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안휘준 문화재위원장 명지대 석좌교수로

    안휘준 문화재위원장 명지대 석좌교수로

    안휘준 문화재위원회 위원장이 다음달 1일 명지대 석좌교수로 부임한다. 안 교수는 미국 하버드대에서 박사학위(한국회화사 전공)를 받은 뒤 한국미술사학회회장, 서울대 인문대 고고미술

    중앙일보

    2006.02.15 06:00

  • 낯익은, 그리고 신비한 … 인도 불교 미술의 진수

    낯익은, 그리고 신비한 … 인도 불교 미술의 진수

    2~3세기 간다라 불입상. 116x37x16.5㎝. 둥근 두광(頭光)을 표시하는 것은 헬레니즘 시대에 시작된 관습으로 간다라를 거쳐 인도로 들어온 것이다. 서울 순화동 중앙일보사

    중앙일보

    2006.01.27 18:14

  • 한 권으로 끝내는 우리 '국보 이야기'

    최근 숭례문의 국보 1호 변경 논쟁이 큰 이슈가 됐었다. 우선 당분간 숭례문이 국보 1호로 남게 되었다만 사실 이 논쟁은 이미 1996년에 결론이 난 해묵은 것이다. 국보는 우리의

    중앙일보

    2005.11.17 10:40

  • 석남미술이론상 김영나 교수 석남젊은이론가상 이선영씨

    석남미술이론상 김영나 교수 석남젊은이론가상 이선영씨

    원로 미술평론가 석남(石南) 이경성(86)씨의 후학들이 제정한 제1회 석남미술이론상 수상자로 김영나(54.(上)) 서울대 고고미술사학과 교수가 뽑혔다. 한국 근.현대 미술을 연구

    중앙일보

    2005.10.28 04:27

  • [사랑방] 수상 外

    ◆ 수상=장영섭 연합뉴스 사장, 안휘준 서울대 고고미술사학과 교수, 박용관 오이솔루션 대표가 15일 중동중.고 총동문회에서 주는 '자랑스러운 중동인상'을 받았다. ◆ 새 의자=최혁

    중앙일보

    2005.02.15 18:43

  • 안휘준·전상운씨 등 5명 '대한민국 문화유산상' 받아

    서울대 안휘준(64.고고미술사학과)교수와 전 문화재위원 전상운(76)씨(학술.연구 부문), 국가지정무형문화재 제74호 대목장 전흥수(66)씨와 한국등잔박물관 김동휘(86)관장(보존

    중앙일보

    2004.12.06 18:49

  • 정몽헌회장 추모 카페 맏딸 지이씨가 글 올려

    정몽헌회장 추모 카페 맏딸 지이씨가 글 올려

    고(故) 정몽헌 현대그룹 회장의 큰딸인 정지이(27)씨가 아버지의 죽음과 현대그룹 경영권 분쟁 등에 대한 자신의 입장을 처음으로 밝혔다. 鄭씨는 최근 '정몽헌 회장 인터넷 추모카

    중앙일보

    2004.05.18 18:21

  • 故정몽헌회장 장녀 지이씨, 현대상선 평사원으로 입사

    故정몽헌회장 장녀 지이씨, 현대상선 평사원으로 입사

    고(故) 정몽헌 현대아산 회장과 현정은 현대그룹 회장의 장녀인 정지이(26)씨가 현대상선에 입사했다. 현대상선은 5일 "鄭씨가 모친 玄회장의 뜻에 따라 지난 3일자로 현대상선 재

    중앙일보

    2004.01.05 19:07

  • [집중 토론] 美 대사관 신축 해법 없나

    ▶崔夢龍 서울대 고고미술사학과 교수 ▶金晶東 목원대 교수·문화재위원(사적분과) ▶宋奉憲 외교통상부 북미국 심의관 ▶黃平雨 한국문화유산정책연구소장 사회:김석환 논설위원 옛 경기여고

    중앙일보

    2003.12.10 18:45

  • "세계 最古 볍씨는 한반도産"

    가장 오래된 것으로 공인돼왔던 중국 후난(湖南)성 출토 볍씨보다 3천년이나 더 오래된 세계 최고(最古) 볍씨가 한국에서 발견된 사실이 영국의 BBC 인터넷판을 통해 보도됐다. 이

    중앙일보

    2003.10.22 18:40

  • 고고학과 첨단과학의 만남 "레이더로 유적발굴"

    고고학과 첨단과학의 만남 "레이더로 유적발굴"

    캄보디아의 세계 문화유산인 앙코르와트 사원은 밀림 속에서도 웅장한 자태를 자랑한다. 그러나 지금 드러난 것보다 훨씬 오래된 유적이 밀림 속에 숨어있다는 사실을 미국 항공우주국(NA

    중앙일보

    2003.10.22 16:34

  • 이성무 한국역사문화연구원장 "역사공부는 국민의 평생 교육"

    "국사편찬위원장을 지낼 때 일본 교과서 왜곡 문제가 터졌다. 그런데 그 일로 만난 우리 정치인을 비롯한 사회 지도층들이 역사 의식이 없다는 것을 느꼈다. 그 때 한분이 역사에 대해

    중앙일보

    2003.08.26 19:56

  • 판화전 '피카소의 예술과 사랑' 열려

    판화전 '피카소의 예술과 사랑' 열려

    올리비에·에바·올가·마리 테레즈·도라 마르·프랑스와즈 질로·자클린느 로크…. 스페인이 낳은 큰 화가 파블로 피카소(1881∼1973)가 사랑에 빠졌던 여성들을 꼽다 보면 “그림은

    중앙일보

    2003.07.15 17:18

  • 50만명 '고구려의 魂'과 만나다

    분단 반세기 만에 처음 서울에 온 북한의 고구려 유적과 유물들은 힘이 셌다. 지난해 12월 6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 3층 특별전시장에서 막을 올린 '특별기획전 고구려!-평양에서 온

    중앙일보

    2003.05.23 10:41

  • 50만명 '고구려의 魂'과 만나다

    분단 반세기 만에 처음 서울에 온 북한의 고구려 유적과 유물들은 힘이 셌다. 지난해 12월 6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 3층 특별전시장에서 막을 올린 '특별기획전 고구려!-평양에서 온

    중앙일보

    2003.05.22 18:10

  • [특별기획전-고구려!] 도우미 선생님들

    [특별기획전-고구려!] 도우미 선생님들

    지난해 12월 6일 막을 올린 '특별기획전 고구려!-평양에서 온 무덤벽화와 유물'이 관람 인원 40만명을 넘기며 재미있고 뜻 있는 전시로 소문을 타고 있다. 서울 삼성동 코엑스 3

    중앙일보

    2003.05.05 17:26

  • "풍납토성 자갈구조물은 해자"

    서울 송파구 풍납동 삼표산업 사옥 신축부지 내에 있는 풍납토성 성벽과 성벽 바깥에 조성된 대규모 구조물이 해자(垓子.성벽 바깥을 두른 도랑)인 것으로 최종 결론났다. 국립문화재연구

    중앙일보

    2003.03.12 17:58

  • 한국 근대의 시각문화 다시 보기

    한국 미술사학계에서 지난 몇년 새 두드러진 변화를 꼽는다면 근대미술에 관한 관심 증가다. 1980년대와 90년대 전반까지 전통미술 연구와 서양미술사 연구로 양분돼 있던 미술사학계는

    중앙일보

    2003.01.07 17:47

  • 북한학자와 심포지엄 내년 개최

    영하의 기온으로 얼어붙은 한반도를 '고구려 열기'로 달구고 있는 '특별기획전 고구려!-평양에서 온 고분벽화와 유물'(2003년 3월 5일까지 서울 삼성동 코엑스 3층 특별전시장)

    중앙일보

    2002.12.16 00:00

  • '한반도 신석기'다룬 美고고학자 소설 번역

    세계 고고학계에서 한국통으로 널리 알려진 미국인 사라 M 넬슨(71·덴버대 인류학과·사진)교수의 1999년 소설『영혼의 새』(동방미디어)가 번역 출간됐다. 넬슨 교수는 1970년

    중앙일보

    2002.12.11 00:00

  • 특별展 고구려! 첫날부터 관람객 몰려

    북한의 고구려 유물과 유적 3백여점을 선보이는 '특별기획전 고구려!-평양에서 온 고분 벽화와 유물'이 6일 오전 11시 서울 삼성동 코엑스 3층 특별전시장에서 막을 올렸다. 중앙

    중앙일보

    2002.12.07 00:00

  • 제104話 두더지 人生...발굴40년: 28 간첩 오인 소동

    12월 소양강댐 수몰지구의 선사시대 유적에서 발굴한 유물 중 돌상자무덤(石棺墓) 1기와 야외 화덕터(野外爐址) 1개소는 학생들의 교육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당시 춘천교육대학으로 옮

    중앙일보

    2002.12.02 00:00

  • 제104화두더지人生...발굴40년: 19.아쉬움 남긴 구품연지

    불국사 구품연지(九品蓮池)를 발굴 조사하며 최몽룡 조사원 덕에 난생 처음 마셔본 뱀술의 기억은 지금도 너무나 생생하다. 나중에 알고 보니 문제의 뱀술은 썩은 술이 분명했다. 상처

    중앙일보

    2002.11.19 00:00

  • ['전통문화 전도사' 자임 미술사학자 오주석 씨]"우리 문화 살리려면 알고 즐겨야죠"

    "문화, 그것은 결국 우리가 살아가는 보람, 특히 지금 이 땅에 사는 이유,그리고 우리가 우리인 까닭, 바로 정체성의 문제입니다. 한 나라의 문화는 빼어난 사람들 중심으로 만들어

    중앙일보

    2002.11.18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