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홍콩 중문대 한국연구과정 개설

    [홍콩=劉尙哲특파원]홍콩대학과 함께 홍콩의 양대 명문대학으로일컬어지고 있는 홍콩중문대학(香港中文大學)에 첫 한국연구과정(Korean Studies Program)이 개설된다. 중문

    중앙일보

    1995.09.04 00:00

  • 장덕진,『연해주 발해유적』보고서 발간

    ◇張德鎭대륙연구소 회장은 최근 국내 발해사 연구증진과 이해를도모하기 위하여 첫 해외 공동발굴 성과물인「러시아 연해주 발해유적」보고서를 발간,각 대학 도서관.박물관.관련 전공학자및

    중앙일보

    1995.03.20 00:00

  • 5.16=政變 4.19=혁명-국사교과서 개편案

    96학년도부터 중.고교 국사교과서에 4.19의거는 「4월혁명」으로,5.16군사혁명은「5.16군사정변」으로 기술되게 된다. 또 여수.순천반란사건은「여수.순천사건」으로 이름이 바뀌는등

    중앙일보

    1994.09.01 00:00

  • 고고학연구도 정치선전 이용-북한연구 특집을 통해본 실태

    ◇考古學界 동향=한민족의 형성.진화과정이 인류사의 보편적 발전단계를 거쳤음을 증명하려는데서 출발한 北韓 고고학은 60년대들어 연구방향및 서술체계에서 전투적 선동성을 띠기 시작했다.

    중앙일보

    1994.04.26 00:00

  • 중국내 한국학연구 본격화-국제교류재단서 연구비등 제공

    중국내 유명대학과 국가연구기관들이 올해부터 韓國學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와 자료수집에 들어간다. 국제교류재단(이사장 孫柱煥)측은 최근 北京大.上海 復旦大.延邊大.遼寧大.北京語言文化大

    중앙일보

    1994.03.28 00:00

  • 우리역사 새로쓰기 첫결실 신편한국사 고려편 일부 출간

    선사시대부터 현대까지 반만년 우리역사를 총60권에 담아내는 국사편찬위원회(위원장 朴永錫)의 방대한 역사 새로쓰기 작업이 드디어 첫 결실을 보게됐다. 지난 89년부터 『신편 한국사』

    중앙일보

    1994.01.07 00:00

  • 연구 지원 대상자 등 발표

    고려대 민족 문화 연구소 (소장 정재호)는 최재석 교수 등 93년도 지훈 국학 연구 조성비 지급 대상자 및 연구 과제를 선정, 발표했다. 지훈 국학 연구 조성비는 고 조지훈 선생의

    중앙일보

    1993.07.22 00:00

  • 사회·교양

    □…MBC-TV 특집다큐멘터리 『발해, 천년만의 해후』(12일 밤10시55분)=「수이푼강, 그 슬픈 천년」. 한국 고고학사상 최초의 해외 발굴인 발해 유적 발굴과정을 심층취재, 잊

    중앙일보

    1993.07.12 00:00

  • MBC 『발해 천년만의 해후』

    MBC-TV는 한국고고학 사상 처음으로 발해유적 발굴과정을 심층취재, 잊혀진 발해사의 실체를 재조명하는2부작 특집 다큐멘터리『발해, 전년만의 해후』를 12∼13일 밤 10시55분에

    중앙일보

    1993.07.09 00:00

  • 발해사 국제학술회의

    정재호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소장은 우리역사의 일부인 발해사의 올바른 이해를 위해 한국·러시아·중국·일본의 관련학자를 초청, 26일 오전10시 고려대 경영대 강당서 발해의 민족형성과

    중앙일보

    1993.03.25 00:00

  • "발해 말갈족은 고구려 계"

    발해의 지배층뿐 아니라 피지배층 다수가 모두 고구려인 이었다는 새로운 주장이 학계에서 제기돼 눈길을 끌고있다. 발해의 지배층은 고구려 유민, 피지배층은 이민족인 말갈인 이라는 것이

    중앙일보

    1993.03.18 00:00

  • 민족사 바로 세워야 국가발전

    『다른 나라들은 자신들의 역사와 민족을 제대로 알리는데 많은 노력과 자원을 투입하는데 비해 우리는 왜곡된 역사를 바로 잡는데 너무 무성의한 것 같습니다 남이 같은 생각을 공통적으로

    중앙일보

    1992.05.21 00:00

  • 흑룡강성 발해왕릉 본격조사 중국 발해사 연구회 주국침 이사장

    중국의 동북3성으로 불리는 흑룡강·요령·길림성은 발해의 옛 강역이기도 하다. 이 중에서도 흑룡강성은 발해시대의 유적이 가장 많다. 지난해말 처음으로 이 성의 삼릉향에서 발해왕릉이

    중앙일보

    1992.02.15 00:00

  • "벽화 고구려풍습 따랐다"|발해왕릉 첫발굴 의미

    흑룡강성에서 발견된 발해왕릉 은 수수께끼로 남아있던 발해사의 편린을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큰 의의를 갖는다. 왕릉발굴은 이번이 처음이어서 특히 앞으로 출토 유물의 조사 결과에

    중앙일보

    1991.12.12 00:00

  • 발해왕릉(분수대)

    발해는 우리 국사에서 「후고구려」로 볼수도 있는 묻혀진 역사의 한 장이다. 『구당서』는 「본래 고구려의 별부 출신인 대조영이 계루의 옛땅에 발해국을 세웠다」고 기록하고 있다. 계루

    중앙일보

    1991.12.12 00:00

  • 발해왕릉 사상 첫 발굴/흑룡강성서/벽화·철제 화살촉·인골등 출토

    발해사 연구에 획기적 돌파구/중국 신화통신 보도 【홍콩=전택원특파원】 중국 흑룡강성에서 사상 처음으로 발해시대의 왕릉을 발굴,발해사연구에 획기적인 돌파구가 마련됐다고 관영신화통신

    중앙일보

    1991.12.11 00:00

  • 발해사의 이해 임상선 엮음|일본 학자들 연구 논문 정리

    이웃 일본에서는 발해사를 어떻게 이해하고 있으며 연구의 현재적 수준과 방향은 어떤가. 임상선씨가 펴낸『발해사의 이해』는 2차 대전 종전 이후 일본 학자들에 의해 발표된 발해사 연구

    중앙일보

    1990.09.02 00:00

  • 제4부(10) 동국대 조사단의 일본 학술기행|북륙지방 곳곳에 "발해와 교류" 유적

    동경에서의 체류기간은 박물관을 돌아보는 것만으로 끝나버렸다. 남은 일정도 다시 이틀간 교토(경도)·나라(나량)를 견학하는데 할애했다. 특히 나라는 동경박물관에서 본 헤이조쿄(평성경

    중앙일보

    1990.05.22 00:00

  • 불상벽돌등 발해유물|2백여점 선보인다

    국내에서 유일하게 발해유물들을 보관하고 있는 서울대박물관(관장 임효재)이 12일부터 31일까지 서울대도서관 6층 전시실에서 「발해유물특별전」을 갖는다. 이번에 공개되는 유물들은 발

    중앙일보

    1990.03.10 00:00

  • 이달의 「대륙연구」강좌

    중앙일보사가 북방 교류에 대한 독자들의 높은 관심에 부응하여 재단법인 대륙연구소및 대한상공회의소와 공동으로 주관하는 「대륙연구」12월 강좌의 강사진과 강좌내용이 위와 같이 결정되었

    중앙일보

    1989.12.06 00:00

  • 개편되는 고교 교과서|책5권 줄어 학습량 알맞게

    88년4월 문교부의 제5차 고등학교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교과용도서의 개편·편찬작업이 마무리됐다. 90학년도 신입생부터 사용, 92학년도에 가면 전학년이 사용하게 될 새 교과서는

    중앙일보

    1989.11.30 00:00

  • 부여·발해 사료 찾기 활발

    본지와 대륙연구소·대한상의가 공동 주관하는 제9차 「목요대륙강좌」가 9일 오후 5시 대한상공회의소 2층 중 회의실에서 열렸다. 이날 강좌의 연사는 고려대 김정배 교수로 제목은 「중

    중앙일보

    1989.11.11 00:00

  • 사회·교양|발해고토 만주벌 찾아

    □…KBS 제1TV『8·15 최초조명』(9일 밤10시20분)-「발해, 그 터를 찾아서」. 잃어버린 역사의 터전인 만주벌, 그 가운데서도 흑룡강성의 경박호와 그 주변, 길림성의 돈화

    중앙일보

    1988.08.09 00:00

  • 「주체성」강조…학계주장반영|국사교과서 개편방향과 문제점

    지난 5일 국사교육심의회(위원장 변태섭)가 확정, 발표한 국사교과서 편찬준거안(개편방향안)은 지난 3월의 시안에 비해 이른바 재야학자들이 강조한 「주체성」을 반영한 항목을 신설한

    중앙일보

    1987.06.08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