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골목·가정환경완성

    서울시는 골목 단장에 있어 9억4천만원의 예산을 썼다. 4천4백66개소의 골목을 포장했으며 2천l백27개소의 골목 하수도를 개량, 신설했고 5천 등의 조명을 달았다. 그러나 구청

    중앙일보

    1969.12.09 00:00

  • 지상국정감사

    국회는 지난 28일부터 사실상 공화당만의 「단독 국정감사」를 실시하고 있다. 국회권능의 핵심이기도 한 국정감사를 야당이 참여하지 않은 가운데 실시하고있는 사실은 그 정치적 이유야

    중앙일보

    1969.12.04 00:00

  • 영세민*주서**시민 아파트

    영세 판잣집 철거민들을 위해 서울시가 올해 최대 복지사업으로 내걸고 건립한 4백7동의 시민 「아파트」가 오는 12월15일 입주식을 갖는다. 그러나 동당 1천2백만원의 예산으로 평당

    중앙일보

    1969.11.14 00:00

  • l8개소에 노숙자 구호센터

    서울시는 겨울철 거리의 동사자와 아사자를 막기 위해 시내 18개소에 임시노숙자구호「센터」를 설치, 오는 15일부터 문을 연다. 1백70만원의 예산으로 설치되는 노숙자 구호「센터」는

    중앙일보

    1969.11.08 00:00

  • 신림동에 10월내 상수도|국민학교 2개도 곧 신설

    요즘 갑자기 서울시는 변두리 영세민에 대한「선심공세」가 시작되고있다. 6일 김현옥 서울시장은 공화당 신동준 의원 안내로 철거민들이 집단 이주되어있는 영등포구 신림동과 시흥동에 서울

    중앙일보

    1969.10.07 00:00

  • 내년을 사회복지의 해로

    70년을 사화복지 집중투자의 해로 정한 서울시는 내년도 예산중 50억원을 순수사회복지비로 투자키로 결정하고 「서울시 사회복지백서」편찬에 착수했다 이 백서는 30명의 사회복지문제 전

    중앙일보

    1969.10.01 00:00

  • 질역과 빈곤지대

    「콜레라」비상령이 내린 서울시내에서 집단 장「티푸스」가 발생했다는 사실은 허술한 방역태세에 대한 일대 경종이 아닐 수 없다. 전염력, 치사율 등으로 보아「콜레라」가 아니라 해서 결

    중앙일보

    1969.09.13 00:00

  • 3연간 백억원 들일「교육건설」

    서울시는 70년부터 72년까지의 3년간을「서울교육건설」기간으로 정하고 교육시설과 교원처우 및 학습자료·학생복지 시설 등 4개 부문에 1백억∼1백20억원을 투입, 서울교육을 개선하는

    중앙일보

    1969.09.10 00:00

  • 시민은 내막이 궁금하다|이상비대…서울시예산|내년도 650억원을 계상

    김현옥서울시장은 내년도 서울시의 예산규모를 대충6백억원내지 6백50억원으로 늘려 시정의 방향도 지금까지의 건설중심을 피하고 사회복지와 교육사업지원에 중점을 두겠다고 밝혔다. 현단계

    중앙일보

    1969.07.24 00:00

  • 균형감각 잃은 서울시정

    서울시는 내년도 시정운영방침을 사회복지및 교육사업지원에 중점을 두겠다고 밝히고 그 집행계획을 오는10월백서로 밝히겠다고 발표했다. 서울시는 ⓛ사회복지사업을 위해서 임금철포를위한 뒷

    중앙일보

    1969.07.23 00:00

  • 6백50억원예상

    김현옥서울시장은 내년도서울시예산규모를 올해보다 약50%더 많은 6백∼6백50억원으로 편성, 새해시정의주된 방향을 사회복지사업에 두겠다고 말했다. 김시강은 새해예산이 팽창하더라도 사

    중앙일보

    1969.07.23 00:00

  • 풀려질까 식수·주택란

    서울시는 69연도 시정 목표를 ①대건설의 계속 ②가정 및 환경의 정화 및 건설 ③새시민 윤리 건설 ④내부 개혁의 단행 등 4개 항목으로 요약했다. 이는 김현옥 서울시장이 부임한 지

    중앙일보

    1969.01.07 00:00

  • 시새해살림이모저모|공원개발

    서울시는 새해예산에 5억원을 공원개발비로 책정했다. 현재의 남산공원을 다목적공원으로 시설을 늘리고 북악공원을 새로 만드는외에도 정릉, 우이동, 도봉, 세검, 관악산에유원지를, 각구

    중앙일보

    1968.12.24 00:00

  • 시민복지와 서울시정

    서울시는 69연도예산을 3백42억원 규모로 잡고, 이를 상하수도의 정비확충·사회복지사업확충·「아파트」건립· 청소체제의 개선·전철공사의 착공 등에 중점적으로 투입할 의욕적인 사업계획

    중앙일보

    1968.10.23 00:00

  • 복지비 과소|불균형 예산

    국회내무위는 10일 서울시에대한 감사에서 서울시의 불균형예산 편성, 각종 공사 계약에 있어서 수의계약이 많은 것등을 추궁했다. 양찬우(십오구) 김수한(신민) 의원등은 서울시의 69

    중앙일보

    1968.10.10 00:00

  • 꾸물대는 공익사업|미착수 13%·지연공사 11%

    금년도 서울시의 각종 공익사업계획 6백30건 중 상반기가 지난 7월1일 현재 24%에 해당하는 1백53건이 예정대로 착수되지 않았거나 진도가 늦어지고 있다. 서울시의 상반기 주요사

    중앙일보

    1968.07.01 00:00

  • 「불도저」2년 김서울시장「건설철학」의공과

    「불도저시장」이란 별명을 즐겨듣는 김현옥씨가 서울시장직에 취임한지도 4일로 2주년이 되었다. 8천9백명의 직원에통·반장까지 합치면4만여명의 살림꾼을 거느렸고 식구수도 4백만명으로

    중앙일보

    1968.04.04 00:00

  • 4월에착공

    서울시는 탁아시설등을 갖춘 사회복지「센터」를 온는4월 착공, 내년까지 준공키로했다. 시내 서대문구 대현동19의1에 세워질 이 복지「센터」는 1천4백평의 대지위에 현대식 7층건물로

    중앙일보

    1968.02.15 00:00

  • 2백52억 원 시 68년도 예산확정

    서울시의 68년도 예산이 2백52억2천만 원(일반회계 1백32억, 특별회계1백20억2천만 원)으로 확정됐다. 총리실의 승인을 얻어 29일 확정된 이 예산은 금년예산보다 62%가 늘

    중앙일보

    1967.12.29 00:00

  • 기생 자리저고리

    고유한 의미에서 기생이라는 직업이 없어진 지는 꽤 오래됐건만, 아직도 그 기생과 관련해서 통용되고 있는 속담은 심심치않을 만큼 많다.「기생오라비 같다.」느니,「기생 자리저고리 같다

    중앙일보

    1967.01.11 00:00

  • (상)불도저 행정1년

    「일하는 해」66년의 서울시는 「불도저」 김현옥 시장을 맞아 최고로 일을 벌이고, 최고로 화제의 촛점이 되었으며, 최고로 돈을 많이 썼던 해-. 60년만의 홍수, 교통난, 쌀파동,

    중앙일보

    1966.12.29 00:00

  • 「구」복지사업비 일부에 편중배정

    서울시는 67년도 예산에 있어 시내 9개 구청의 구복지사업비 5억6천만원을 책정, 구청별로 배정안을 마련했는데 내년 국회의윈 선거에서 여당 입후보자 당선가능성이 많다고 지목되고있는

    중앙일보

    1966.12.26 00:00

  • 총213억원

    23일 상오 서울시는 한강연안순환도로 및 입체교차로 그리고 청개천 복개 등 주요건설공사를 전부 특별회계로 기채사업으로 한다는 방침아래 서울시예산상 최초로 거대한 2백13억원의 67

    중앙일보

    1966.12.23 00:00

  • (10)「불도저」 서울 특별시장 김현옥씨

    『만족이라구요? 내 신념과 철학과 소신으로 저는 앞으로 3년, 서울을 올해보다도 더욱 파헤치고 다듬을 결심입니다』 「불도저」 김현옥 서울특별시장은 말끝마다 신념·철학·소신이란 낱말

    중앙일보

    1966.12.23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