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국산 경비행기 '북극 → 남극' 재도전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 개발한 국산 경비행기 '반디호'(사진)가 오는 9월 북극점과 한국.남극점을 도는 비행에 다시 도전한다. 이는 지난 1월 남극점 비행에 나섰다 기상 악화와 고장

    중앙일보

    2004.07.28 17:41

  • [week& cover story] 과학으로 본 UFO 미스터리

    [week& cover story] 과학으로 본 UFO 미스터리

    초속 100㎞ 비행 … 수만℃ 마찰열에 끄떡없어 비행기와 비할 수 없는 엄청난 속도로 날다가도 갑자기 공중에 멈춰서고, 무엇엔가 퉁겨나듯 순식간에 방향을 바꾸고…. 사람들이 목격한

    중앙일보

    2004.04.01 15:21

  • [week& cover story] 위크앤팀이 찍은 괴물체 과연 뭘까

    [week& cover story] 위크앤팀이 찍은 괴물체 과연 뭘까

    ▶ UFO(미확인 비행물체)를 촬영 중인 위크앤팀."길이 1㎞ 초대형 비행물체" 전문가도 놀라 취재팀은 오후 3시10분 이후에도 대여섯 차례 촬영에 성공했다. 그중 오후 3시49분

    중앙일보

    2004.04.01 15:16

  • 국내 1호 과학기술위성 개발 과학자에 훈·포장

    국내 최초의 천문우주과학용 위성인 과학기술위성1호 개발에 기여한 과학자 33명이 정부 훈.포장과 대통령 표창을 받았다. 과학기술부는 20일 오후2시 오명(吳明) 과기부 장관이 참석

    중앙일보

    2004.02.20 17:40

  • [우리들의 눈] "평범한 사람도 짱 되는 세상" 外

    *** "평범한 사람도 짱 되는 세상" '짱'은 지난해 최고의 인기 검색어다. 하루에도 수십개의 짱카페가 생긴다. 인터넷에서 얼짱들은 떴다 하면 잇따라 연예계에 발을 내딛는다. 좋

    중앙일보

    2004.02.16 17:51

  • '초고에너지 우주입자'검출기 개발

    미 항공우주국(NASA)이 앞으로 10년 내 밝히고자 하는 10대 과제 가운데 '초고에너지 우주입자'가 있다. 이 입자는 우주에 떠돌아다니는 것으로, 전자가 1천조 볼트 전압으로

    중앙일보

    2003.11.26 15:49

  • 티타늄 강판 싸게 만드는 법 개발

    티타늄 강판 싸게 만드는 법 개발

    탄소강의 강도를 살리면서 부식을 억제할 수 있는 티타늄 클래드 강판을 값싸게 제조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신금속재료연구센터 도정만(사진).변지영

    중앙일보

    2003.11.05 15:28

  • 조기 경보 비행선이 뜬다

    지상 3만6천㎞의 정지궤도 위성, 지상 2백~6백㎞의 첩보위성, 지상 바로 위에는 조기경보기, 땅에는 레이더기지…. 지상에서 우주까지 물샐틈 없이 짜인 미국의 조기 경보망이자 정보

    중앙일보

    2003.10.29 15:12

  • [가정] "입양 땐 부모 욕심부터 버리세요"

    출산율 1.17명. 둘 낳기도 꺼리는 세태다. "돈이 없어 둘째 못 낳는다"는 말도 심심찮게 들린다. 출산.입양.위탁으로 얻은 5남1녀를 키우는 어머니 한연희(韓蓮熙.45.경기도

    중앙일보

    2003.08.26 18:00

  • e-실험실이 열린다

    생명공학자들은 단백질의 정밀한 입체 구조를 분석하려면 포항 방사광가속기를 찾는 경우가 많다. 그만큼 밝은 빛을 내는 거대 연구시설이 없기 때문이다. 시료를 싸들고 가 며칠을 현지에

    중앙일보

    2003.07.30 16:03

  • [新 일본 기행] 10. 미래 향한 연구개발 (끝)

    지난달 12일 고베(神戶) 서쪽 75km에 위치한 하리마(播磨) 과학공원도시. 1천4백36m 길이의 방사광(放射光)시설 '스프링 8(Spring 8)'이 과학단지의 한복판에 자리잡

    중앙일보

    2003.07.11 17:31

  • 태양 폭발…지구 괴롭히는 심술쟁이

    태양은 지난달 27일부터 이틀간 세차례 가장 센 폭발을 일으켰다. 이달 들어서만도 세차례나 발생했다. 태양의 흑점 활동이 가장 활발했던 2000년 이후에 나온 기이한 현상이다. 이

    중앙일보

    2003.06.25 14:55

  • [사이언스 브리핑] 미국 국립환경건강과학연구소 外

    [사이언스 브리핑] 미국 국립환경건강과학연구소 外

    ◆미국 국립환경건강과학연구소(NIEHS) 진용환 박사가 중금속 카드뮴이 돌연변이와 암을 일으키는 과정을 밝혀냈다. 연구결과는 세계적인 과학잡지 '네이처 제네틱스' 8일자에 발표됐다

    중앙일보

    2003.06.18 15:26

  • [과학 단신] 한국과학문화재단 外

    [과학 단신] 한국과학문화재단 外

    ◇한국과학문화재단은 1997년 노벨물리학상 수상자인 클로드 코엔 타누지(70) 박사와 유럽물리학회 회장인 마르시알 뒤클로아(58) 박사를 초청, 24일 오후 3시30분부터 서울 코

    중앙일보

    2003.04.23 15:48

  • [생활] 이희우 공군 대령의 '창공 인생'

    하늘을 날고 싶은 소년이 있었다. 남모를 사연이 있는 건 아니었다. 그저 자유롭게, 그래 새처럼 마음대로 날아다니고 싶었을 뿐이다. 소년은 동네 뒷동산에 자주 올랐다. 하늘에 좀

    중앙일보

    2003.04.10 16:15

  • "일기예보 독립" 기상위성 쏜다

    기상청은 1998년 여름 지리산 야영객 90여명의 목숨을 앗아간 게릴라성 집중 폭우를 비가 쏟아지기 시작한 지 40분이 지나서야 알아채고 호우경보를 발령했다. 1999년 경기 북부

    중앙일보

    2003.03.19 15:53

  • [세계의 CEO] 미국 보잉 필 콘딧 회장

    '바람의 도시'라 불리는 미국 시카고. 겨울철 미시간 호수에서 불어오는 바람이 아주 매섭다. 상용.군용기와 우주 발사체를 생산하는 세계 최대의 항공우주업체인 보잉은 2001년 9월

    중앙일보

    2003.01.07 17:29

  • 로켓 '꿈'을 쏘았다 : 로켓 전도사 채연석 박사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채연석(52·책임연구원·사진)박사의 대화 목소리는 보통 사람들보다 유달리 더 크다. 고교생일 때 자작 초소형 로켓이 귀 근처에서 터지는 바람에 고막에 구멍이 뚫

    중앙일보

    2002.11.07 00:00

  • 685㎞ 상공서 촬영·전송 2004년말 2호기와 교대

    우리나라 첫 다목적 위성인 아리랑 1호가 오는 12월 설계 수명(처음 예상한 수명)인 3년이 다 된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이를 기념해 아리랑 위성의 활약상을 화보로 엮어냈다.

    중앙일보

    2002.10.24 00:00

  • 1000리 상공'千里眼' 땅속 江까지 손금 보듯

    미국의 과학자들은 전세계 해수면의 높이가 1993년부터 지난해 말까지 평균 2.5㎜ 높아졌으며, 지구의 허리가 지난 4년 동안 2∼4㎜ 늘어난 것을 밝혀냈다. 2000년 12월에

    중앙일보

    2002.10.17 00:00

  • 지구의 사촌별 인간이 다가간다

    과학자들은 화성이 달보다도 인류에 더 중요한 별이라 생각하고 있다. 왜냐하면 우주에서 인간이 갈 수 있는 별 중 지구와 가장(?) 흡사하고 또한 가장 가깝게 있는 별이기 때문이다

    중앙일보

    2002.07.04 00:00

  • 고체윤활제 개발로 세계적 명성

    "기계용 고체 윤활제품은 얼마 전까지만 해도 전량 수입에 의존하던 것으로 첨단기술 없이는 개발하기 힘듭니다. 이 제품이 속속 국산화됨으로써 우주항공·원자력 등 특수 기계분야의 국

    중앙일보

    2002.07.04 00:00

  • 태양계 마지막 행성 명왕성 신비 벗긴다

    1930년 2월18일. 미국 애리조나주 로웰천문대에서 일하던 젊은 천문학자 클라이드 톰보에 의해 태양계의 마지막 행성인 명왕성이 발견됐다. 그로부터 70여년이 지난 지금 명왕성

    중앙일보

    2002.02.18 00:00

  • [과학단신] 우주정거장 공동 활용 협의 外

    ***우주정거장 공동 활용 협의 ◇ 한국항공우주연구원(http://www.kari.re.kr)은 일본우주개발사업단(NASDA)과 최근 국제우주정거장 공동 활용에 대한 협의를 시작했

    중앙일보

    2002.01.28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