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28)팥

    팥은 동양이 원산지로 단백질이 풍부한「알칼리」성 식품이다. 오곡의 하나로 예부터 우리 나라를 비롯, 중국·일본 등지에서 재배되어온 팥은 콩 다음으로 중요한 단백질 원이다. 일반 소

    중앙일보

    1972.01.29 00:00

  • (27)생선

    단백질 성분이 풍부한 동물성 식품으로는 쇠고기·닭고기 등 육류 이외에 생선이 있다. 생선은 사람이 성장·발육 및 생활에 필요로 하는 우수 단백질을 다량 함유하고 있는 산성식품으로

    중앙일보

    1972.01.26 00:00

  • 식품과 영양 과학적 분석에 의한 건강가이드(25)-동물성 기름

    동물성 기름 중 식용으로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는 것은 돼지의 지방층에서 분리한 「라드」와 우지, 그리고 고래기름(경유)이다. 부드럽고 맛이 좋기 때문에 식용기름으로 널리 사용되며

    중앙일보

    1972.01.19 00:00

  • 비타민C 많은 알칼리성|영양은 껍질 부분에

    동양적인 정서를 둠뿍안은 감은 감과에 속하는 낙섭고목의 과실로 동양이 원산이다. 품종이 1천종에 달하는 감은 포도당·과당등의 탄수화물과 「비타민」C가 풍부하게 들어 있는 「알칼리」

    중앙일보

    1971.12.20 00:00

  • (하)-혼식의 경제서

    양곡정책 전환의 궁극적 목표는 주식의 자급자족이다. 그러나 지난20여 년간의 양곡은 주식의 자급자족보다 더 시급했던 기타 산업분야에 밀려 순위가 뒤쳐져 있었고, 그 나마의 시책방향

    중앙일보

    1971.12.10 00:00

  • (17)돼지고기

    돼지고기 하면 지방이 연상될 정도로 돼지고기에는 지방질이 다량으로 함유되어있다. 돼지의 각 부위에 따라 다르기는 하지만 갈비와 삼겹살 등 가장 좋은 부위의 돼지고기에는 보통 39%

    중앙일보

    1971.12.09 00:00

  • 식품과 영양|과학적 분석에 의한 건강「가이드」(9) 소금

    소금은 그 자체가 「칼로리」를 내는 식품은 아니지만 생명 유지를 위해서는 필수적인 식품이다. 이 생명과의 필수적인 관계 때문에 이미 기원전 6세기의 「로마」제국에서 소금의 생산·판

    중앙일보

    1971.11.08 00:00

  • (1)산성과 「알카리」성

    식욕과 매각을 돋우는 가을. 그러나 소화가 잘 되고 입맛이 난다해서 닥치는 대로 먹을 수는 없다. 부정식품이 범람하는 세상이니까 질이 좋은 것을 가려 먹어야하고 영양을 따져서 편식

    중앙일보

    1971.10.12 00:00

  • 식품 속의 극약 아초산나트륨

    미국 식품 의약국(FDA)은 우리 나라에서도 널리 쓰이고 있는 아초산나트륨 함유의 식육첨가제가 유해하다고 경고, 이를 수거토록 각 메이커에 의뢰했음이 밝혀졌다. 살코기·햄·소시지·

    중앙일보

    1971.05.10 00:00

  • 어린이는 「놀이」로 생활을 배운다

    대한유치원 교육협회와 한국어린이교육협회는 제49회 어린이날을 맞아 4일 하오 2시 『나의 자녀가 귀하면 남의 자녀도 귀하다』는 제목으로 YMCA에서 기념 강연을 가졌다. 이날 기념

    중앙일보

    1971.05.06 00:00

  • 이해에는…나의 설계와 소망-이기열

    요 몇년째 식품위생, 영양의 문제가 활발하게 제기되고 있지만 한국에 있어서의 식생활분야는 아직 처녀지. 조그만 「인스턴트」식품 하나도 엄밀한 검사와 연구를 거쳐 나오는 선진국과는

    중앙일보

    1971.01.13 00:00

  • 「사카린」도 유해하다|FDA서 허가량 규제 통보

    정확한 품질검정으로 전통이 있는 미 식품의약품국(FDA)은 현재 모든 식품에 첨가해도 괜찮다고 알려진「사카린」은 안전첨가물로 인정되어 각종 통조림·과자·식이식품·「드링크」제 약품

    중앙일보

    1970.12.05 00:00

  • 안전선하의 기복|방사능 오염|경희대 주최 심포지엄서 본 한국 실태

    중공과 이웃한 한국은 얼마나 많은 양의 방사능에 오염되었을까. 방사능 낙진과 방사선 방어에 관한 심포지엄이 경희대학교 문리대 주최로 지난 14일 동 대학 도서관에서 열렸다. 주요

    중앙일보

    1970.11.17 00:00

  • 「현인」주

    우왕에게 새 술을 만들어서 헌상한 사람이 있었다. 왕은 이것을 마셔본 다음에 술맛을 찬양했다. 그러나 이렇게 맛이 좋으면 앞으로 이것으로 나라를 망쳐놓는 자가 나타나게 될 것이라면

    중앙일보

    1970.11.13 00:00

  • 효능 역전 글루타민산 소다

    최근 「글루타민산 소다」가 고혈압 및 동맥경화의 원인 물질인 「코레스테롤을 감소시켰다는 실험 결과가 미국에서 발표되어 화제다. 「글루타민산 소다」의 뇌 장애설로 미국 내에서 떠들썩

    중앙일보

    1970.10.23 00:00

  • 필수영양소…지방질|섭취상태와 수급대책

    FAO(유엔식량농업기구)한국협회가 주최한 제1회의 식생활개선 세미나가 9일 하오 2시 신문화회관에서 열렸다. 한국인의 식생활 가운데 지방질 섭취를 과제로 다룬 이날 모임에서는 「우

    중앙일보

    1970.09.10 00:00

  • 건강의 사양기 40대|위생과 관리

    인생의 황금기라고 말하는 40대에는 대부분 고위 관리자로서의 역할 담당으로 과도한 정신 노동과 지속적인 정신적 스트레스에 노출되기 때문에 건강을 위협받기 쉽다. 또한 육체적으로도

    중앙일보

    1970.07.29 00:00

  • 여름철 어린이 질병

    찬 음식을 많이 먹게 되고 수영을 자주 하게 되는 여름철은 어린이들에게 여러 질병이 위협을 주는 계절이기 때문에 주부들의 특별한 보살핌이 요청된다. 여름철에 흔히 발생하는 소아 질

    중앙일보

    1970.07.04 00:00

  • 식중독-그 증세와 예방

    여름 한철은 식중독이 창궐하는 계절이다. 세균이나 곰팡이류의 발육이 왕성해지고 식품의 부패 등이 발생하기 쉬운 기온과 습도가 유지되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사람의 신체 조직이 더

    중앙일보

    1970.07.03 00:00

  • 불량식품 안사먹기 운동

    시내국민학교 어린이들의 부정·불량식품안사먹기운동이 자발적으로 번지고있어 부정불량식품추방의 좋은 계기가 될 듯하다. 지난 주초에 수송국민학교 어린이들이 부정·불량식품안사먹기운동을 편

    중앙일보

    1970.06.22 00:00

  • 한국인의 영양과 체위|영양 학회 주최 강연회서

    한국인의 체위가 일본인보다 뒤떨어져 가고 있는 것은 한국인의 식품 조성이 가장 큰 원인이라고 지난 23일 한국 영양 학회 주최 학술 강연회서 밝혀졌다. 따라서 우리는 곡류 과잉 섭

    중앙일보

    1970.05.27 00:00

  • 낭비 없는 식탁을|서울대 가정대서 표준 식탁 전시

    한식은 반찬의 가짓수가 많아 만드는데도 힘이 들고 또 그만큼 경제적인 낭비가 많아 흠이다. 전국의 각 음식점에서 나오는 찌꺼기가 1년에 1백55억원 어치 (YMCA 조사) . 그

    중앙일보

    1970.05.27 00:00

  • 봄의 복병 소화기 질환

    꽃이 피기 시작하면서부터 봄을 타는 사람이 늘어난다. 몸이 나른하다, 피로하다, 밥맛이 없다는 등 활짝 피어 가는 식물들과는 대조적으로 몸이 늘어져 맥을 못쓰는 사람들을 많이 보게

    중앙일보

    1970.04.14 00:00

  • (2)공업화따라 유해식품범람

    지난 10년동안의 우리식생활에는 구체적인 실천이나 효과는 거두지못했지만 행정부의 새로운 시책과 여성단체와 전문기구의 식생활개선운동 그리고 주부들의 과학적인 지식습득을 위한 노력이

    중앙일보

    1969.12.04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