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97학년도 대입전형 어떻게 달라지나

    18일 발표된 97학년도 대학입시 전형 계획은 지난달초 발표됐던 내용(본지 3월6일자 참조)가운데 빠져있었거나 미진했던 부분을 보강한 것이다. 내년 대학입시 요강의 특징은▶학생 선

    중앙일보

    1996.04.19 00:00

  • '종생부'이상과 현실 사이

    12일 교육부가 마련한 종합생활기록부 활용방안 워크숍에 참석한 각 대학 입시 관계자들은 난감한 표정을 감추지 못했다. 우리 교육문제의 고질병인 「한줄 세우기」입학시험을 벗어나 다양

    중앙일보

    1996.04.14 00:00

  • 종합생활부 大入활용 고교간 학력差 반영不許

    97학년도 대학입시에서 각 대학이 종합생활기록부를 전형자료로활용할 때 고교간 학력차를 반영해서는 안된다.비(非)교과영역은도외시하고 교과영역만 반영하거나,교과영역을 합산해 총점으로만

    중앙일보

    1996.04.13 00:00

  • 4.전문대학원

    4년제 대학 교육이 이미 대중화돼 있는 고학력화 사회에서 전문 직업인들에게 보다 높은 수준의 전문지식과 교양이 요구된다. 의사.법조인.성직자는 전문 자격증이 있어야 하고,사회적 영

    중앙일보

    1996.02.13 00:00

  • 97 대학입시 주요 대학별 전형 계획-경희대

    일반전형 정시모집의 경우 「종생부 40%+수능 40%+본고사10%+면접(점수화)10%」의 비율로 전형한다. 본고사는 96학년도와 마찬가지로 인문.자연계 공통으로 영어 한과목만을 실

    중앙일보

    1995.12.20 00:00

  • 96학년도 대입정원 어떻게 달라졌나

    ◇학부제 도입 확대=학부란 2개이상의 인접 또는 유사학문 영역을 하나로 묶는 것으로,이번 정원조정 결과 서울대.연세대.부산대등 17개 대학은 5개 학과 이상을 통합해 1백76개 학

    중앙일보

    1995.10.07 00:00

  • 수능 마무리 학습가이드-영역별 점검요령 수학

    어떤 문제에 접하고 실마리가 잡히지 않으면 곧바로 풀이집을 들춰보고 「아하…」하며 문제해결이 끝났다고 생각하겠지만 이런 방법은 비효율적이며 시간 낭비다.설혹 풀이과정을 읽고 이해했

    중앙일보

    1995.09.11 00:00

  • 5.31교육개혁 풀리지않는 궁금증 20문20답

    「5.31 교육개혁」 발표 이후 교개위와 교육부.일선교육청. 학교및 언론사에는 학부모.학생.교원의 문의전화가 빗발치고 있다.교육 소비자들이 가장 궁금해하는 내용을 20問 20答으로

    중앙일보

    1995.06.06 00:00

  • 종합생활기록부 외국의 운용사례-학업성취도.人性등 기록

    새로 도입되는「종합생활기록부」에 대해 기대와 우려가 엇갈리고있다. 인간교육.개성교육.사고력을 길러주는 교육의 기본틀이 될수 있다는 취지는 좋으나 과연 공정하고 합리적인 운영이 가능

    중앙일보

    1995.06.02 00:00

  • 하이텔.천리안 학습정보 한몫 "톡톡"

    컴퓨터시대의 만능재주꾼인 PC통신이 가정교사로서도 한몫을 단단히 하고 있다. 유명 입시학원인 서울 종로학원의 학습문제를 전국 어느곳에서나컴퓨터로 받아 공부할 수 있을뿐 아니라 외국

    중앙일보

    1995.04.30 00:00

  • 1.시리즈를 시작하며

    『맨 마지막에 서울을 뜰 분이 불 좀 꺼주시겠소?』(Willthe last person out of Seoul please turn the light off ?) 지난해 연말 무렵

    중앙일보

    1994.11.29 00:00

  • 2.美선 아예 교과과정에 포함

    『나는 모든 주에서 학생들의 사회봉사가 커리큘럼의 한 부분이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클린턴 대통령은 지난해 미국의 자원봉사 제도를 개혁하면서 학생 자원봉사를 교육,특히 교과과

    중앙일보

    1994.10.20 00:00

  • 개교 1년 한국예술종합학교 이강숙교장

    문화예술과 그 소프트웨어에 대한 전면적인 관심이 안팎으로 폭증하고 있다. 경제적인 여유.문민시대.국제화.첨단 기술의 정보화사회등의 낱말들 속에서 갈수록 삶의 질에 대한 관심이 높아

    중앙일보

    1994.05.01 00:00

  • 2차수능 “석달 헛고생”/「1차」보다 평균점수 15∼20점 떨어져

    ◎출제 잘못 난이도조절 실패/힘들게 공부하고 41점 “폭락”도/입시기관 예상 빗나가 제2차 대학수학능력시험이 출제위원회의 난이도조절 실패로 1차에 비해 15∼20점의 점수하락사태를

    중앙일보

    1993.11.18 00:00

  • 세계정상에 선 일본(선진교육개혁/내일을 여는 현지취재:2)

    ◎획일 벗고 창의·개성살리기/암기보다 스스로 깨닫게/대학마다 특색있는 전공교육/교양학점 없애고 전문분야 확실히 가르쳐 『일본은 교육분야에서도 세계적인 수준에 도달했다. 최근 일본교

    중앙일보

    1993.11.10 00:00

  • 고교교과과정의 모순(벼랑에선 교육 21세기대비위한 긴급진단:12)

    ◎학기당 22과목 “잡화상식 수업”/능력·적성 아랑곳없이 획일적 교육/고3 절반 “가망없다” 수업 중도포기 지난해 12월 서울 S대 기악과에 응시했던 K양(18)은 합격자명단에서

    중앙일보

    1992.03.06 00:00

  • 21세기 대비위한 긴급 진단(벼랑에 선 교육:5)

    ◎점수따기 굴레에 전인교육 “실종”/충동·이기적 인간 양산/경쟁서 뒤지면 쉽게 포기 탈선일쑤/객관식 학습평가로 사고도 단순화/가치관 부재 학교는 두말할 것도 없이 우리 사회를 지탱

    중앙일보

    1992.02.12 00:00

  • 학습부담 덜고 적성도 살린다/초중고 교육과정 어떻게 바뀌나

    ◎교련은 줄이고 환경과학 추가/실업계도 음악·미술 필수과목/국교 「바른생활」예절·질서분야 중점 새교육과정은 지난해 11월20일 「교육과정개정 연구위원회」가 치안을 교육부에 제출하기

    중앙일보

    1992.01.04 00:00

  • 수학능력시험(언어)(새 대입제도 허와 실:3)

    ◎전과목외 실용문까지 출제/신문·잡지·소설등 폭넓게 독서해야 대학수학능력시험중 언어영역시험은 대학에서 공부하는데 필요한 우리말 구사 기본능력을 측정하게 된다. 초·중·고교를 거치면

    중앙일보

    1991.04.04 00:00

  • 학교「특활」입시에 밀려 "찬밥신세"

    흔히 학교 교육하면 국어·영어·수학 등 교과목을 배우고 익히는「교과활동」만을 떠올리기 쉽다. 그러나 그것이 학교교육의 전부는 아니다. 학교교육은 교과활동과 함께「특별활동」이라는 또

    중앙일보

    1991.03.22 00:00

  • 고교교육수준 맞춰 논리적 사고력 측정/대입 적성시험 어떻게 치르나

    ◎언어·수리탐구·영어 3개 영역/백55문항에 2백점 만점/「다답형」등 객관식 문항을 개선 94학년도 대학입시부터 수험생이 필수적으로 치러야할 「대학교육 적성시험」에 대해 수험생과

    중앙일보

    1991.01.23 00:00

  • 고교 과목수 너무 많다(교육 이대로 둘 것인가:57)

    ◎이수교과 인문 26ㆍ자연 25개/외국의 두배 넘어 수박 겉핥기식 수업 자초 올해 K대 입시에 합격한 정모군(19)은 설날 연휴 마지막날인 1월28일 한달여 남은 대학입학을 앞두고

    중앙일보

    1990.03.06 00:00

  • 대입적성시험 수험생 부담만 늘린다 |93학년도 시행예정 「대입개선안 학부모논단」중계

    문교부가 지난해 내놓은 대학입시제도 개선안(93학년도부터 시행예정)은 과열경쟁을 해결하고 입시위주의 고교교육을 정상화하는데는 무력하다는 비판이 쏟아져 나왔다. 문교부관계자·학계인사

    중앙일보

    1990.02.02 00:00

  • 특별·봉사활동도 내신 포함

    문교부가 15일 중앙교육심의회에 상정한 대학입학시험제도 개선안은 한국대학교육협의회 입시제도 연구위원회가 8월28일 제시한 방안을 그대로 받아들여 골격은 똑같다. 따라서 문교부의 개

    중앙일보

    1989.11.16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