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중 참전 직전 린뱌오 “전쟁은 총성 파티, 오래 끌수록 좋아”

    중 참전 직전 린뱌오 “전쟁은 총성 파티, 오래 끌수록 좋아”

     ━  사진과 함께하는 김명호의 중국 근현대   중국을 방문한 판디트를 맞이하는 저우언라이(오른쪽). 왼쪽은 주중 인도대사 파닉카. 1950년 12월 12일, 베이징. [사진 김

    중앙선데이

    2019.08.24 00:20

  • 펑더화이 러시아어 통역 맡은 마오 장남 죽자 소통 혼선

    펑더화이 러시아어 통역 맡은 마오 장남 죽자 소통 혼선

     ━  사진과 함께하는 김명호의 중국 근현대   마오안잉은 1950년 10월 19일 압록강을 건넜다. 초등학교 교사 류스치(오른쪽)와 결혼 4일 후였다. 1개월 후 미 공군이 투

    중앙선데이

    2019.08.17 00:20

  • [심층연구] 북한·중국의 기묘한 애증사

    [심층연구] 북한·중국의 기묘한 애증사

    1956년 김일성 정권 당시 ‘종파사건’으로 중국과 긴장관계 시작… 정상외교로 양국관계 유지해왔지만 베이징 발 대북 영향력의 실효성은 미지수중국은 오랫동안 한반도의 안정을 자국의

    온라인 중앙일보

    2016.04.02 12:01

  • “공산당 타도” 외친 국민당, 레닌 스타일 따라 당 건설

    “공산당 타도” 외친 국민당, 레닌 스타일 따라 당 건설

    소련에서 귀국한 장제스(왼쪽 둘째)는 쑨원(왼쪽 셋째)과 한 차례 기싸움을 치른 후 황푸군관학교 교장에 취임했다. 1924년 6월 16일 황푸군관학교 입학식. [사진 김명호] 1

    중앙선데이

    2014.10.19 03:11

  • 김일성 정권 수립 도운 고려인들 그들을 기다린 건 숙청의 칼날

    김일성 정권 수립 도운 고려인들 그들을 기다린 건 숙청의 칼날

    저자: 김국후 출판사: 한울아카데미 가격: 2만8000원 ‘허가이’ 혹은 ‘고가이’라는 말에는 러시아 이주 한인들의 애환이 고스란히 담겨 있다. 성(姓)이 뭐냐는 러시아 공무원의

    중앙선데이

    2013.11.09 05:20

  • [분수대] 히틀러

    [분수대] 히틀러

    1945년 4월 30일. 권총 자살한 히틀러 최후의 날들은 배신과 분노, 고립감으로 가득차 있다. 히틀러는 지상의 총리 관저가 아니라 뜰 밑 10여m 지하 벙커에서 생활했다. 소

    중앙일보

    2005.05.11 20:25

  • [분수대] A급 전범

    도조 히데키. 64세. 육군대장. 총리.육군대신.내무대신. 관동헌병대 사령관 시절 '면도날 도조' 로 불림. 일제가 군부독재.파시스트화하는 데 일등공신. 히로타 고키. 70세. 외

    중앙일보

    2001.07.13 00:00

  • ▲김두봉(金枓奉.북로당 위원장)을 호출하다.남조선의 정세,남조선 3당합당 문제 및 지원대책에 대해 의견을 교환하다.(46년9월10일) ▲보로실로프에서 로마넨코(蘇軍民政사령관)와 남

    중앙일보

    1995.05.11 00:00

  • 3.蘇,김일성에 신문보도 일일이 지시

    ◇1948년4월9일 〈소련군 극동(極東)사령관 비루소프 암호전문〉앞으로 조선에 대한 모든 지시는 나를 거쳐야 한다고 스티코프동지에게 전하라.그는 나의 정치부관이지 소련대표가 아니다

    중앙일보

    1994.11.17 00:00

  • 金日成 출생에서 사망까지 2.피와 공포로 일관 권력투쟁가

    1912.4.15 평남대동군고평면남리 만경대출생 26 만주 화전현 화성의숙 수학 27 만주 길림 육문중학 중퇴,재학중 共靑가입 31 중국공산당 입당 32 중국공산당 조선인부대 지대

    중앙일보

    1994.07.09 00:00

  • 세계사 유례없는 49년 권좌/김일성 출생에서 사망까지

    ◎한국민엔 용서받지 못할 전범 낙인/6·25실패후 반대파 숙청 재기성공 북한의 김일성주석이 사망했다. 김일성처럼 극단적인 평가속에 살다간 인물도 드물 것이다.그는 북한주민에게「위대

    중앙일보

    1994.07.09 00:00

  • (4623)내가 치른 북한 숙청(5)전 내무성부상 강상호|허가이 암살

    내각 간부학교 교장시절인 51년 10월 초순이었다. 수상 실에서 느닷없이『전쟁으로 약화된 내각간부들의 교육을 강화하라』는 지시가 떨어졌다. 나는 간부들과 밤을 새워 내각간부, 특히

    중앙일보

    1993.02.08 00:00

  • 강상호는 누구인가

    강상호씨는 1909년 구 소련 땅 원동 연해주에서 출생, 할아버지 때 함북 회령에서 국경을 넘어 원동으로 이주한 뒤 태어난 한인3세. 원동공산대학 당과를 졸업, 시베리아 우스리스크

    중앙일보

    1993.01.11 00:00

  • 백범암살배후 규명 계기로 본 극우테러의 실태

    ◎좌우대립시기 요인암살 의혹 밝혀야/이승만 총애 받은 일군 헌병출신 김창룡/「반이」 주장 정적은 “빨갱이”로 몰아 숙청/몽양·운산 등 저격범 잡고도 배후미궁에 백범 김구선생의 암살

    중앙일보

    1992.04.14 00:00

  • 조선민주주의 인민공화국(51)|"김일성만 지도자로 부각하라"

    해방 직후 남북의 언론에 닥친 운명은 판이하게 달랐다. 남한에서는 좌우 이데올로기 대립과 각 진영의 정치적 이해가 언론이라는 출구를 통해 마음껏 배출될 수 있었다. 미군정의 자유주

    중앙일보

    1992.04.02 00:00

  • 쌀반출항의 “소군물러가라”(비록 조선민주주의 인민공화국:47)

    ◎함흥학생시위/천여명이 공산당 사무실 각목습격/소군들 위협사격… 50여명 검거선풍 1946년 3월 평양을 비롯한 북쪽지역에서는 단 하루도 평온한 날이 없었다. 평양역광장 폭탄투척사

    중앙일보

    1992.03.16 00:00

  • 소련파 입북(비록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19)

    ◎김일성 집권 터 닦은 「정치일꾼」/소 지시로 5차례 2백여명 평양 도착/50년대초까지 당·행정기관 요직 장악 해방초기 소련군정을 지원하고 김일성 빨치산파와 함께 북쪽을 통치해나간

    중앙일보

    1991.11.14 00:00

  • 독자노선 걷는 북조선분국(비록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11)

    ◎「분국」아닌 「중앙국」으로 둔갑/모른척한 박헌영 스스로 권리를 포기/국내파 반발속 김일성 기반 착착 강화 서북 5도 당책임자 및 열성자대회 이틀째인 45년 10월11일. 크지는

    중앙일보

    1991.10.01 00:00

  • 중국ㆍ중국인/박병석 전홍콩특파원의 「대륙기행」:13

    ◎홍콩 부는 자랑거리 가난은 수치/정치부재… 축재만이 생의 목표/“돈이 있으면 할아버지요 없으면 손자”/중국 귀속되면 뺏길까 가진자들 탈출 같은 중국인들이지만 홍콩인들은 본토나 대

    중앙일보

    1990.05.08 00:00

  • 환상의 터널­그 시작과 끝:77

    ◎전 남로당지하총책 박갑동씨 사상편력 회상기/제2부 해방정국의 좌우대립/여운형­김일성 극비 면담설/이승만ㆍ김구의 「민주의원」결성에 불참 이승만ㆍ김구등 우익보수진영의 최고지도자들은

    중앙일보

    1990.03.07 00:00

  • 환상의 터널­그 시작과 끝 :74

    ◎전 남로당지하총책 박갑동씨 사상편력 회상기/제2부 해방정국의 좌우대립/탁치 반대 조만식 북서 탄압/조선기자회,학병 동맹 경찰습격 의문점 제시 경찰은 한밤중에 다이너마이트를 소지한

    중앙일보

    1990.02.28 00:00

  • 환상의 터널­그 시작과 끝:67

    ◎전 남로당지하총책 박갑동씨 사상편력 회상기/제2부 해방정국의 좌우대립/반탁주도 김구 미에 미움사/송진우 암살로 테러위협 느낀 공산당간부 잠적 신탁통치에 대한 임정 비상회의 석상에

    중앙일보

    1990.02.12 00:00

  • 환상의 터널­그 시작과 끝:59

    ◎제2부 해방정국의 좌우대립/전 남로당 지하총책 박갑동씨 사상편력 회상기/백범 환국… 임정·미군정 대립 싹터/웅변가 조소앙,전농결성식서 선동연설 화제 이승만의 귀국에 이어 김구·김

    중앙일보

    1990.01.22 00:00

  • 환상의 터널­그 시작과 끝:58

    ◎전 남로당지하총책 박갑동씨 사상편력 회상기/제2부 해방정국의 좌우대립/김일성 「북조공」 책임비서에/1국1당 원칙파기… 한반도 분할음모 드러내 해방초기에 공산당은 미군정과의 충돌을

    중앙일보

    1990.01.19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