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전시회 산책] 조각가 이규민 개인전 外

    [전시회 산책] 조각가 이규민 개인전 外

    ◇조각가 이규민(53·서울교대 교수)의 개인전 ‘꿈꾸는 달팽이’(사진)가 21일부터 서울 관훈동 인사아트센터에서 열린다. 분홍 혹은 파란 달팽이 조각 18점을 전시하였다. 이 교수

    중앙일보

    2008.05.20 01:22

  • [전시회 산책] 이성구씨 21~27일 개인전 外

    [전시회 산책] 이성구씨 21~27일 개인전 外

    이성구씨 21~27일 개인전 이성구(59) 전 농심기획 대표이사가 21∼27일 서울 인사동 갤러리 라메르에서 개인전을 연다. 홍익대 미대 출신인 그는 2005년 작품 활동에 전념하

    중앙일보

    2008.05.13 01:26

  • ‘70~90대 현역’ 노대가들의 예술혼

    ‘70~90대 현역’ 노대가들의 예술혼

    김보현, 아틀리에에서의 백일몽Ⅱ, 캔버스에 아크릴, 198×153㎝, 1981만추의 정서가 전시장을 가득 적시는 이 가을, 노(老) 대가들의 개인전도 잇따르고 있다. 70∼90대

    중앙일보

    2007.11.02 05:24

  • 도쿄에 펼친 한국 미술의 힘

    도쿄에 펼친 한국 미술의 힘

    1. 공간 속을 흐르는 거대한 족자 형태의 회화로 빛의 흐름에 따라 변하는 서세옥씨의 ‘사람들’ 추석 연휴가 막 지난 지난달 27일 오후. 도쿄의 중심가인 긴자의 명물 ‘메종 에

    중앙선데이

    2007.10.06 12:58

  • [Family] 수학 원리 배우고 빛·그림자와 놀고

    [Family] 수학 원리 배우고 빛·그림자와 놀고

    바둑알을 이용해 미술과 수학의 관계를 익히고 있는 초등학생들. [사진=최승식 기자] “하나, 둘, 셋, 넷….”  12일 오후 서울 종로구 안국동 사비나미술관 2층. ‘미술과 수학

    중앙일보

    2007.07.17 17:16

  • [전시회 산책] 경기문화재단 ‘백남준 참여 TV’전 外

    [전시회 산책] 경기문화재단 ‘백남준 참여 TV’전 外

    경기문화재단 ‘백남준 참여 TV’전 2008년 경기도 용인에 백남준 미술관을 건립하는 경기문화재단은 재단 창립 10주년 기념 특별전으로 ‘백남준 참여 TV’전을 열고 있다. 쌍방향

    중앙일보

    2007.07.06 05:05

  • 현대 한국화 그 획을 짚는다

    현대 한국화 그 획을 짚는다

    한국전쟁 이후 오늘날에 이르는 한국화의 흐름을 짚어보는 대규모 기획전이 열리고 있다. 서울 시립미술관에서 25일 개막한 '한국화 1953~2007'전이다. 이응노.박래현.박생광.

    중앙일보

    2007.04.27 05:06

  • 한국 미술, 유럽인 사로잡다

    한국 미술, 유럽인 사로잡다

    아르코에 참석한 외국 관객들이 달리와 고흐의 얼굴을 큼지막하게 그린 강형구씨의 작품을 들여다보고 있다. [박정호 기자] 스페인 수도 마드리드 한복판에서 북동쪽으로 10㎞ 떨어진 곳

    중앙일보

    2006.02.15 21:10

  • [Family] 색·깔·있·는·소풍

    [Family] 색·깔·있·는·소풍

    현대공예에 건축물 보는 재미까지 쏠쏠한 서울 우면동의 치우금속공예관. 왼쪽은 공예관을 만든 공예가 유리지씨의 살림집이고, 오른쪽이 공예관이다. [시·상 건축 제공] 청계천에 물이

    중앙일보

    2005.10.16 20:51

  • [전시회 산책] 이철주씨 '소우주와 제주사랑'展 外

    [전시회 산책] 이철주씨 '소우주와 제주사랑'展 外

    *** 이철주씨 '소우주와 제주사랑'展 일초(逸初) 이철주(62.중앙대 한국화과 교수)씨가 12일부터 22일까지 서울 관훈동 가람화랑에서 그림전을 연다. '소우주와 제주사랑'이란

    중앙일보

    2003.11.11 17:37

  • [문학] 정현종 시인 4년 만의 신작

    가을의 한복판이다. 하늘은 높고 단풍은 눈부시다. 중견 시인 정현종(64.사진)씨는 이맘 때 어떤 느낌이 들까. 그는 일단 목청껏 노래를 부른다. "나는 술잔을 앞에 놓고/한국어의

    중앙일보

    2003.10.17 17:16

  • 8분짜리 컷 '그랜드 슬램'

    네덜란드 태생의 영국 감독 마이클 두독 드 비트(49·사진)의 단편 애니메이션 '아버지와 딸'(2000년작)이 마침내 '그랜드 슬램(주요 4개 대회를 석권하는 것)'을 달성했다.

    중앙일보

    2002.09.17 00:00

  • 전통 화폭에 '개성 채색'

    한국화의 요체는 기운생동(氣韻生動)이다. 기운(氣韻)은 문장이나 서화의 고아하고 담박한 멋을 말하니 기운생동은 멋과 기품이 생생하게 살아 움직인다는 뜻이다. 서울 소격동 학고재에

    중앙일보

    2002.05.29 00:00

  • 한국의 美 五感 체험

    월드컵 때 서울을 찾는 외국인들에게 한국적인 아름다움을 보여주는 방법은 어떤 게 있을까. 고궁과 사찰을 포함한 역사 유적, 박물관·미술관의 도자기·서화·불상 등이 우선적으로 떠오른

    중앙일보

    2002.05.22 00:00

  • 일필휘지로 드러낸 마음의 흔적들 공평아트센터 조순호 개인전 19일까지

    강렬하게 긋고 흩뿌린 먹물이 시커멓게 화면을 압도한다. 먹으로 채워진 덩어리는 무의식의 어둡고 강렬한 세계를 느끼게 한다. 그런가 하면 신문지 위에 주황색으로 송사리의 몸체를 사

    중앙일보

    2002.03.12 00:00

  • 고암 이응노 화백 미공개 작품 선보여 그로리치 화랑, 스케치 등 전시

    고암(顧菴) 이응노(應ㆍ1904~89)화백의 초기 미공개 작품을 보여주는 '1920~50년대 이응노, 스케치와 수묵담채화'전이 서울 평창동 그로리치 화랑에서 열리고 있다(20일까

    중앙일보

    2002.02.06 00:00

  • 피케이엠 갤러리 '식물성' 전

    서울 화동 피케이엠 갤러리는 2월 2일~3월 2일 식물이미지를 모티브로 작업하는 국내외 6명의 작가를 초청,'식물성'전을 연다. 김홍주(회화) .배병우(사진) .노부요시 아라키(사

    중앙일보

    2002.01.30 08:28

  • [미술] 피케이엠 갤러리 '식물성' 전

    서울 화동 피케이엠 갤러리는 2월 2일~3월 2일 식물이미지를 모티브로 작업하는 국내외 6명의 작가를 초청,'식물성'전을 연다. 김홍주(회화).배병우(사진).노부요시 아라키(사진.

    중앙일보

    2002.01.30 00:00

  • 인사동 갤러리상 '이은경 초대전' 열려

    서울 인사동 갤러리 상에서 열리고 있는 이은경(37) 초대전은 강렬한 발묵(潑墨:먹의 번짐) 효과와 힘찬 필선이 배합된 수묵풍경화들을 보여준다. (11월5일까지) . 작가가 그리는

    중앙일보

    2001.10.29 07:46

  • 인사동 갤러리상 '이은경 초대전' 열려

    서울 인사동 갤러리 상에서 열리고 있는 이은경(37) 초대전은 강렬한 발묵(潑墨:먹의 번짐)효과와 힘찬 필선이 배합된 수묵풍경화들을 보여준다(11월5일까지). 작가가 그리는 풍경은

    중앙일보

    2001.10.29 00:00

  • 금호미술관서 조상씨 개인전 열어

    검고 깊은 공간속을 가로지르거나 흘러내리는 흰 빛. 특이한 기운을 담은 빛은 처음으로 우주를 탄생케한 물리학의 빅뱅(대폭발) 이론을 연상케 하는가 하면 때로는 태초의 혼돈을 관조하

    중앙일보

    2001.10.17 08:30

  • 금호미술관서 조상씨 개인전 열어

    검고 깊은 공간속을 가로지르거나 흘러내리는 흰 빛. 특이한 기운을 담은 빛은 처음으로 우주를 탄생케한 물리학의 빅뱅(대폭발)이론을 연상케 하는가 하면 때로는 태초의 혼돈을 관조하는

    중앙일보

    2001.10.17 00:00

  • 전환기에 우뚝 선 9인의 향연

    1970년대는 한국 현대미술에서 가장 중요한 전환의 시기로 꼽힌다. 이 시기에 김환기(1913~74) 는 초기의 구상회화에서 벗어나 몬드리안적인 기하추상에 격조있는 정신성을 담은

    중앙일보

    2001.09.26 07:54

  • [미술] 한국 현대미술의 전개:1970~90

    1970년대는 한국 현대미술에서 가장 중요한 전환의 시기로 꼽힌다. 이 시기에 김환기(1913~74)는 초기의 구상회화에서 벗어나 몬드리안적인 기하추상에 격조있는 정신성을 담은 '

    중앙일보

    2001.09.26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