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대장균 검출 등 도시락제조업체 13곳 적발

    도시락에서 대장균이 검출되거나 영업자 의무사항을 이행하지 않은 13개 도시락제조업체가 검찰에 무더기로 적발됐다. 부산지검 형사3부(부장검사 김종남)는 5일 관내 38개 도시락제조업

    중앙일보

    1999.07.05 09:57

  • [오늘의 중앙일보]12월 1일

    식품은행 내년 등장 22면 다소 생소한 '식품은행' 이 내년 서울에 첫 등장한다. 호텔이나 뷔페업소.제과점등에서 나온 먹을 수 있는 음식을 모아 사회복지시설에 전달해 주는 곳이 바

    중앙일보

    1997.12.01 00:00

  • 대구시 유통기한 무표시.기한 지난 식품 판매한 업소 무더기 적발

    유통기한이 표시되지 않거나 기한이 지난 식품을 판매해온 업소가 무더기 적발됐다. 대구시는 17일부터 3일간 대구시내 식품류 판매점 4백46곳을 점검해 유통기한이 표시되지 않는등 법

    중앙일보

    1997.06.24 00:00

  • 구청장 협박당한 대구 南區廳 퇴폐술집 무더기 폐쇄조치

    무허가로 불법.변태영업을 해오던 술집들이 구청에 의해 무더기로 폐쇄조치됐다. 대구 남구청은 6일“대명동 양지로 일대 술집들의 불법.변태영업이 근절되지 않아 최근 식품위생법(제62조

    중앙일보

    1997.01.07 00:00

  • 유흥업소 신용카드 전표시간 조사 심야영업 700곳 적발

    단속을 피하기 위해 비밀통로와 방음장치등을 설치하고 삐끼를 고용,심야영업을 해온 무허가 유흥업소가 대금을 결제한 신용카드전표에 자정이후 영업한 것으로 시간이 확인되는 바람에 무더기

    중앙일보

    1996.11.09 00:00

  • 무장공비 동해안 침투사건 관련 공비 설쳐도 시민들 침착

    허술한 동해안 방어선을 뚫고 침투한 무장공비의 도주 행각이 계속되고 있지만 대부분의 시민들은 불안한 표정속에서도 동요가 없었다. 다만 서울서초구반포동 강남터미널의 경우 18일 오후

    중앙일보

    1996.09.20 00:00

  • 폐수 무단방류업체 무더기 적발-환경부,염색공장등 52곳

    임진강 상류 동두천.파주시,양주.여천.포천.철원군 등 6개 시.군지역의 피혁.염색공장들이 폐수를 마구 버리고 배출시설을 무허가로 설치.운영하거나 방지시설을 제대로 가동하지 않는 것

    중앙일보

    1996.05.24 00:00

  • 無許 식품업체 무더기 적발-서울시,266곳중 80곳 단속

    영등포.청량리시장등 재래시장에서 무허가 식품을 제조,판매해온업체와 냉동.냉장식품을 상온에서 판매해온 수입전문점들이 무더기로 적발됐다. 서울시는 16일 소비자보호단체와 합동으로 설날

    중앙일보

    1996.02.17 00:00

  • 위생불량 대형음식점 무더기 적발

    젊은이들이 많이 찾는 외국계 체인음식점등 서울시내 대형음식점들이 무허가식품이나 유통기한이 지난 제품을 요리에 사용하다 32개업소가 무더기로 적발됐다. 서울시는 18일 소비자보호단체

    중앙일보

    1995.12.19 00:00

  • 농수산물 원산지표시 안한 백화점등 39곳 적발

    굴비.오징어.새우.마늘.버섯등 농수산물에 대한 원산지표시규정을 위반한 업소 39곳이 무더기로 적발됐다. 서울시는 7일 지난1일부터 5일까지 구청.경찰.국립수산물검사소와 합동으로 시

    중앙일보

    1995.09.08 00:00

  • 추석 앞두고 불량식품 판매 백화점등 무더기 적발

    서울시는 5일 지난달 30일부터 나흘동안 백화점 28곳,슈퍼마켓 1백31곳,재래시장 27곳,식품제조업체 35곳등 모두 2백21개업소에 대해 추석성수품 부정판매 단속을 실시,이중 1

    중앙일보

    1995.09.06 00:00

  • 녹인 냉동오리.변질재료쓴 음식점 무더기 적발-복지부

    냉동오리를 납품받아 녹인뒤 생오리로 판매한 대형유통업체와 냉동식품을 제대로 보관하지 않은 백화점,변질된 재료로 음식을 만드는 유명음식점 등이 무더기로 적발됐다. 보건복지부는 명예감

    중앙일보

    1995.08.03 00:00

  • 환경오염 912곳 적발-유해가스.폐수방류 조업정지.고발

    한국중공업.대우중공업.LG전자.롯데우유.삼양식품등 대기업들이기준을 초과하는 오염물질을 내보내는등 환경관련 법규를 위반,무더기로 적발됐다. 환경부는 6일 각 시.도와 환경관리청이 지

    중앙일보

    1995.07.07 00:00

  • 특정폐기물 부실관리 백11개社 적발

    현대종합목재산업.진로종합식품.금성사등 대기업을 포함한 1백11개 업체가 폐산(廢酸).폐알칼리.폐윤활유등 특정폐기물을 부실관리해오다 무더기로 적발됐다. 환경부는 6일 올 1.4분기중

    중앙일보

    1995.05.07 00:00

  • 오염물질배출 무더기 적발 273社 고발-환경부 단속결과

    일부 대기업들이 배출허용기준을 넘는 폐수를 내보내고 먼지를 발생시키다 무더기로 적발됐다. 환경부는 27일 3월중 오염물질 배출업소 단속 결과 9백57건의 위반사례를 적발,고발.개선

    중앙일보

    1995.04.28 00:00

  • 불량도시락 제조 46개업소를 적발-서울시.消保院 합동단속

    무허가 식품및 유통기간이 지난 제품을 원료로 사용하거나 시설기준을 위반한 불량도시락 제조업자가 무더기로 적발됐다. 서울시는 29일 행락철을 앞두고 지난 20일부터 25일까지 소비자

    중앙일보

    1995.03.29 00:00

  • 불량식품업소 무더기 적발-유통기한 위반등 7백97개사

    보사부는 12일 호남.충청.제주지역에 대한 부정불량식품 특별단속을 벌여 7백97개업소에서 1천42건의 법규위반 사례를 적발,허가취소와 영업정지등 행정처분을 내렸다고 밝혔다. 보사부

    중앙일보

    1994.12.09 00:00

  • 無許 생수.불법식품 제조.판매 34곳 적발

    무허가로 생수를 제조.판매해온 생수업체 6곳과 젓갈등 김장용식품에 제조일자를 표시하지 않는 등 표시기준을 위반한 5개 식품업체를 비롯한 불법식품 제조.판매업소 34개가 무더기로 적

    중앙일보

    1994.11.30 00:00

  • 유통기한 지난 냉장식품 판매 백화점등 1백37곳 적발

    냉장식품을 상온에서 진열해 판매하거나 유통기한이 지난 제품을팔아온 백화점.유명식품대리점.수입식품점등 1백37개 업소가 무더기로 적발됐다. 17일 서울시에 따르면 지난 7일부터 14

    중앙일보

    1994.09.17 00:00

  • 유통기한 어긴 식품제조.판매 14개업소 적발-서울시

    유통기한을 표시하지 않은 식품을 만들어 유통시킨 업체와 유통기한이 지난 식품을 판매한 업소들이 무더기로 적발됐다. 서울시는 20일 유원지 등에서 판매되고 있는 식품에 대해 일제단속

    중앙일보

    1994.04.20 00:00

  • 유통기한 변조.미표시 식품수입사 9개업체 적발

    수입업체 상당수가 수입식품 유통기한을 최고 1년6개월까지 무단연장하거나 유통기한 자체를 표시하지 않은채 시중에 유통하다 무더기로 적발됐다. 서울시는 23일 수입식품의 유통기한을 무

    중앙일보

    1994.03.23 00:00

  • 대형음식점 52곳 대장균·세균검출

    수원·성남·안양·부천 등 경기도내 16개 시·군 52개 대형식품 접객업소의 냉면육수· 물수건·보리차 등에서 대장균과 세균이 무더기로 검출돼 해당업소가 경고, 시정지시 등을 받았다.

    중앙일보

    1993.07.05 00:00

  • 제조일자·수입식품 한글표시 위반/식품업체 등 43곳 적발

    ◎보사부,6대도시 위생점검 유통기한 또는 제조일자를 표시하지 않거나 수입식품에 한글표시를 하지않는 등 제품표시기준을 위반한 식품가공업체와 수입상 등 43개 업소가 무더기로 적발돼

    중앙일보

    1993.03.20 00:00

  • 큰 병원에 무허도시락

    대형종합병원매점에 무허가도시락등을 불법판매해온 업소들이 무더기로 적발됐다. 서울시는 14일 지난달25일부터 이달 4일까지시내 1백75개 유가공·조미·과자류 제조업소와 백화점등 대형

    중앙일보

    1992.09.14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