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시론] 녹조 일으키는 축산 분뇨와 생활하수

    [시론] 녹조 일으키는 축산 분뇨와 생활하수

    김범철 강원대 환경학과 명예교수·전 하천호수학회장 그동안 수질이 좋은 것으로 알려진 소양호 상류에서 최근 녹조(綠潮) 현상이 발생했다. 1973년 10월 소양강댐 완공 이후 처음

    중앙일보

    2023.08.18 01:09

  • 부산 코로나 안심 여행지, 해운대 말고 여기 10곳 가보라

    부산 코로나 안심 여행지, 해운대 말고 여기 10곳 가보라

    부산 절영해안산책로의 인증사진 명소 흰여울 해안터널. 손민호 기자 여름 휴가철이 다가온다. 코로나시대 여행자는 고민이 깊어진다. 휴가는 가고 싶은데, 안전을 생각하지 않을 수 없

    중앙일보

    2021.06.16 05:05

  • 정부 "앞으로 대규모 댐 건설 국가가 주도하지 않겠다" 선언

    정부 "앞으로 대규모 댐 건설 국가가 주도하지 않겠다" 선언

    지난해 8월 25일 북한강 소양강댐이 6년 만에 수문을 개방하고 방류했다. 소양댐은 29억t의 물을 저장할 수 있는 대규모 댐이다. [중앙포토] "앞으로 국가가 주도하는 대규모

    중앙일보

    2018.09.18 12:00

  • 국내 1호 하수처리장, 과학관으로 재탄생한다

    국내 1호 하수처리장, 과학관으로 재탄생한다

    국내 1호 하수처리장인 중랑물재생센터가 오는 9월 과학관으로 재탄생한다. 중랑물재생센터는 그 이름대로 지난 40년간 강북구 등 10개 자치구의 생활하수를 정화해 온 곳이다. 서울시

    중앙일보

    2017.08.08 11:41

  • 가축분뇨서 도시가스…소매곡리의 변신

    가축분뇨서 도시가스…소매곡리의 변신

    박근혜 대통령은 30일 오전 강원도 홍천군 북방면 소매곡리 친환경에너지타운을 방문해 가축분뇨 가스화시설과 태양광 발전시설 등을 둘러봤다. 이성오 강원도시가스 대표이사(오른쪽)가 박

    중앙일보

    2016.07.01 01:44

  • 신에너지·바이오…차세대 먹거리 발굴 잰걸음

    신에너지·바이오…차세대 먹거리 발굴 잰걸음

    SK는 그룹 주력사업인 에너지·화학·정보통신·반도체 분야의 글로벌 협력을 강화하고 신에너지·IoT·바이오 영역에서 차세대 먹거리를 발굴하기 위한 투자를 강화한다. SK하이닉스 임직

    중앙일보

    2016.03.16 00:02

  • 소똥 발효시켜 가스 생산…홍천에 친환경에너지타운

    소똥 발효시켜 가스 생산…홍천에 친환경에너지타운

    가축 분뇨 등을 발효시켜 도시가스를 만드는 홍천 친환경에너지타운. [사진 홍천군]도시가스 2000㎥, 퇴비 10t. 강원도 홍천 친환경에너지타운에서 하루에 생산되는 에너지와 자원의

    중앙일보

    2015.12.11 02:02

  • 서울시 분뇨처리 안 된 하수 무단 방류

    서울시가 최근 3년간 분뇨 처리가 안 된 하수를 한강으로 무단 방류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7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최봉홍 새누리당 의원이 환경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중앙일보

    2015.09.07 12:30

  • 축산폐수 소각 장치 전국 최초로 발명 … 분뇨 처리 쉬워져

    천안지역 축산농가의 고민인 축산분뇨 처리 문제가 해결될 전망이다. 천안시가 축산폐수 처리 기술을 개발해 환경오염 예방은 물론 축산업 발전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시는 삼성엔

    중앙일보

    2014.04.03 00:02

  • 악취 벌레 들끓던 쓰레기섬, 지금 가보니 '헉'

    악취 벌레 들끓던 쓰레기섬, 지금 가보니 '헉'

    13일 오전 낙동강 하구의 을숙도 갯벌. 청둥오리·고방오리 700여 마리가 무리를 지어 한꺼번에 날아올랐다. 파란 하늘이 이내 철새들의 날갯짓으로 뒤덮였다. 좀처럼 보기 힘든 장관

    중앙일보

    2013.01.15 00:03

  • 분뇨·오폐수 정화 연구에 30년 바친 ‘똥 박사’ 박완철

    분뇨·오폐수 정화 연구에 30년 바친 ‘똥 박사’ 박완철

    박완철 박사가 합천축산폐수처리장에서 시커먼 폐수(오른쪽 용기)가 정화돼 깨끗해진 물을 들어 보이고 있다. [중앙포토]‘똥 박사’의 기술을 거치면 아무리 독한 축산 폐수라도 깨끗한

    중앙일보

    2011.11.14 00:28

  • 혐오시설 모인 서구 “소음·악취 보상하라”

    혐오시설 모인 서구 “소음·악취 보상하라”

    경부선철도·구마고속도로·위생처리장·음식물쓰레기자원화시설….  대구시 서구 상리동 속칭 가르뱅이 마을을 둘러싼 시설이다. 서구의 서쪽 끝인 이 마을에는 365가구에 1200여 명이

    중앙일보

    2011.11.07 01:29

  • 태양광·신재생 에너지 시설 … 지자체는 ‘그린 먹거리’ 만들고

    태양광·신재생 에너지 시설 … 지자체는 ‘그린 먹거리’ 만들고

    내년 완공을 목표로 건설 중인 시화호 조력발전소를 하늘에서 내려다본 모습. 설비용량이 25만4000㎾로 세계에서 가장 큰 규모다.이산화탄소(CO2) 발생량을 낮추는 데에는 생산활동

    중앙일보

    2009.06.30 00:06

  • “한~중 해저터널 뚫겠다”

    “한~중 해저터널 뚫겠다”

    만난 사람=고대훈 내셔널 데스크  김문수(사진) 경기지사는 “과거 경기도는 서울의 화장장이나 분뇨처리장만 받아들이는 달걀의 흰자였지만 앞으로는 서울처럼 노른자 노릇을 하겠다”고 말

    중앙일보

    2008.01.17 05:43

  • [부산·울산·경남 뉴스 포커스] 1월 24일

    *** 자치 행정 경남 고성군은 23일 고성읍 송학리 환경시설관리사업소에서 하수종말처리장 준공식을 가졌다.1998년 공사에 들어가 총 사업비 2백63억원이 투입돼 4년6개월 만에

    중앙일보

    2003.01.23 19:15

  • 2부-③ 인천 경제자유구역 개발: 동북아 '비즈니스 중심' 건설 야심

    그동안 논란을 벌였던 경제자유구역 법안이 14일 국회 본회의를 통과함으로써 인천의 송도신도시·동아(서북부)매립지·영종도 등을 개발하는 사업이 큰 힘을 받고 있다. 안상수(安相洙)

    중앙일보

    2002.11.18 00:00

  • 경기북부지역 하수처리장 증설

    경기도 제2청은 “오는 2005년말까지 9천8백58억원을 들여 임진강과 한탄강 ·북한강 ·한강 수계 10개 시 ·군에 하수종말처리장 36곳·분뇨처리장 4곳 ·축산폐수공공처리장 3곳

    중앙일보

    2001.12.08 00:00

  • 신안군, 지붕있는 쓰레기 매립장 침출수 적어 예산 절약

    지붕을 씌운 쓰레기매립장이 등장, 설치.운영 비용을 절감하는 모델로서 관심을 끌고 있다. 신안군은 지난해 11월 신의면 상태도에 착공한 넓이 5백여평, 매립가능량 3천7백여t의 쓰

    중앙일보

    1999.10.13 00:00

  • 충남 서산의 인공호수인 간월호.부남호 썩어가

    충남 서산의 대표적인 인공호수인 간월호와 부남호가 죽어가고 있다. 24일 오전 충남서산시고북면봉생리에 위치한 수로는 물이 썩어 악취를 심하게 풍기고 있었다.물위 곳곳에는 축산오물로

    중앙일보

    1997.06.25 00:00

  • "독도 접안시설.원형 보존 힘쓸 터" 정종태 울릉군수

    울릉군수가 가장 신경쓰이는 곳은 무엇보다 독도다. 섬을 지키는 일은 군과 경찰의 몫이지만 잘 관리하는 문제가 울릉군수에게 맡겨져 있기 때문이다. 정종태(鄭宗泰)울릉군수는 “그래서

    중앙일보

    1997.01.30 00:00

  • 충북 신통리등 마을주민들 상류쪽 오수로 하천 오염 염려

    충북진천군초평면신통리.하산리등 15개 마을주민들은 요즘 마을하천이 오염될까 좌불안석이다.상류쪽 진천.음성 광역쓰레기매립장이 언제 쓰레기침출수등 오수를 몰래 흘려보낼지 모르기 때문이

    중앙일보

    1996.07.04 00:00

  • 주공아파트 정화시설 설치안해 하수.분뇨 하천통해 한강오염

    대한주택공사가 한강변에 대단위 아파트를 건립하면서 오수정화처리시설도 설치하지 않고 아파트를 준공,입주시키는 바람에 하루 7백20의 생활하수와 분뇨가 하천을 통해 그대로 한강으로 흘

    중앙일보

    1996.06.20 00:00

  • 11.의령.함안

    조선조 선조(宣祖)25년(1592년)임진왜란 당시 현고정(懸鼓亭)에 앉아 지필묵(紙筆墨)을 벗삼던 의령의 한 선비가 고을이 왜병들의 침략을 받아 순식간에 불바다로 변하자 분연히 일

    중앙일보

    1994.11.12 00:00

  • 9.금호강 일대

    금호강은 한마디로 물이 없는 죽은 강이다. 맑은 물도 괴면 썩게 마련인데 하물며 물이 없는 강이 썩는 것은 당연한 일이 아닌가. 금호강의 하천유지수를 확보하기 위해 임하댐에 도수로

    중앙일보

    1994.10.29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