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모자라는 수돗물

    식수문제는 주택·연료·교통문제와 함께 도시행정이 제일 먼저 해결해야할 기본 과제다. 그럼에도 수도권의 물 사정은 조금도 호전될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공급이 수요를 따르지 못해

    중앙일보

    1978.08.10 00:00

  • 시 인구 7백35%나 증가 정부 수립 30년간 시정 분석 주택 보유율은 3% 줄어

    정부 수립 30년 동안 서울시 인구는 7백35%가 늘었고 행정구역도 3백68%나 확장됐으며 상수도 소비량은 14배, 자동차는 50배 이상 늘어났다(별표 참조). 서울시가 5일 정부

    중앙일보

    1978.08.07 00:00

  • 새해시정 어떻게 달라지나

    서울시수도국은 올해 급수인구가 사상처음으로 7백만명을 돌파 ,7백9만명 선에 이를 것으로 보고 이에 맞춰 급수율도 92%, 1인당 하루 물소비량은 3백62l로 높이기로 했다. 이는

    중앙일보

    1978.01.04 00:00

  • 성산·성수대로 내년에 착공

    서울시는 22일 내년에 25억원을 들여 중앙청∼독립문∼연희동∼망원동∼시흥시계를 연결하는 10·9km의 성산대로 건설에 착수하는 것을 비롯, 성수대로 착공(20억원) 남산3호「터널」

    중앙일보

    1976.12.22 00:00

  • 무더기 도로굴착…교통체증 가중|서울 시내 10월내 또 40여 곳 착공계획

    올 하반기 들어 당국이 서울의 교통소통문제를 외면한 채 시내 곳곳의 간선도로에서 일시에 지하상가·입체교차로·전화선 및 상수도 관 매설공사 등 도로 굴착공사를 벌여 가뜩이나 혼잡한

    중앙일보

    1976.10.07 00:00

  • 구의수원지 30만t 증산공사준공

    구의수원지(성동구광장동) 30만t증산공사가 3일상오 준공, 통수됐다. 통수식에는 최규하국무총리와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공사비 1백억원을 들여74년6월에 착공, 2년만에 공사를 끝낸

    중앙일보

    1976.07.03 00:00

  • 해제된 공원용지|공원지구로 재지정 서울시|공원되면 3천 주민생활기반 잃어|"현지개량 지구로 환원해 달라"

    영등포구양평동2가23의1 및 26의1 무허가건물입주자 5백여가구 주민3천여명은 25일 서울시가 이곳을 도림제2공원으로 만들려는 계획에 반대, 71년에 약속한대로 이지역을 재개발지구

    중앙일보

    1976.02.28 00:00

  • 서울시 수도료 35.4% 인상/급수조례개졍 3월부더 실시

    서울시는 10일 급수조례를 개정, 상수도사용료를 3월부터 평균35·4%인상실시키로했다. 인상내용은 가사용(제3종)의경우 평균34·43%올라 기본수량15입방m(t)까지 3백50원이고

    중앙일보

    1976.02.10 00:00

  • 서울시 5개수원지 취수장 폐쇄

    서울시는 6일 막강수질오염에 따른 수도권상수도수원을 확보키위해 내년부터 81년까지 연차적으로 시내 5개수원지의 취수장을 폐쇄, 한강상류 팔당에서 원수(원수)를 끌어 사용하고 하루1

    중앙일보

    1976.02.06 00:00

  • 올해 본예산보다 25%늘어

    서울시는18일75년도 추가경정 예산액(1차)을 3백2억9천4백78만1천 원으로 확정했다. 총리실의 승인을 얻어 확정된 이 추경예산액은 올해 본예산 (1천2백11억7천2백90만원)보

    중앙일보

    1975.08.18 00:00

  • 광복30주 통계로 본 「서울」|상·하수도

    ▲상수도=인구 90만명이었던 45년 해방당시 상수도 하루생산량은 9만5천7백t에 불과, 겨우 10만명에게 급수할 수 있는 규모였으나 60년에는 하루 29만t을 생산, 매일 1인당

    중앙일보

    1975.08.13 00:00

  • 서울시 수도료 60%인상키로|10월께부터

    서울시는 금년1월 수도사용료를 평균 25·9% 인상한데 이어 다시 오는 10월께부터 목욕탕을 제외한 가정용과 업무용수도사용료를 평균 60%인상키로 하고 28일 수도사용료징수조례개정

    중앙일보

    1975.07.28 00:00

  • 상수도개발 5개년 계획

    상수도는 어느나라에서나 도시의 발달에 따라 급격하게 늘어난 생활용수의 수급을 해결하기 위해 필수 불가결한 시설이다. 인구가 많지 않을 때는 주로 우물물이나 천연유수를 길어 생활했으

    중앙일보

    1975.07.11 00:00

  • 고지대·변두리 주민 식수난

    시내에 부설되어있는 송·배수관 시설이 낡고 모자라 변두리 관말지역과 고지대 주민 20여만명이 심한 식수난을 겪고 있다. 19일 서울시에 따르면 지난해 7월 구의 수원지를 준공, 3

    중앙일보

    1975.05.19 00:00

  • (1)경기도(상)|도로·항만·공장 등

    올해 내 고장은 어떻게 달라질까. 중앙과 지방관서는 지역 사회 개발을 위해 어떻게 손을 쓸 것이며 민간 투자는 어느 분야에 힘을 기울일까. 75년의 내고장 청사진을 정리해 본다.

    중앙일보

    1975.01.13 00:00

  • 화곡 지구에 배수관 7월에는 급수 호전

    서울시는 인천시와 각각 5천만원씩 합작 투자로 오는 6월말까지 영등포구 화곡동 일대에 구경 2백∼3백m 짜리 배수관 5㎞를 묻어 이곳의 급수사정을 좋게 하고 신정·신월동 일대에 구

    중앙일보

    1974.02.02 00:00

  • (5)관악구

    지난해 7월 영등포구와 분구된 관악구는 도로율 3.1%, 하수도율 18.4%, 포장율 2%로 서울시의 11개구 가운데 가장 생활환경이 낙후된「서울 속의 서울」이다. 이에 따라 올해

    중앙일보

    1974.01.28 00:00

  • 천호지구 시민「아파트」공사비 등|2차 시추예 49억여원 확정

    서울시의 73년도 제2차 추경예산이 지난27일 총리실 승인을 얻어 총 규모 49억6백4만7천원으로 확정됨에 따라 연내에 착수될 각종 사업규모가 밝혀졌다. 서울시는 29일 14억1천

    중앙일보

    1973.10.29 00:00

  • 수도부정공사에 처벌 신설

    서울시는 12일 수도부정공사 자에 대한 벌칙조항을 삽입토록 수도법을 개 정해 달라고 건설부에 건의했다. 현행 수도법벌칙조항(33∼34조)엔 ①상수도 보호구역의 오염초래 위험행위 ②

    중앙일보

    1973.09.12 00:00

  • 뚝섬·노량진·영등포|3개상수도 수원지 통수

    시내3개 수원지(뚝섬·노량진·영등포)의 상수도 10만t 증산과 43km배수관 확장사업이 매듭, 12일하오3시 뚝섬수원지에서 양탁식시장 등 관계자들이 참석한가운데 통수식을 가졌다.

    중앙일보

    1973.06.12 00:00

  • (8)수도

    서울시는 올해 수도사업을 증산사업·배관사업·양수기 대체사업·배수지 사업 등 4개 사업으로 나눠 추진한다. 이들 사업에 투입될 예산은 수도사업 특별회계예산 97억원과 ADB (「아시

    중앙일보

    1973.01.18 00:00

  • 푸른 동심이 나래 펼 꿈의 궁전|어린이 대공원의「마스터·플랜」을 본다

    서울 성동구 능동 산3의2 소재 전 서울「컨트리·클럽」자리 12만6천평에「어린이대공원」의 설립계획을 확정한 서울시는 9개 부문 55개 시설물에 대한 구체적인 설계작업에 들어갔다.

    중앙일보

    1972.11.02 00:00

  • 백만 어린이의 『자연교실』

    서울시가 1일 건설계획을 확정 발표한 어린이대공원은 시내 80만 국교 생들과 1백만 어린이는 물론 전국어린이들이 이용할 건전한 놀이터이자 자연교실로서 자못 의의가 크다. 성동구 능

    중앙일보

    1972.11.01 00:00

  • 70년 발행 영도공사

    서울시는 제1회 상수도확장사업에 따라 지난70년에 발행한 액면 5억원의 시 공채 원리금을 오는 11월6일부터 일시 상환한다. 상환금 지급업무는 상업은행 증권부나 상은 서울시 금고

    중앙일보

    1972.10.25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