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정병상 교수 '그림으로 보는 불교이야기' 출간

    '아는만큼 느낀다' 는 말이 있다.유홍준교수가 '나의 문화유산답사기' 서문에서 쓰면서 널리 알려진 말이다.보고 느끼려는 대상이 어떤 것이든 느끼기 위해선 알 필요가 있지만 '불화(

    중앙일보

    2000.02.24 00:00

  • 90년대 최고의 책은 '혼불' … 교보문고 90년대의 책 100선

    90년대 최고의 애독서는 故 최명희 작가의 '혼불'과 유홍준교수의 '나의 문화유산답사기'. 교보문고는 1일 교육계와 언론계, 출판계 등 각 분야의 전문가 100명으로부터 복수추천을

    중앙일보

    1999.12.02 18:16

  • [지식인 지도가 바뀐다] 30. 영남대 인문학파

    신 라.고려시대 영남지방 출신의 최고 석학으로 꼽히는 두 인물이 있다. 명승 원효 (元曉) 와 '삼국유사' 를 남긴 일연 (一然) 이다. 대구시내를 벗어나 동남쪽으로 달려가다 보면

    중앙일보

    1999.09.21 00:00

  • [대담] 20년만에 귀국 홍세화씨·친구 유홍준교수

    20년 2개월여만에 고국 땅을 다시 밟은 홍세화 (52) 씨. 김포공항에 도착하자 가족과 지인들의 환영을 받으면서 평소 가고 싶었던 옛 교정이 있던 대학로 마로니에 공원으로 향했다

    중앙일보

    1999.06.15 00:00

  • [지식인 지도가 바뀐다] 8.서울대 미학과 출신들

    시인이자 사상가 김지하, 문화 기획자 강준혁, 문화유산 답사기의 유홍준, 시인 황지우, 영화기획자 신철, 신예 문화 독설가 진중권…. 모두 한국 문화계에서 독보적인 영역을 개척한

    중앙일보

    1999.04.20 00:00

  • [북한문화유산답사기]28.연재를 마치며

    아직 나의 북한 이야기가 다 끝난 것은 아니지만 개성과 백두산 답사기는 책의 일감으로 남겨두고 신문연재는 여기서 끝맺고자 한다. 돌이켜 보건대 지난해 1월 12일부터 시작한 제1부

    중앙일보

    1999.02.27 00:00

  • [북한문화유산답사기] 27. 그들이 사는 방식

    "그들은 어떻게 살디?" 내가 북한에 다녀온 뒤 개인적으로 가장 많이 받은 질문이다. 그리고 온 국민이 북한에 대해 가장 궁금해 하는 것도 이 점일 것이다. 그러나 나는 이 질문에

    중앙일보

    1999.02.20 00:00

  • [북한문화유산답사기] 26. 북한의 향토음식

    답사에는 세가지 큰 즐거움이 있으니 하나는 일상에서 벗어나는 기쁨이요, 하나는 아름다운 자연과 문화유산을 보는 기쁨이요, 하나는 맛있는 향토음식을 먹는 기쁨이다. 특히 북한 답사에

    중앙일보

    1999.02.13 00:00

  • [북한문화유산답사기] 24.북한의 현대수예

    북한이 남한에 대고, 또는 세상에 내놓고 자랑할 수 있는 현대예술 장르를 나는 수예라고 생각한다. 묘향산 입구에는 국제친선전람관이라고 해서 김일성 주석과 김정일 위원장이 외국 사절

    중앙일보

    1999.01.30 00:00

  • [북한문화유산답사기]23.조선화의 제한된 성공

    북한이 현대미술에서 당당히 자랑스럽게 내세우는 장르는 조선화 (朝鮮畵) 다. 지금 남한에서 동양화 (東洋畵) 혹은 한국화 (韓國畵) 라고 부르는 것에 해당한다. 그러나 동양화와 한

    중앙일보

    1999.01.23 00:00

  • [북한문화유산답사기]22.북한의 현대미술

    이제까지 북한 답사기를 쓰면서 나는 문화유산과 자연을 통해 다소는 의도적으로 남북한의 민족적 동질성을 찾으려고 노력했다. 그러나 이제부터 내가 이야기하려는 현대미술의 경우는 차라리

    중앙일보

    1999.01.16 00:00

  • [북한문화유산답사기]21.조선미술박물관의 겸재

    얼마 전에 열린 한 문화재 관계 세미나장에서 제자뻘 되는 후배가 정감의 표시로 가볍게 던진 인사말이 내게는 약간 당황스러웠다, "선생님은 역시 겸재 (謙齋) 를 별로 높이 보지 않

    중앙일보

    1999.01.09 00:00

  • IMF성탄 확산… 가족끼리 알뜰파티, 문화강연등 인기

    광고회사 제일기획 PD로 일하는 권혁진 (權赫鎭.28) 씨는 24일 밤 해마다 고등학교 친구 10여명과 함께 가져온 성탄파티 겸 송년회를 조촐하게 치렀다. 지난해까지만 해도 고급

    중앙일보

    1998.12.25 00:00

  • [북한문화유산답사기]제2부18.조선미술박물관의 명화

    어느 나라를 가든 나의 여행은 곧바로 박물관 관람으로 이어진다. 그것이 나의 본업이고 본색이다. 하물며 평양에 와서 그렇게 보고 싶었지만 사진으로만 접해왔던 우리의 유물들을 보지

    중앙일보

    1998.12.12 00:00

  • 예술의전당서 '고은 시의밤-山河여…'

    지갑이 얇아, 몸이 바빠 4박5일 금강산 유람이 그림의 떡이라면 이건 어떨까. 단돈 만원 (학생 5천원)에 시인과 가객들의 안내를 받아 극장 객석에서 느긋이 다녀오는 두 시간 동안

    중앙일보

    1998.12.11 00:00

  • [북한 문화유산답사기]제2부 15.묘길상 마애불

    묘길상에 당도해 낮은 돌계단을 밟고 올라 마애불 (磨崖佛) 앞에 서는 순간 나도 모르게 "아 - " 하는 엷고 긴 외마디 소리를 지르고 말았다. 사진으로 보아 익히 알고 있고 단원

    중앙일보

    1998.11.21 00:00

  • [금강호 선상강의 유홍준 교수]

    중앙일보에 '금강산 답사기' 를 인기리에 연재중인 유홍준 (兪弘濬.영남대 박물관장) 교수가 18일 오후 8시30분 금강산 관광 첫 배인 현대금강호에서 '금강산 기행 선상 (船上)

    중앙일보

    1998.11.18 00:00

  • [북한문화유산답사기]제2부 14.묘길상 가는길

    보덕굴 답사를 마치고 다시 허궁다리 건너 분설담 앞에서 하산준비를 할 때는 오후 2시30분이 거진 다 됐다. 이제 하산해 표훈사를 거쳐 온정령 너머 금강산려관까지 돌아가자면 5시3

    중앙일보

    1998.11.14 00:00

  • [북한문화유산답사기]제2부 13.내금강 보덕굴

    금강산의 계곡미를 대표하는 만폭동은 금강대로부터 비로봉을 향해 올라가는 10리 계곡이다. 왼쪽으로는 향로봉 (香爐峰) , 오른쪽으로는 법기봉 (法起峰) 영봉들이 호기있게 내달리는

    중앙일보

    1998.11.07 00:00

  • 유홍준 교수 '나의 북한문화유산 답사기'상권 출간

    유홍준 교수 (영남대 조형대학) 의 지인 (知人) 들은 그의 답사기체를 '수다체' 라 한다. 화려하다가도 강연조의 어투가 나오는가 하면 때에 따라서는 사투리가 진하게 섞인 대화체가

    중앙일보

    1998.11.03 00:00

  • [북한문화유산답사기]제2부 12.만폭동의 바위글씨들

    천하명승 금강산이라고 해서 하나같이 다 아름답고 그 모두가 마음을 즐겁게 해주는 것은 아니었다. 특히 만폭동에 들어와서 나는 놀라움.비통함과 죄스러움을 한없이 느껴야만 했으니 그것

    중앙일보

    1998.10.31 00:00

  • [북한문화유산답사기]제2부 11.내금강 만폭동

    표훈사 뒤편 칠성각 옆으로는 만폭동으로 들어가는 산길이 나 있다. 청학봉 산자락 아래쪽 비탈을 깎아 화강석 막돌을 이 맞춰 예쁘게 다져놓은 옛길을 가면서 "등산길 하나도 옛사람들은

    중앙일보

    1998.10.24 00:00

  • [북한문화유산답사기]제2부 9.표훈사

    '강원도아리랑' 의 첫 구절은 "강원도 금강산 일만이천봉 팔만구암자…" 로 시작한다. 그토록 금강산엔 절이 많았다. 불교가 버림받던 조선왕조 초에도 1백개가 넘은 듯 '신증 동국여

    중앙일보

    1998.10.10 00:00

  • [북한문화유산답사기]8.금강산 백화암 부도밭

    삼불암 문바위에서 표훈사로 향할 때 나는 이 천하의 명승에서 뭣 때문에 싸움이 일어났을까를 생각하고 있었다. 너무 아름다워 혼자 차지하려는 마음이 일어난 것이었겠지, 그렇지 않으면

    중앙일보

    1998.10.03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