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도깨비' F-4 뜨면 질겁했다…北 "날래 내리라우" 도망 바빠 [이철재의 밀담]

    '도깨비' F-4 뜨면 질겁했다…北 "날래 내리라우" 도망 바빠 [이철재의 밀담]

    50년 넘게 대한민국 영공을 지키던 ‘팬텀기’가 퇴역을 명 받았다.   2019년 10월 1일 대구 공군기지(제 11전투비행단)에서 열린 제71주년 국군의 날 기념 행사에서 F-

    중앙일보

    2024.01.28 05:00

  • [카드뉴스] "실제상황입니다. 인천이 폭격당하고 있습니다"

    [카드뉴스] "실제상황입니다. 인천이 폭격당하고 있습니다"

     Our History 페이스북에 잠깐 오셔서 '좋아요'를 꾸욱 눌러주세요!https://www.facebook.com/ourhistoryO[Story O] 미그기 귀순/  "국민

    온라인 중앙일보

    2016.05.24 19:55

  • 국회 본회의-지상 중계

    ▲허경만 의원 (신민)=대통령은 개헌의 필요성을 인정하고 개헌하겠다고 했는데 총리는 그때 가서 결정될 문제라 하니 어느 말을 믿어야되나. 개헌의 필요성과 불가피성을 인정하면서 89

    중앙일보

    1986.03.27 00:00

  • "나토에 갈 무기 절반 한국에 보냈죠"

    6·25때 미7사단장으로 참전했었고 55년 다시 유엔군 사령관으로 한國에 왔던 「라이먼·렘니처」장군(86)은 지금 강국무성 북대서양조약기구 (나로) 연락 사무소의 방 한칸을 얻어

    중앙일보

    1985.06.25 00:00

  • (100)프란체스카 여사 비망록 33년만에 공개

    대통령은 경북 도청을 순시하고 청년단들을 방문하여 격려해주었다. 국방부장관은 깨끗이 청소해 놓은 집으로 우리를 안내했는데 이 아담한 집을 임시숙소로 정했다고 말해 주었다. 북괴의

    중앙일보

    1984.02.08 00:00

  • 호요방 발언속의 「변화」

    중공도 한반도에서 모험이 따르는 통일 보다는 분단 현실을 받아들여 평화와 안정을 추구하고 있음을 스스로 나타냈다. 이것은 변화보다는 현상고정(스데이터스 쿼)의 선택을 의미한다. 일

    중앙일보

    1983.11.29 00:00

  • (3673)제79화 육사졸업생들(126) 38선 무력도발

    해방후 미군과 소련군이 진주하여 38선 경비를 맡았을때는 쌍방간의 충돌은 전혀 없었다. 그러나 국군과 북괴군이 창설되고 전방경비를 이들이 분담하면서 긴장이 고조되더니 48년후반에

    중앙일보

    1983.03.29 00:00

  • "미군철수 주장한 일없다"|검찰-김현장 피고인의 1문1답 내용

    검찰과 김현장 피고인의 일문일답 내용은 다음과 같다. -(최병국 검사)의식화 훈련 내용이 농업의 희생 등으로 부익부 빈익빈 현상이 필연적이며 노동자·농민·학생들을 의식화시켜 투쟁하

    중앙일보

    1982.06.15 00:00

  • 권력남용 우려있는 규제 완화·철폐(답변)|여야 영수회담 주선할 용의는 없나(질문)

    ▲이경숙의원(민정)질문 = 외교정책의 기초와 목표를 수립하는데 있어 이론적인 외교정책과 실질적인 외교를 조화시키는 것이 문제다. 외교관의 복무자세를 자주적이고 실리적이며 능동적으로

    중앙일보

    1982.03.05 00:00

  • "국토방위의 간성"

    33번째 국군의 날을 맞는다. 31년전 북괴군의 남침으로 시련에 빠졌던 우리국군은 9·28수도수복에 이어바로 이날 38선을 돌파, 북진을 개시했다. 국군의 날은 그것을 기념해서 제

    중앙일보

    1981.10.01 00:00

  • 외무-국무위 연석회의 중계

    ▲노신영외무장관보고=SR-71기 피격사건과 관련, 미정부가 중·소에 전달한 입장에 대해 통고 받았다. 독도는 역사적으로나 국제법적으로 보아 엄연한 한국의 영토임에도 불구하고 일본순

    중앙일보

    1981.09.03 00:00

  • "주한미군 유지하는건 미국익때문"

    스스로 『나는한국인의친구』라고 말하는 친한인사「존·싱글로브」 전주한미군참모장 (60)이 「미자유아시아위윈회 국가안보고문단」의장 자격으로 한미친선협회의 초청을 받아 방한중이다. 그가

    중앙일보

    1981.08.10 00:00

  • "한-북 경협 한차원 높이고 싶다"|「마르코스」북대통령, 본사 김영희논설위원 서면질의에 답변

    「마르코스」필리핀 대통령은 6일로 예정된 전두환대통령의 필리핀방문은 한북상호간의 이익이 되는 경제적인 파트너십을 늘리는데 궁극적인 목표가 있다고 중앙일보가 제출한 서면인터뷰에서 말

    중앙일보

    1981.07.03 00:00

  • 한반도평화유지공동노력에 합의

    【워싱턴=김건진특파원】「레이건」미대통령과 「스즈끼」(영목선행) 일본수상은 8일 한반도는 일본을 포함한 동「아시아」의 평화와 안전에 중요하며 미지상군의 한국주둔은 한반도 평화유지에

    중앙일보

    1981.05.09 00:00

  • 「팀·스피리트81」훈련

    한국의 안보역량과 안보경경이 최근 크게 강화되고있다. 전두환대통령의 역사적인 미국방문과그에 따른 한미정상회담이 북괴위협에 대처하는 두나라의 공동노력을 크게 강화할것임은 의심할 여지

    중앙일보

    1981.02.02 00:00

  • (4)|대한 정책…「서울의 위치」한 차원 높여

    「레이건」 미국 대통령은 지난 20일 취임식을 마친 후 바로 그날 오후에 한국의 전두환 대통령의 「워싱턴」 방문 초청장에 서명했다. 전 대통령은 이 초청장을 기꺼이 수락, 한미 정

    중앙일보

    1981.01.24 00:00

  • 주한 미군 무기 증강

    【워싱턴 16일 동양】「레이건」 차기 미 행정부의 정책 자문에 응하고 있는 보수적 연구단체인 「헤리티지」 재단은 16일 한반도에서 북괴의 남침을 저지하기 위해서는 「레이건」차기 행

    중앙일보

    1980.11.17 00:00

  • "레이건, 한미관계 보다 강화할 생각"

    【워싱턴=김건진 특파원】4일 실시된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로널드·레이건」공화당 후보가 당선되고 미 상원에서도 공화당이 26년만에 다수당의 위치를 차지하는 한편 하원·주지사 선거에서

    중앙일보

    1980.11.06 00:00

  • 한국 정치안정 이룩할 마지막 기회|미국저명 칼럼니스트「로버트·노바크」씨 본사에 특별기고|사회정화, 국민의 폭넓은 지지획득|경제회복-계엄해제-새헌정구축이 과제

    내가 최근 한국을 방문했을 때 가장 크게 받은 인상은 한국에 널리 퍼져있는 어떤 진지한 분위기의 감정에 대해서였다. 이 나라가 진정한 정치적 안정을 이룩할 때는 바로 지금일 뿐 아

    중앙일보

    1980.09.20 00:00

  • 북괴 「기습부대」강화

    【동경=김두겸 특파원】 미의회 조사단은 지난8일『주한미군철수와 동북「아시아」안전문제』라는 보고서에서 북괴는 강력한 군비증강, 특히 기습용 부대를 크게 강화해 한국에 비해 군사적 우

    중앙일보

    1980.08.11 00:00

  • 한국 등 우방에 군사 도발하면 값비싼 대가 치를 것

    【디트로이트=김건진 특파원】미 공화당은 14일『「카터」행정부가 갑자기 주한 미군 철수를 선언함으로써「아시아」지역의 미 우방들로 하여금 미국과의 동맹 관계를 의심하도록 만들었다』고

    중앙일보

    1980.07.15 00:00

  • (상)"무쇠덩이" 남침에 "맨주먹"뿐이었다

    한국전쟁발발 3O주년-. 1950년 6월25일 새벽4시. 유난히 안개가 자욱했던 서해안 옹진반도로부터 서해안까지의 3백km 38선 전역에서 북괴는 소제T-34종[탱크]를 앞세우고

    중앙일보

    1980.06.23 00:00

  • (2848)-제68화 개헌비사 제삼공화국개헌(85)펜을 놓으며…

    필자는 그동안 제3공화국헌법을 만드는 과정에서 있었던 일들을 생각나는대로 간추려보았다. 얘기를 끝내려고하니 미진한 점이 한둘이 아닌것을 느끼게 된다. 특히 당시의 사진들을모두 모아

    중앙일보

    1980.06.21 00:00

  • 북괴 휴전선 땅굴 「10여 개」나 더 있다

    북괴는 남북한대화가 재개된 지금도 김일성의 직접적인 지령에 의해서 휴전선 부근에서 땅굴공사를 계속 중에 있으며 지금까지 발견된 3개의 「터널」이외에도 추가로 10개의「터널」이 완료

    중앙일보

    1980.02.26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