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중앙시평] 북한의 보이지 않는 전쟁

    [중앙시평] 북한의 보이지 않는 전쟁

    김병연 서울대 국가미래전략원장 석좌교수 북한은 안정적인가. 지금 같은 체제가 지속될 수 있을까. 러시아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하고 수시로 미사일을 쏘아대는 북한은 겉으로 보기엔 안

    중앙일보

    2023.10.11 01:03

  • 베를린장벽 붕괴때 그가 있었다...푸틴이 '푸틀러' 된 그날 비밀 [후후월드]

    베를린장벽 붕괴때 그가 있었다...푸틴이 '푸틀러' 된 그날 비밀 [후후월드]

      ■  「  ※[후후월드]는 세계적 이슈가되는 사건에서 주목해야 할 인물을 파헤쳐 보는 중앙일보 국제팀의 온라인 연재물입니다.  」  오는 9일, 러시아의 전승기념일에 블라디미르

    중앙일보

    2022.05.07 05:00

  • 스탈린에게 독일·일본군 첩보 알려 2차대전 명운 바꿔

    스탈린에게 독일·일본군 첩보 알려 2차대전 명운 바꿔

     ━  [세계를 흔든 스파이] 소련군 정보요원 리하르트 조르게   소련에서 촬영 한 조르게. [사진=독일 문서보관소] 리하르트 조르게는 옛 소련(1922~91년)이 파견한 최고의

    중앙선데이

    2021.04.03 00:21

  • 스탈린 독재, 이념보다 생존 우선한 다수승리연합의 결과

    스탈린 독재, 이념보다 생존 우선한 다수승리연합의 결과

     ━  [세상을 바꾼 전략] 1인 장기집권 체제   맨 왼쪽 사진이 원본이다. 권력 투쟁에서 스탈린 옆의 인물이 하나씩 축출됨에 따라 사진에서도 하나씩 사라져갔다. [위키미디어]

    중앙선데이

    2017.11.12 01:44

  • [인터뷰] 볼셰비키 혁명 이후 암울한 러시아 봤다면 마르크스 경악했을 것

    [인터뷰] 볼셰비키 혁명 이후 암울한 러시아 봤다면 마르크스 경악했을 것

     ━  100주년 맞은 러시아혁명 전문가 스티브 스미스 교수    스티브 스미스 교수는 ‘러시아혁명도 소련의 패망도 역사의 필연은 아니었다’는 입장이다. 한국전쟁을 흔히 ‘잊혀진

    중앙일보

    2017.11.04 01:00

  • “中 민주집중제는 일당독재 도구 … 독재가 국제표준 되겠나”

    “中 민주집중제는 일당독재 도구 … 독재가 국제표준 되겠나”

    베이징 천안문광장의 오성홍기 게양식. 중국공산당은 13억 인민을 빈곤에서 구제하고 의식주를 해결한 중국체제의 우월성을 강조한다. 민주주의 체제보다 ‘좋은 정부’가 더 중요하다는

    중앙선데이

    2015.10.25 01:39

  • 장마당·휴대폰·돈의 힘이 ‘70년 철옹성’ 노동당 위협

    장마당·휴대폰·돈의 힘이 ‘70년 철옹성’ 노동당 위협

    북한은 10일 조선노동당 창건 70주년을 기념해 대규모 열병식을 열고 창당 이후의 성과와 업적을 과시했다. 하지만 조선노동당은 인민의 먹고사는 문제조차 제대로 해결하지 못한 실패

    중앙선데이

    2015.10.11 01:36

  • [중앙SUNDAY 편집국장 레터] 리콴유가 헐어버리라는 것

    VIP 독자 여러분, 중앙SUNDAY 편집국장 남윤호입니다. 독자 여러분은 지난 23일 별세한 리콴유 싱가포르 초대총리의 업적을 어떻게 평가하십니까. 초라한 항구도시에 번영을 선

    중앙선데이

    2015.09.05 23:18

  • [RUSSIA 포커스] 돔 천장, 조각상 있는 지하 박물관…2차대전 땐 200여 명 출산도

    [RUSSIA 포커스] 돔 천장, 조각상 있는 지하 박물관…2차대전 땐 200여 명 출산도

    1912년 건설 계획, 1차대전으로 중단 스탈린 시대 재추진, 1935년 개통 현재 12호선, 200여 개 역으로 늘어 색유리 그림, 대리석 바닥 등 신기술 접목한 예술품들 즐비

    중앙일보

    2015.05.29 00:06

  • 남을 통제하고 싶은 본능이 권력욕의 씨앗

    남을 통제하고 싶은 본능이 권력욕의 씨앗

    11살에 서로마제국 황제가 된 호노리우스(Honorius). 장-폴 로랑(Jean-Paul Laurens)의 1880년 작품. [사진 위키피디아] 기원후 330년 5월 11일. 1

    온라인 중앙일보

    2013.11.10 02:58

  • 남을 통제하고 싶은 본능이 권력욕의 씨앗

    남을 통제하고 싶은 본능이 권력욕의 씨앗

    11살에 서로마제국 황제가 된 호노리우스(Honorius). 장-폴 로랑(Jean-Paul Laurens)의 1880년 작품. [사진 위키피디아] 기원후 330년 5월 11일.

    중앙선데이

    2013.11.10 01:34

  • 마돈나 러시아공연때 푸틴과 춤출까

    다음달 11일로 예정된 미국 팝 가수 마돈나의 러시아 공연을 둘러싸고 연일 화제가 불거지고 있다. 이번엔 관능적 슈퍼스타가 공연기간 중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만날 것인가

    중앙일보

    2006.08.25 15:51

  • "北도 핵쓰면 망하는 줄 알아"

    황장엽(黃長燁)전 북한 노동당 비서가 4일 '김정일 제거'를 주장했다. 그는 한나라당 정형근(鄭亨根)의원 주최로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탈북자 및 북한 인권문제 토론회'에서 金위

    중앙일보

    2003.07.05 12:40

  • "北도 핵쓰면 망하는 줄 알아"

    황장엽(黃長燁)전 북한 노동당 비서가 4일 '김정일 제거'를 주장했다. 그는 한나라당 정형근(鄭亨根)의원 주최로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탈북자 및 북한 인권문제 토론회'에서 金위

    중앙일보

    2003.07.04 18:30

  • 니야조프

    진나라의 시황제와 로마의 네로, 독일의 히틀러와 소련의 스탈린은 여러 면에서 공통점이 있다. 그 가운데서도 가장 두드러진 것이 모두가 '예술 지향적'이라는 점이다. 독재자를 예술

    중앙일보

    2002.08.17 00:00

  • [북-러 정상회담 이모저모]

    김정일(金正日)북한 국방위원장의 러시아 방문은 많은 화젯거리를 만들고 있다. 오랫동안 소원했던 옛 우방을 방문한다는 점은 그렇지만 시대에 어울리지 않게 시베리아 횡단철도를 이용하고

    중앙일보

    2001.08.06 00:00

  • [해외논조]김정일 체제 한반도 통일에 별 도움 안될 듯

    북한은 최근 국제컨소시엄인 한반도에너지개발기구 (KEDO)가 추진중인 원자력발전소 건설공사를 중단시킨 바 있다. 함경남도 금호지구내 원자로 건설작업장내에서 '북한의 경애하는 지도자

    중앙일보

    1997.10.14 00:00

  • 러시아의 선택

    19세기 러시아 지식인사회는 슬라브파와 서구파 둘로 나뉘었다.슬라브파는 러시아의 독자적 사회발전,즉 농촌공동체 미르를 중심으로 한 평화롭고 자치적 생활을 주장했다.반면 서구파는 국

    중앙일보

    1996.06.16 00:00

  • (4634)내가 치른 북한 숙청-남노당파 제거(11)

    53년- 봄은 왔으나 평양은 정초부터 몰아친 숙청한파에서 깨어날 줄 모른채 꽁꽁 얼어붙어 있었다. 김일성수상에게 충실한 열성당원들에 의해 주도된 이른바 「밑으로부터의 비판운동」이

    중앙일보

    1993.04.26 00:00

  • 국내 진보학자 마르크스이론 비판확산

    마르크스를 연구해온 소장·진보학자들 사이에서 마르크스이론을 비관하고 그간의 연구자세를 반성하자는 움직임이 점차 확산되고 있다. 이같은 흐름은 80년대 중반 활발했던 사회구성체 논쟁

    중앙일보

    1991.11.14 00:00

  • 환상의 터널­그 시작과 끝:171

    ◎전 남로당 지하총책과 박갑동씨 사상편력 회상기/“공산주의 결코 「낙원」아니었다”/연재를 끝내고/북에 속아 조국 못찾는 신세/제2의 6·25 없게 「힘」축적 절실 나라의 주권을 다

    중앙일보

    1990.12.08 00:00

  • 스칼라피노교수가 내다 본 아시아공산주의

    ◎“북한도 경제개혁 안할 수 없다”/내키진 않지만 한국을 합작 파트너로/외국에 눈뜬 젊은층 변화요구 거셀 듯/중국ㆍ베트남선 사회주의 경제 무용론 나와 미국의 아시아문제 전문가인 로

    중앙일보

    1990.06.20 00:00

  • 동구개혁 스탈린 체제에 ″종지부〃

    소련과학아카데미의 알라 야즈코바 박사(60·여·역사학)는 지난 연말의 루마니아 사태는 동구에서 스탈리니즘의 붕괴를 의미하며 지도층의 부패와 개인 숭배주의가 자초한 비극이라고 진단했

    중앙일보

    1990.01.29 00:00

  • 소련은 공산주의 포기안한다/폴 니츠 전 미군축회담 대표(해외논단)

    【워싱턴 포스트=본사특약】 미국의 전략무기 감축회담 대표였던 폴 니츠씨는 고르바초프의 소련은 개혁을 위해 동구의 대변혁을 뒷받침하고 있으나 궁극적으로는 공산당의 정치지도 능력 확보

    중앙일보

    1990.01.17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