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제도·문물 정비한 '동국문헌비고' 편찬은 문화국가 위상 세우기 위한 것"

    한국학 연구단체인 진단학회(震檀學會.회장 정만조)가 1973년부터 매년 실시해온 '한국고전연구 심포지엄'이 올해로 35회를 맞는다. 제1회 때 '삼국유사'를 테마로 연구결과를 발표

    중앙일보

    2007.05.09 05:08

  • [BOOK책갈피] 여행·조각·과학·무용 … '조선의 프로'들

    [BOOK책갈피] 여행·조각·과학·무용 … '조선의 프로'들

    조선의 프로페셔널 안대회 지음, 휴머니스트, 436쪽, 1만9000원 줄여서 '프로'라고들 하는 프로페셔널은 돈을 위해 자신의 능력을 파는 사람을 뜻한다. 즉 직업적으로 어떤 일을

    중앙일보

    2007.03.30 19:40

  • 승정원 7품 관원 '주서' 왕과 신하의 만남에 동석

    승정원 7품 관원 '주서' 왕과 신하의 만남에 동석

    영조 40년 10월 1일, 여느 때와 마찬가지로 저녁 공부를 마치고 약방에서 들인 탕제를 마시던 영조는 갑자기 들려 오는 천둥 소리에 놀라 책상 밑으로 몸을 숨겼다. 탕평책과 균

    중앙일보

    2007.03.23 05:14

  • 키워드로 푸는 역시 사관과 주서의 관계는

    '조선왕조실록'과 '승정원일기'는 조선시대 기록문화의 탁월성을 입증하는 자랑스러운 문화유산이다. 역사의 기록을 담당한 직책은 사관(史官)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하지만 조선의 역사

    중앙일보

    2007.03.23 04:42

  • 임오군란 피해 51일간 충주에 머문 명성황후 '피난기록' 발견

    명성황후(1851~95)가 1882년 임오군란 당시 궁궐을 탈출해 51일간 피란생활을 했던 기록이 발견됐다. 대전시향토사료관은 임오군란 때 충북 충주 등으로 피신한 명성황후의 행적

    중앙일보

    2006.06.30 20:18

  • [성시윤기자의고갯마루얘기마루] 인제 샛령

    [성시윤기자의고갯마루얘기마루] 인제 샛령

    샛령 정상에 서니 저 멀리 동해가 보인다. 옛길일수록 그 위에 쌓인 세월의 먼지가 두껍다. 옛길의 매력이란 켜켜이 쌓인 먼지를 털고 오련한 과거를 더듬는 데 있다. 이번에 찾아나선

    중앙일보

    2005.12.29 15:49

  • 전통 - 현대 '소통의 징검다리' 놓았다

    국내의 대표적 한문고전 번역단체인 '민족문화추진회'(회장 조순)가 6일 창립 40주년을 맞는다. 그동안 지식인 사회에서 '민추'라는 약칭으로 통용되며 고전 국역(國譯)의 대명사로

    중앙일보

    2005.11.02 05:47

  • [분수대] 이재극

    [분수대] 이재극

    우리나라 수의(壽衣)의 역사는 그다지 깊지 않다. 평상복 차림의 매장 역사는 유구하지만 따로 수의를 장만한 것은 조선조 후기로 추정된다. 당시 유력한 왕실 종친이자 예조판서를 지낸

    중앙일보

    2005.08.15 20:34

  • [사람 사람] "승정원일기 옆에서 반년 넘게 잠잤다"

    [사람 사람] "승정원일기 옆에서 반년 넘게 잠잤다"

    "한국전쟁 때 이 책들을 지켜내느라 고생한 생각을 하면…. 이렇게 잘 간직돼 있는 걸 보니 이제 걱정이 없습니다." 1948년부터 25년간 서울대 규장각 사서를 지낸 백린(82)

    중앙일보

    2004.06.16 18:57

  • "선조실록 중초본 찾아냈다"

    "선조실록 중초본 찾아냈다"

    선조실록의 중초본으로 추정되는 희귀 자료가 발굴됐다. 강원대 인문과학연구소(소장 정금철)는 춘천의 한 소장자에게서 이 자료를 입수해 24일 공개했다. 중초본은 초본을 교정하여 작성

    중앙일보

    2003.07.24 18:18

  • 별똥별은 왜 늘 같은날 떨어질까

    지난주 사자자리에서 별똥별이 쏟아졌다. 지난해처럼 우박 쏟아지듯 한 것은 아니었지만, 공해와 불빛이 없는 곳에서는 맨눈으로도 시간당 몇개씩은 볼 수 있었다. 별똥별은 혜성의 궤도

    중앙일보

    2002.11.28 00:00

  • 비 가장 많이 오는 시기

    올해는 장마가 끝난 뒤인 8월에 비가 많이 왔다. 때문에 모두 날씨가 갑자기 이상해졌다고 한다. 하지만 이것이 별안간 나타난 이변이 아니라 1960년대부터 1년 중 비가 가장 많

    중앙일보

    2002.08.29 00:00

  • 英祖와 신하들 연작시집 '경진첩'첫 발견

    조선의 21대 국왕 영조(英祖)는 매우 주목할만한 임금으로 꼽힌다. 그는 우리 근세사의 르네상스를 이룬 현군(賢君)으로 평가될 뿐 아니라 조선조 최장수(83세) 왕으로 최장 기간

    중앙일보

    2002.06.24 00:00

  • "인문학을 살리자" 머리 맞댄 학계·정부

    '인문학의 위기'는 이제 단순히 인문학에만 국한한 것이 아니라 대학사회 전반의 붕괴를 가져오고 있다. 뒤늦은 감은 있지만 인문학 위기의 근본 원인이 무엇이고 어떻게 극복할 것인가

    중앙일보

    2002.06.12 00:00

  • 조선 왕의 '낮과 밤'을 알고 싶다 KBS 역사스페셜 23일 '승정원 일기'방영

    총 3천2백43책의 조선시대 승정원 일기. 그 분량만 해도 조선왕조실록의 네배, 중국 전체 역사 기록지의 여섯배로 세계 최고(最高)의 기록물로 손색이 없다. KBS 역사스페셜(23

    중앙일보

    2002.03.22 00:00

  • 고달픈 조선王 : 공부에 치이고 종기 달고 살아

    굴곡 많은 근·현대사를 거치며 조선시대의 왕과 왕실은 '버려야 할 권위'로 치부돼 왔다. 그 와중에 궁중 문화는 상당 부분 왜곡되고 생명력 잃은 문화재로만 남게 됐다. 국사편찬위

    중앙일보

    2002.03.21 00:00

  • ['한국문화대백과' CD롬 출간한 이웅근 동방미디어 회장]

    한국학 정보를 집대성한 것으로 평가받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한국정신문화연구원 편찬)이 종이 사전에서 멀티미디어 데이터베이스로 다시 태어났다. 여섯 장의 CD롬과 한 장의 DV

    중앙일보

    2001.10.22 00:00

  • 직지·승정원일기 세계기록유산 등록

    현존하는 세계 최고(最古)의 금속활자본인 '직지' (直指心體要節)와 '승정원일기' (承政院日記.국보 제303호)가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정식 등재됐다. 14일 충북 청주시는 프

    중앙일보

    2001.09.15 00:00

  • [NIE]한국의 세계유산 답사해보자

    유네스코가 지정하는 세계 기록유산 추천 목록에 『직지심체요절(이하 직지)』과 『승정원일기』가 올랐다(본지 6월 30일자 30면). 지난달 27일부터 사흘간 충북 청주에서 열린 유네

    중앙일보

    2001.07.10 00:00

  • 영화 '메트로폴리스' 유네스코 기록유산에 등록

    독일 표현주의 영화의 대가 프리츠 랑(1890~1976) 감독의 '메트로폴리스' (1927년 개봉) 가 유네스코에서 지정하는 세계 기록유산에 이름을 올렸다. 지난달 27일 충북 청

    중앙일보

    2001.07.04 07:49

  • 영화 '메트로폴리스' 유네스코 기록유산에 등록

    독일 표현주의 영화의 대가 프리츠 랑(1890~1976)감독의 '메트로폴리스' (1927년 개봉)가 유네스코에서 지정하는 세계 기록유산에 이름을 올렸다. 지난달 27일 충북 청주에

    중앙일보

    2001.07.04 00:00

  • 직지심경·승정원일기 세계유산 등재

    현존 세계 최고(最古)의 금속활자본인 '직지심체요절(直指心體要節.1377년 발간, 이하 직지)' 과 국보 제303호인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 가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된

    중앙일보

    2001.06.30 00:00

  • '직지심체요절' 유네스코 기록유산 후보에

    세계 최초의 금속활자본인 『직지심체요절(直指心體要節)』이 유네스코 세계 기록유산에 등재될 가능성이 크다. 유네스코한국위원회는 "『승정원일기』와 함께 『직지심체요절』이 오는 27~2

    중앙일보

    2001.06.21 00:00

  • 사극작가 신봉승씨 역사소설 펴내

    "당쟁(黨爭) 으로 나라가 망한다면 우리는 지금 당장 망해야합니다. 패거리를 지어 상대를 모함하고 헐뜯는 행태는 지금이 조선시대보다 훨씬 유치하고 천박하지 않습니까. 조선시대의 당

    중앙일보

    2001.05.29 08: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