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집단창작단 만들어 수령 우상화/“후계자” 김정일의 예술관

    ◎「종자론」·「주체이론」 창작지침으로/80년대이후 자신의 생각 정책화주력/『피바다』『백두산』 등 혁명영화 직접제작 김일성의 뒤를 이어 북한의 최고 권력자가 된 김정일에 대해서는 많

    중앙일보

    1994.07.11 00:00

  • 김정일 집중탐구/당통해 조직장악·선전선동술 의존

    ◎통치 스타일·관리능력/말단급까지 중앙검열 통해 장악/강압·회유·선심공작 동시에 구사 흔히 알려진대로 김정일은 카리스마적 측면에서 아버지 김일성을따라갈수 없다.그는 64년 노동당에

    중앙일보

    1994.07.11 00:00

  • 김정일 영화광 안으론 美영화팬 밖으론 主體강조

    영화광으로 알려진 金正日은 그의 거처에 1천편 혹은 수천편에가까운 영화필름을 소장하고 최신식 시설을 갖춘 시사실에서 밤늦은 시간까지 영화감상을 즐기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김정일은

    중앙일보

    1994.07.11 00:00

  • 후계승계 金正日은 누구인가-81년부터 권력 전면에 부상

    ▲42.2.16 구소련 브야츠크 혹은 사마르칸트 출생說(북한은「백두산밀영」으로 주장 ▲45 말 입북 ▲54.8 평양제4인민학교 졸업 ▲57.8 평양제1중학교 졸업 ▲60.8 남산고

    중앙일보

    1994.07.09 00:00

  • 81년부터 「권력」전면에 부상/후계승계 김정일은 누구인가

    ◎후계자된뒤 군반발 흔적/당통해 군사통수권 쥐어/「김」사망전부터 실권 장악/이데올로기도 독점… 군중선동 속도전전법 즐겨 사용 김정일은 김일성의 장남이자 북한정권의 차기지도자다.김일

    중앙일보

    1994.07.09 00:00

  • (31)측근 세력 당 기관(7)

    노동당 중앙에만 김정일 측근이 있는 건 아니다. 지방책임자가 정권 안정의 주요 기반임을 고려하면 김정일이 이들에게 쏟는 관심은 클 수밖에 없다. 믿을만한 인물들이 도당 책임 비서로

    중앙일보

    1993.08.13 00:00

  • (30)측근세력|당 기관(6)|"차세대 핵심" 권희경·강주일

    북한 노동당의 「부장급」가운데 권희경·강주일·권민준·강순희·김철명도 김정일의 주요 측근으로 알려져 있다. 이들은 부장급 실세들인 장성택·오극렬·문성술·윤승관 등에 비하면 한급 떨어

    중앙일보

    1993.08.05 00:00

  • (29)측근세력 당기관(5)

    북한 외부에 거의 알려져 있지 않은 김정일의 핵심 측근인 당 조직지도부 및 선전 선동부의 제1부 부장인 문성술과 윤승관은「숨은 실력자」로 손꼽힌다. 당 핵심부서의 실무를 관장하는

    중앙일보

    1993.07.29 00:00

  • 측근세력 당기관(3)

    김정일의 측근들 중 당선전부문의 쌍두마차는 김기남·김국태다. 선전공작에 종사해온 고참간부인이 두사람은 지난해 말 당비서국에 나란히 진출했다. 북한 언론계의 원로에 해당하는 김기남은

    중앙일보

    1993.07.15 00:00

  • (4645)|내가 치른 북한숙청(27)|남로당파 제거(22)-전 내무성부상 강상호

    「박헌영사건」에 대한 조사·재판회부 등을 도맡은 내무성 내에서 정치국장 겸 제1부상인 나는 내무상 방학세에 이어 두번째 책임자였다. 그러나 이는 어디까지나 형식적부책임자일뿐 실질적

    중앙일보

    1993.07.12 00:00

  • (4644)내가 치른 북한숙청(26)|강상호|남도당파 제거(21)

    나는 연해주에서 공청간부시절 시베리아 형무소의 내부구조를 몇 번 본 적이 있다. 예심처가 관리하는 내무성 지하감방의 구조도 시베리아 형무소와 거의 비슷했다. 사방이 두꺼운 벽돌로

    중앙일보

    1993.07.05 00:00

  • (4643)|내가 치른 북한 숙청(25)|전 내무성부상 강상호|남로당 파 제거(20)

    남로당 파 소속 당·정 간부들과 월북 예술인들에 대한 조사가 거의 마무리 돼 가던 53년8월부터 남로당 파 소속 하부조직원들에 대한 검거가 본격적으로 시작됐다. 남로당 파 소속 최

    중앙일보

    1993.06.28 00:00

  • (4642)내가 치른 북한숙청(24)|전 내무성부상 강상호|남로당 파 제거(19)

    중량급 월북 예술인들이 차례로 구금돼 조사 받는 동안 이들의 가족들은 평양시내 변방에 있는 일제시대의 기업 소 건물 등에 분산 수용돼 있었다. 조사가 끝날 때까지의 대기 상태였다.

    중앙일보

    1993.06.21 00:00

  • (4638)내가 치른 북한숙청|남로당 파 제거(15)|전 내무성 부상 강상호

    방학세가 내무상에 앉자마자 남로당 파 인사들에 대한 대숙청이 시작된 것은 결코 우연이 아니었다. 그는 일찍부터 김일성 수상의「특별지시」에 따라 박헌영 부수상을 비롯, 남로당파 인사

    중앙일보

    1993.05.24 00:00

  • (19)수령제도 사회 정치적 생명론 당의 영도 세습 합리화 체제 버팀목

    김정일은 73년 9월에 당 조직 사상비서로 당권을 장악한 뒤 70년대 중반부터 각 부문에 대한 「당의 영도」를 강화해왔다. 후계체제를 제도적·이론적으로 뒷받침하는 무기는 ▲수령제

    중앙일보

    1993.05.20 00:00

  • (4634)내가 치른 북한 숙청-남노당파 제거(11)

    53년- 봄은 왔으나 평양은 정초부터 몰아친 숙청한파에서 깨어날 줄 모른채 꽁꽁 얼어붙어 있었다. 김일성수상에게 충실한 열성당원들에 의해 주도된 이른바 「밑으로부터의 비판운동」이

    중앙일보

    1993.04.26 00:00

  • (15) - 후계자 부상(8)

    노동당의 조직사상 비서와 정치위원이 된 김정일은 75년중반부터 북한 정권기관, 즉 정무원의 각부·위원회, 도 행정경제기관들을 장악해간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당·군쩍에 이은 조치였다

    중앙일보

    1993.04.22 00:00

  • (14)후계자 부상(7)

    김정일은 73∼74년간 당내유일지도체계를 확립하면서 모든 기구를 「조직지도부」중심으로 개편했다. 조직지도부 기능을 강화해 당생활지도·간부인사·당내 검열권한을 한곳에 집중시키는 일사

    중앙일보

    1993.04.15 00:00

  • 「이인모노인 눈물에서···」

    최근 이인모노인의 송환조치와 관련, 부산의 허남욱씨가 중앙일보 4월1일자 「이인모노인의 눈물에서 통일의 길 찾아보자」제하의 글에서 이인모노인의 기구한 인생역정에 절절한 동정과 함께

    중앙일보

    1993.04.11 00:00

  • 김정일의 북한

    김정일을 김일성의 후계자로 공식 지명하는 노동당의 결정이 단번에 내려진 것은 아니었다. 후계자 결정에 따른 안팎의 저항을 의식하지 않을 수 없었기에 빨찌산 그룹은 대책수립에 골몰했

    중앙일보

    1993.03.11 00:00

  • 김정일의 북한|후계자 부상|빨찌산그룹서 각별한 애정

    1970년 말부터 빨찌산그룹은 김정일을 김일성의 후계자로 만드는 작업에 착수했다. 빨찌산그룹은 후계자는 빨찌산그룹을 계승해야 하는 동시에 국가경영 능력과 대중신망을 갖춘 인물이어야

    중앙일보

    1993.03.04 00:00

  • (9)|후계자 부상(2)|병약한 김영주대신 정치훈련

    박금철·이효순 사건의 여파가 진정된 것은 67년 말이었다. 그러나 반년도 지나기 전에 「김일성-김영주-다음세대」 후계구도에 대한 두번째 도전이 터져 나왔다. 이번엔 빨찌산 그룹내의

    중앙일보

    1993.02.24 00:00

  • (8)후계자 부상(1)

    김정일은 1980년 10월 조선노동당 6차 대회직후 일약 정치국 상무위원으로 등장, 김일성 주석의 후계자임을 안팎에 과시했다. 70년대 후반에도 그의 권력부상 소문이 간간이 흘러나

    중앙일보

    1993.02.19 00:00

  • 북한 이것이 알고 싶다

    북한 권 부의 트로이카인 당·군·정의 최 고위직은 김일성 부자가 독차지하고 있다. 하지만 그 주변에서도 막강한 파워를 휘두르는 권력의 보루들이 있다. 현재 북한 권 부의 10대 노

    중앙일보

    1993.01.01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