제부문 일꾼(간부)들로 바꾸라"는 지시를 노동당과 내각에 내린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은 김 위원장의 이런 방침에

    중앙일보

    2006.02.10 05:03

  • 2006년 '1월의 평양 ' 가보니 … 북 "경제 회복 자신감"

    2006년 '1월의 평양 ' 가보니 … 북 "경제 회복 자신감"

    평양의 도심 창광거리에 위치한 고려호텔 앞에 투숙객들이 이용하는 차량이 서 있다. 오른쪽 가로등에 붙어 있는 표지판은 지하도 안내 표시다. 평양=정용수 기자 에너지난으로 어려울 것

    중앙일보

    2006.01.27 19:05

  • 고위급 5명 중 4명이 경제통

    고위급 5명 중 4명이 경제통

    북한 중앙통신은 18일 김정일 위원장과 함께 방중한 수행원 명단을 발표했다. 박봉주 내각 총리와 강석주 외무성 제1부상, 박남기.이광호 노동당 부장(장관급), 노두철 내각 부총리

    중앙일보

    2006.01.19 05:53

  • 김 위원장 방중 관심사… 광저우 대학촌 방문해 눈길

    김 위원장 방중 관심사… 광저우 대학촌 방문해 눈길

    중국을 방문 중인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이 중국 선전 우저우호텔 내부에 서 있는 모습이 일본 아사히 TV에 포착됐다. 국방위원장이 된 이후 중국을 네 번째 방문한 김정일은 이번 방

    중앙일보

    2006.01.16 05:28

  • [대검 중수부 전담팀 '김우중 수사'본격화] 작년 방북 … 신의주특구 개발 협의

    [대검 중수부 전담팀 '김우중 수사'본격화] 작년 방북 … 신의주특구 개발 협의

    ▶ 김우중 전 대우 회장이 한때 머물렀던 주택. 프랑스 남부 휴양도시 니스의 파블롱 지역 고급 주택가에 있다. [중앙포토] 김우중 전 대우그룹 회장은 해외도피 기간 중 대북 활동도

    중앙일보

    2005.06.14 05:52

  • 북한 박봉주 총리 22일 중국 방문

    북한 박봉주 내각 총리가 원자바오(溫家寶) 중국 총리의 초청으로 22일 베이징(北京)을 방문한다. 박 총리는 27일까지 중국에 머물면서 중국과의 경제 협력 강화 방안을 집중 논의할

    중앙일보

    2005.03.21 18:25

  • [중앙 포럼] 북한에 경제 자문역을 보내자

    최근 일본 TV들이 입수.방영한 북한의 실상을 보며 그 처참함에 가슴이 미어졌다. 여기저기 땅바닥에 눕거나 기어다니는 어린아이들, 맨발에 너덜거리는 옷과 땟국이 흐르는 얼굴, 연방

    중앙일보

    2005.01.12 18:33

  • [내 생각은…] 북한은 붕괴되지도, 돼서도 안 된다

    북한은 절대로 붕괴되지 않는다. 붕괴돼서도 안 된다. 그 이유를 보자. 첫째, 우리 남한이 굳건히 같이 손잡고 있기 때문이다. 6.15선언에서 남과 북은 민족적 자주의식으로 대동단

    중앙일보

    2005.01.06 09:46

  • [내 생각은…] 북한은 붕괴되지도, 돼서도 안 된다

    북한은 절대로 붕괴되지 않는다. 붕괴돼서도 안 된다. 그 이유를 보자. 첫째, 우리 남한이 굳건히 같이 손잡고 있기 때문이다. 6.15선언에서 남과 북은 민족적 자주의식으로 대동단

    중앙일보

    2005.01.05 20:54

  • [시론] 북한이 변하고 있다

    최근 들어 북한 내부의 이상동향을 둘러싼 보도가 잇따르고 있지만 북한의 실제 변화는 제대로 확인되지 않고 있다. 미확인 사안으로 북한을 평가하는 것은 객관적인 북한 이해를 어렵게

    중앙일보

    2004.12.10 09: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