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공단내 빈터 공공근로사업으로 옥토로 탈바꾸ㅋ

    쓰레기와 돌멩이만 뒹굴던 공단내 빈터가 공공근로사업을 통해 사계절 농작물이 자라는 옥토 (沃土) 로 탈바꿈했다. 대전대덕구가 공공근로사업의 일환으로 관내 대전제4공단내 1만2천평의

    중앙일보

    1998.10.27 00:00

  • 제조업체 '두 얼굴 전략' 할인점用 제품 따로내

    대형 할인점의'가격파괴 요구'를 무시할 수는 없고,그렇다고 대리점이나 슈퍼등 소매점의 눈치를 안볼 수도 없고….유통업체의 파워가 갈수록 강해지는 가운데 이런 문제로 고민하던 제조업

    중앙일보

    1997.07.11 00:00

  • 4.가난한 지방재정 대책은

    충북보은군 공무원들은 지난해 틈틈이 시간을 내 직접 삽과 호미를 들고 땀흘린 끝에 3천여만원을 손에 쥐었다.빈땅으로 놀리던 공유지 3만여평에 붉은콩.밀.땅콩.고추농사를 지었다. 또

    중앙일보

    1997.01.05 00:00

  • 3.중남미

    빈곤에 가장 취약한 존재는 어린이다.빈곤으로 인한 영양실조와각종 질병때문에 1년에 숨지는 5세미만의 영.유아만 1,300만명에 이르고 있다.세계식량계획(WFP)등 국제기구는 수해로

    중앙일보

    1996.01.13 00:00

  • 내고향특산물 農協서 통신판매도 선물로 인기

    연말연시를 맞아 농협에서 판매하고 있는 내고향 특산물이 가족과 친지간에 주고 받는 선물로 인기를 끌고 있다.선물을 준비하려고 마음먹고서도 막상 무슨 선물을 해야 할지 망설이는 사람

    중앙일보

    1994.12.18 00:00

  • 원산지표시制 구멍 소비자만 골탕

    16일 오후 서울 경동시장.장을 보러나온 주부들로 북적대는 골목길 맞은편 P상회에서 40대주부와 상인간에 실랑이가 벌어졌다. 『흰색 돋은 게 수입참깨가 분명하잖아요.』 『농학박사가

    중앙일보

    1994.10.17 00:00

  • 29.참깨.한섬깨.오이.수박.대추.가지.팥

    지난해 9월부터 독자 여러분의 뜨거운 성원과 격려속에 연재된「토종을 살리자」가 다음회(전문가 좌담회)를 마지막으로 끝을 맺습니다.수천년 혹은 수백년간 우리 민족의 생명줄이 돼온 토

    중앙일보

    1994.06.22 00:00

  • 한섬깨/수확많고 고소한 맛 으뜸(토종을 살리자:29)

    ◎그밖의 토종들 지난해 9월부터 독자 여러분의 뜨거운 성원과 격려속에 연재된「토종을 살리자」가 다음회(전문가 좌담회)를 마지막으로 끝을 맺습니다.수천년 혹은 수백년간 우리 민족의

    중앙일보

    1994.06.22 00:00

  • 제주의 상장인 해녀.유채꽃.초가집등 독특한 풍물 사라져

    [濟州=高昌範기자]관광제주의 상징인 해녀.유채꽃.초가집등 독특한 풍물이 사라지고 있다. 강인한 제주여성들의 삶을 나타내던 해녀는 노령화됐고 유채의 재배면적은 수입개방으로 눈에 띄게

    중앙일보

    1994.05.20 00:00

  • 25.배-늦게 익지만 저장성 뛰어나

    『梨花에 月白하고 銀漢이 三更인제/一枝春心을 子規야 알랴마는/多情도 病인양하여 잠못들어 하노라.』 벚꽃이 한물 간 요즈음지방나들이길에 흐드러진 배꽃을 본 사람이면 한번쯤 읊조려 봄

    중앙일보

    1994.04.22 00:00

  • 14.콩

    지난 연말 전국적으로 때아닌 콩나물 바람이 불었었다. 너 나 할것 없이 줄잡아 서너차례씩 각종 망년 모임이 있게 마련이고,그러다 보면 싫든 좋든간에 술자리를 가져야 하는 마당에 숙

    중앙일보

    1994.01.21 00:00

  • 8.학사출신 농군 모종인씨

    남들이 외면하는 보리농사를 16년간 고집해 온 충남태안군안면읍중장리 牟鍾仁씨(39)는 UR파고에도 걱정이 없다. 간척지 논 65정보(19만5천여평)에 매년 보리를 심어 연간5천여가

    중앙일보

    1993.12.23 00:00

  • 선생님 잘 모시기(선진교육개혁:28)

    ◎교사의 질이 교육의 질 좌우한다/처우개선 과감히… 인재유치 “비상”/불선 유치원 선생도 대학원 졸업생/미,연수받으면 연봉 올려 질향상 교사의 지위가 낮은 것은 선진국 공통의 고민

    중앙일보

    1993.12.20 00:00

  • 믿기 어려운 북한의 쌀풍작 선전

    올해 북한의 쌀농사는 풍작인가,흉작인가. 南韓의 쌀농사가 극심한 냉해등으로 지난해보다 4백만섬 감수한데다 쌀시장 개방으로 농촌이 시름에 빠진 가운데 北韓은 대조적으로『예년에 보기

    중앙일보

    1993.12.15 00:00

  • UR타결 가상 시나리오-쌀한가마 반값으로 대폭락

    농.축산물 시장개방 문제가 당장 발등의 뜨거운 불이 됐다.예보된 태풍의 위력과 피해를 주의보만으로 쉽게 짐작하기 어렵듯 그 파장이 어느 정도까지 미칠 지 언뜻 실감이 나지 않고,피

    중앙일보

    1993.12.03 00:00

  • 곡물서 「맹독성물질」 검출/쌀·보리·밀등에 곰팡이 번져 발생

    ◎수입·국내산서 잇따라 발견/암 유발등 치명적피해 우려/익혀 먹어도 독소 파괴되지 않아/소선 3만명 몰사도… 북한은 생물학무기 원료로 국내에 유통되고 있는 수입 또는 국내산 곡물류

    중앙일보

    1993.10.20 00:00

  • 냉해 가슴앓이 농촌을 가다-고추없는 고추밭 보며 시름

    벼는 물론 고추.콩등 밭작물이 예상보다 냉해를 크게 입어 농민들의 시름이 깊어지고 있다.고추와 참깨값은 흉작으로 이미 75~20%정도 올라 김장철「고추파동」까지 우려되고 있다.쌀수

    중앙일보

    1993.10.08 00:00

  • 수출 최대효자 승용차/무협,상반기 동향 분석

    ◎중국수요 폭발 17억불 흑자/불효 상품은 원유·석탄·원목순/대홍콩 이윤·대일적자 가장많아 대부분의 기업들이 수출로 매출을 늘리고 있지만 다른 나라와 교역하다보면 이익을 남기는 「

    중앙일보

    1993.08.04 00:00

  • 세계 최대 곡물회사 미 카길사 국내 진출/식용유사업 5년만에 허용

    ◎대두3사·중소업계 큰 반발 세계 최대 곡물거래회사인 미국 카길사의 국내 식용유사업 진출이 이달중 허용된다. 85년부터 국내에서 이미 사료제조업을 하고 있는 카길사는 88년말부터

    중앙일보

    1993.01.12 00:00

  • 만주벌판에 심는「한국의 기적」|(주)대륙개발 삼강 평원 개발현장을 가다

    사방 어디를 둘러보아도 땅과 하늘이 맞닿은 가없는 지평선이 까마득하게 보이는 만주벌의 삼강 평원을 비옥한 곡창지대로 바꾸는 대 작업이 한국인들의 손에 의해 이루어진다. 「만주벌판까

    중앙일보

    1992.11.20 00:00

  • (14)캄보디아

    캄보디아는 소련이 붕괴하면서 정치·경제적으로 급격한 변화를 겪고 있다. 베트남·라오스를 비롯, 캄보디아 역시 소련이라는 거대한 사회주의 종주국이 존재했을 때 이데올로기와 경제에서

    중앙일보

    1992.05.19 00:00

  • 해외에 심은「한국잠업」(앞서 뛰는 사람들:3)

    ◎태국서 농장경영 강승구씨/가업이은 농학사 연수 1억/현지인들 견학팀 매일 북적/“연중 5∼6차례 누에쳐 「UR태풍」끄떡없죠” 태국수도 방콕에서 북으로 5백㎞,난(NAN)도 무앙(

    중앙일보

    1992.01.05 00:00

  • 소비늘리려 가공식품 연구|식품개발연 김길환 박사|쌀로 고기·요구르트까지 만든다

    쌀의 누적 재고량이 1천5백만섬에 이르면서 보관비용만도 연간 4천3백억원이 들고 있으나 쌀소비는 갈수록 줄어 당국이 골치를 앓고 있는 것이 어제 오늘일이 아니다. 이런면에서 국가적

    중앙일보

    1991.12.11 00:00

  • 싸구려 건강식품 성인병 특효약 둔갑

    ◎천원짜리 차 8만원에 팔아 억대폭리/업주 5명 구속 서울 경찰청은 28일 수입 또는 국산 건강보조식품을 질병 특효약이라고 과대선전,폭리를 취해온 건강식품 수입상 서울 송파동 VI

    중앙일보

    1991.11.28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