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수도물오염으로 수돗물 그냥 못마신다-경북도 여론조사

    경북도민들의 대부분은 도내 하천의 수질오염이 가장 심각하다고느끼고 있고 낙동강 수질오염파동의 영향으로 수돗물을 그냥 마시지 않고 끓이거나 지하수등을 식수로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

    중앙일보

    1994.03.07 00:00

  • 도축장 폐수로 광주시 수도물오염 파동

    [光州=李海錫기자]24일오후 발생한 광주시광산구월곡.우산.산정동일대 수돗물오염파동은 취수장상류의 도축장 폐수에 의한 것으로 밝혀졌다. 광주시상수도사업본부에 따르면 장성읍기산리의 대

    중앙일보

    1994.02.26 00:00

  • 환경보전위 “유명무실”/최고 결정기관

    ◎1년반이 넘도록 회의 한번 안열어/환경처,임기 끝난뒤 회의소집 소동 정부가 형식상 환경정책의 최고 결정기관으로 구성한 환경보전위원회가 1년반이 넘도록 한번도 회의를 열지 않았는가

    중앙일보

    1993.02.16 00:00

  • 낙동강 수도물 또 유해비상/이번엔 유전자돌연변이 물질 대량 검출

    ◎대구·부산 등 8백만 식수파동 재연우려 【부산·대구=강진권·김선왕기자】 지난해 3월 페놀오염사고로 식수공포가 일었던 낙동강수계 수도물에 이번에는 암을 유발하거나 유전자를 돌연변이

    중앙일보

    1992.10.30 00:00

  • 정보사땅 사기 연기관권선거 재수사 용의없나(국회본회의 지상중계)

    ◎대학 못가는 연 37만명 학생 취업대책은/호주산 「농약밀」 1만톤 유통 고발 왜 않나 ▷사회·문화분야 대정부 질문(29일)◁ ◇최낙도의원(민주)=북한 고위간첩 이선실일당이 17년

    중앙일보

    1992.10.29 00:00

  • 왔다 갔다 하는 생수행정(사설)

    최근 보건사회부의 시정행태를 보면 일관성 없는 행정의 표본을 보는 것 같아 한심스럽기 짝이 없다. 징코민사건이 터졌을 때 메탄올성분 검출을 놓고 부인과 시인으로 우왕좌왕하던 보사부

    중앙일보

    1992.08.14 00:00

  • 페놀-한강에도 마구 흘러든다

    지난해 수돗물 파동을 빚은 페놀이 낙동강 유역 외에 한강·영산강 유역 등 하천에도 상당히 높은 농도로 흘러들고 있어 돌발 사고에 대비, 페놀 성분이 섞인 산업 폐수에 대한 관리가

    중앙일보

    1992.03.16 00:00

  • 시민 피해 보상에 최선|「페놀」 치른 대구 시장 인터뷰

    낙동강 페놀 오염 쇼크가 일어난지 2개월 남짓. 지난 봄 전국의 여론이 들끓었던 이 사건이 시국의 큰물에 휩쓸려 잊혀져가고 있지만 이해봉 대구 시장은 아직도 그 충격에서 벗어나지

    중앙일보

    1991.06.01 00:00

  • 생수 춤추는 정책 버티는 업계

    안심하고 마실 수 있는 물은 없을까-. 최근 몇 년 동안 연례행사처럼 되풀이되는 수돗물파동으로 시민들의 식수불신이 증폭되면서 「비교적 믿을 수 있는 물」로 인식된 생수에 대한 관심

    중앙일보

    1991.05.08 00:00

  • 사회/차분히 치른 「풀뿌리」선거(지난주의 뉴스)

    ◎서울 강남 투표율 40% 미달/페놀여파로 「두산불매」 확산 낙동강 식수오염 파동과 지방의회 의원선거가 겹쳐 어수선한 분위기속에 바쁘게 지나간 한주였다. 특히 두산그룹의 페놀방류사

    중앙일보

    1991.03.31 00:00

  • 정부,생수관리 왜 외면하나(사설)

    수도물에 대한 불신으로 해서 날로 증가일로에 있는 「생수」에 대한 정부의 무책은 현실외면이란 비난을 면할 길이 없다. 지난 69년말부터 주한 외국인을 상대로 공급되기 시작한 생수가

    중앙일보

    1991.03.30 00:00

  • 「원인과 대책」…시리즈를 마치며 전문가좌담(구멍뚫린 수질관리:5)

    89년 수도물 중금속 검출과 지난해 THM(트리할로메탄) 파동에 이어 최근 낙동강수계 페놀오염사고가 발생,국민의 충격이 쉽게 가셔지지 않고 있다. 안심하고 물을 마실 수는 없을까.

    중앙일보

    1991.03.30 00:00

  • 「무허생수」 일제 단속/보사부,시도에 지시

    보사부는 30일 낙동강 페놀오염 파동이후 수도물 불신을 틈타 범람하고 있는 무허가업체의 생수 판매(중앙일보 29일 1면보도)를 일제 단속토록 전국 시·도에 지시했다. 보사부는 또

    중앙일보

    1991.03.30 00:00

  • 「거북이 행정」에 밀린 국민건강/생수 수질 모른채 “불티”

    ◎“시판 허용”말뿐 감시 전무/취수·용기 법적장치 시급/값도 멋대로… 기름값보다 비싸 낙동강 페놀오염 파동 이후 수도물 불신이 높아지면서 생수판매가 급증하고 있으나 당국은 생수시판

    중앙일보

    1991.03.29 00:00

  • 정수장 수질검사 “눈가림”/전국 70%가 유해검사시설 못갖춰

    ◎보사부,시설보완·검사기준 강화 해마다 되풀이되는 수도물 파동은 원수의 오염뿐만 아니라 각 정수장에서의 수질검사 체제에 허점이 있기 때문으로 지적되고 있다. 27일 보사부에 따르면

    중앙일보

    1991.03.27 00:00

  • “정부와 두산은 국민배신”/YMCA 수도물 공청회

    ◎망간이용 수질분석은 낡은 방법/처벌 가벼워 공해범죄 계속 발생 낙동강 페놀오염사태와 관련,대구지역 주민의 피해실상 보고·법적 대응방안·정책적 과제 등에 대한 각계 의견을 듣는 공

    중앙일보

    1991.03.26 00:00

  • 16개 업체도 조사/낙동강오염/공무원등 모두 15명 구속

    【대구=특별취재반】 낙동강 페놀 오염사건을 수사중인 대구지검은 25일 이번 낙동강식수 페놀 오염사건과 관련해 두산전자·신성기업등 페놀방류업체직원 8명,대구지방환경청 단속공무원 7명

    중앙일보

    1991.03.25 00:00

  • 환경 망치면 함께 죽는다/식수오염 이대로 둘건가/전문가 10인진단

    ◎정부·기업 인식대전환 촉구/위반업주 벌금보다 체형 강화/하수처리장등 과감한 투자를/가정서도 생활쓰레기 줄여야 연 3년째 수도물파동으로 「마실물」에 대한 서민들의 불안·피해의식이

    중앙일보

    1991.03.25 00:00

  • 물/“환경보호 정부의지 부족”/전문가 10인 긴급진단

    ◎무분별한 개발정책 재고해야/환경 전문인력·장비/투자 적극 지원토록 중앙일보는 25일 낙동강 페놀오염사건을 계기로 환경전문가·당국자 등 10명을 대상으로 긴급 설문인터뷰를 실시,「

    중앙일보

    1991.03.25 00:00

  • 공무원 7명 구속 영장/페놀 소각로/고장알고도 허위보고

    ◎검찰수사 밝혀져 【대구=임시취재반】 낙동강 페놀오염사건은 단속공무원들이 업무과중을 피하기 위한 허위보고로 확대됐으며 이들 공무원들이 제때 조업정지등 행정조치만 취했어도 사전에 막

    중앙일보

    1991.03.24 00:00

  • 분노는 물결처럼…/곳곳서 두산·당국 규탄시위 확산

    ◎OB맥주 안마시고 프로야구도 안보기로 【대구·부산=특별취재반】 대기업의 식수오염사건이 밝혀져 수도물 공포가 커짐에 따라 각 시민·재야단체가 정부의 종합적인 대책과 벌칙강화는 물론

    중앙일보

    1991.03.23 00:00

  • 허점투성이 감시(구멍뚫린 수질관리:2)

    ◎단속 겁안내는 공해업체들/“벌과금만 물면 그만” 내놓고 방류/손모자라 겉핥기 점검/허술한 장비 부실검사 두산전자의 유독성 페놀폐수방류에 의한 수도물오염사건은 공해단속체계에 구멍이

    중앙일보

    1991.03.23 00:00

  • 조치원 수도물도 오염/보름째 구린내 나 세수도 못해

    ◎농공단지 화공약품 흘러/생수불티… 약수터 장사진/군청서 “인체 무해” 한동안 방치 【조치원=박상하·김종혁기자】 낙동강 오염으로 영남지역 일대가 식수파동을 겪고 있는 가운데 충남

    중앙일보

    1991.03.22 00:00

  • 문제 많은 행정체계(구멍뚫린 수질관리:1)

    ◎흩어진 감독책임… 미루기 일쑤/관계법 세갈래… 검사기준 따로따로/작년 업무일원화 약속도 “공수표”로 89,90년 여름의 수도물파동에 이어 올해로 3년째인 식수파동은 정부의 일원화

    중앙일보

    1991.03.22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