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CMA통장 좋다고들 하는데…부자 꿈 키워봐?

    생활재테크에 매우 유용한 금융상품으로 자리잡은 CMA통장-. 은행 보통예금처럼 돈을 맡기기만 하면 자동으로 CMA(자산관리계좌)에 투자돼 은행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이자를 얻게

    중앙일보

    2007.11.26 15:34

  • CMA 통장 가입만 하면 재테크 성공이네~

    ■ 동양종금 하루만 맡겨도 연 4.8% 금리 = 동양종금증권에서 판매하는 CMA자산관리통장은 종금형과 RP형 두 가지다. 종금형 CMA는 예금을 우량어음이나 채권 등에 투자, 그

    중앙일보

    2007.11.12 16:07

  • 동양종금 CMA통장 가입만 해도 재테크

    동양종금 CMA통장 가입만 해도 재테크

    국내 증권사 CMA의 원조라고 할 수 있는 동양종합금융증권의 ‘CMA자산관리통장’은 은행보다 높은 금리를 지급하고 각종 부가 서비스까지 제공하는 수시 입ㆍ출금식 상품이다. 예금자

    중앙일보

    2007.05.22 14:35

  • [CoverStory] 주택담보대출 꽉 막히니 …

    [CoverStory] 주택담보대출 꽉 막히니 …

    # 장면 1=9일 오후 3시 신한은행 서울 여의도지점. 나종서(44) 부지점장은 요즘 입이 마른다. 하루에 한 건 정도씩 들어오던 주택담보대출이 완전히 끊겼기 때문이다. 지난해

    중앙일보

    2007.02.13 18:51

  • [MONEY] 대출 금리 큰소리 떵떵치며 깎자

    [MONEY] 대출 금리 큰소리 떵떵치며 깎자

    최근 양도성예금증서(CD)와 금융채 금리가 오르면서 시중 은행의 대출이자도 가파르게 오르고 있다. 국민은행의 이번 주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최저 연 5.91%, 최고 연 6.91%다

    중앙일보

    2006.12.27 18:44

  • 은행마다 "수수료 면제요"

    은행마다 "수수료 면제요"

    수수료를 면제하는 은행들의 경쟁이 가열되고 있다. 가입할 경우 인터넷, 폰뱅킹 등 전자 금융 수수료를 면제해 주거나 CD나 ATM 등 현금 자동화 기기에서 현금을 인출할 때 수수

    중앙일보

    2006.11.20 14:34

  • 월급통장만 바꿔도 ^.^

    월급통장만 바꿔도 ^.^

    중견기업에 다니는 김모(39) 차장은 A은행과 10여 년 이상 거래해 온 단골 고객이다. 김 차장은 그러나 이 은행으로부터 수수료를 감면받아 본 적이 없다. 몇 달 전 대출받을

    중앙일보

    2006.08.30 17:48

  • 친구 1명 송금 수수료 면제

    친구 1명 송금 수수료 면제

    우리은행(www.wooribank.com)은 급여 이체 고객에게 금리우대 및 수수료면제 등을 제공하는 급여이체용 상품인 '우리 친구 통장'을 판매하고 있다. 이 은행에 따르면 이

    중앙일보

    2006.08.29 09:58

  • 손 바닥 위의 은행 '문 활짝'

    손 바닥 위의 은행 '문 활짝'

    ▶ LG텔레콤의 뱅크온.▶ KTF의 K 뱅크.▶ SK텔레콤의 M뱅크. 인터넷이나 휴대폰을 이용해서 은행 업무를 처리하는 인터넷뱅킹 및 모바일뱅킹 서비스 이용률이 크게 늘고 있다.

    중앙일보

    2006.04.17 10:23

  • 월급 자동이체 땐 ATM 수수료 면제

    신한은행이 통장에 급여만 이체하면 10여 개의 혜택을 한꺼번에 주는 '탑스 직장인 플랜 저축예금'을 23일부터 판매한다. 직장인 고객을 잡기 위해 개발한 이 상품은 만 18세 이상

    중앙일보

    2006.01.22 19:15

  • 로커스 김형순 사장 분식회계 시인…주주들에게 사과 글 올려

    주주님 여러분, 진심으로 죄송합니다. 1990년 창업 후 10년을, 1년 365일 출근하면서 어느 정도의 로커스를 이루어 놓을 수 있었습니다만, 저의 모든 노력에도 불구하고 200

    중앙일보

    2005.10.26 10:03

  • 애니·캐릭터·공연 등 문화콘텐트에도 '단비'

    다음달부터 문화상품도 무담보로 은행 대출을 받을 수 있다. 수익성이 있다고 판단되는 제품을 개발할 경우 기술신용보증기금의 보증을 받아 은행에서 돈을 빌릴 수 있다. 문화 콘텐트도

    중앙일보

    2004.09.22 18:13

  • 홍콩·뉴욕증시 '차이나 러시'

    중국의 간판급 대기업들이 홍콩.뉴욕 증시에 잇따라 상장되면서 '차이나 붐'이 일고 있다. 중국에서 내로라하는 자동차.통신.전자.부동산.유통업체들이 자금 조달과 기업 신용도.이미지

    중앙일보

    2003.12.15 18:01

  • '모바일 뱅킹' 영토 확장

    휴대전화를 이용한 금융 서비스가 갈수록 다양해지고 있다. 휴대전화로 쉽게 금융결제할 수 있는 편리함 때문에 이용자들이 크게 늘어나자 SK텔레콤.KTF.LG텔레콤 등 이동통신 업체들

    중앙일보

    2003.06.17 17:13

  • [부산·울산·경남 뉴스 포커스] 3월 12일

    *** 자치 행정 부산시는 활기찬 직장 분위기 조성과 능력 발굴 등을 위한 6개 분야 35 가지의 직원 사기 앙양책을 마련했다고 11일 밝혔다.열심히 일하는 직원에게 인센티브를 주

    중앙일보

    2003.03.11 19:08

  • [모바일/게임] 휴대전화 결제 업그레이드

    벤처기업에 다니는 윤우근(30)씨는 분당에서 강남 사무실까지 지하철로 출퇴근할 때 교통카드 대신 휴대전화를 출입구 인식기에 갖다 댄다. 돈을 찾을 때도 휴대전화를 ATM기에 대기만

    중앙일보

    2003.01.07 17:20

  • 출석확인·도서 대출 휴대전화로 OK '모바일 캠퍼스'

    숙명여대는 다음달부터 휴대전화로 학내 매점·식당 이용은 물론 도서 대출·출석 확인까지 할 수 있는 '모바일 캠퍼스' 서비스를 실시한다고 26일 밝혔다. 그동안 기존 학생증에 신용

    중앙일보

    2002.08.27 00:00

  • "수수료 싸고 편한데 은행은 왜 가요"

    주부 김명남(38·경기 고양)씨는 올들어 은행 업무를 처리하기 위해 은행에 간 적이 거의 없다. 인터넷뱅킹에 가입해 아예 집에서 대부분의 은행업무를 보기 때문이다. 金씨는 신용카

    중앙일보

    2002.07.29 00:00

  • [뉴스브리핑] 리젠트증권, 일은증권 합병 결정 外

    *** 리젠트증권, 일은증권 합병 결정 리젠트증권은 지난 8일 이사회를 열어 일은증권을 흡수.합병하기로 결정했다. 합병비율은 일은증권 한주당 리젠트증권 2.7828주를 배정한다.

    중앙일보

    2001.12.10 00:00

  • 콘텐츠진흥원, 3차 문화산업진흥기금 지원공고

    문화관광부 산하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원장 서병문)은 30일 우수 문화콘텐츠의 상품화와 판매촉진을 위한 제3차 문화산업진흥기금지원 계획을 공고했다. 총 150여억원을 연리 3.5%로

    중앙일보

    2001.11.30 13:37

  • 기업은행, 'Fine 모바일 뱅킹' 서비스

    기업은행은 4일 이동통신사의 무선인터넷 서비스에 접속해 은행거래를 할 수 있는 'Fine 모바일 인터넷뱅킹' 서비스를 실시한다고 밝혔다. 인터넷뱅킹 가입고객은 SK텔레콤 등 모든

    중앙일보

    2001.11.05 09:12

  • [뉴스브리핑] 동양현대종금과 합병 검토 外

    ***"동양현대종금과 합병 검토" 동양증권은 19일 "동양현대종금과의 합병을 검토 중"이라고 증권거래소에 공시했다. 이와 관련, 동양증권 관계자는 "합병 발표 시기 및 방법 등은

    중앙일보

    2001.10.20 00:00

  • `인터넷뱅킹 확산속 이메일뱅킹도 뜬다'

    인터넷을 이용한 금융거래가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이메일(e-Mail)을 이용한 메일뱅킹(Mailbanking)도 급속히 신장되고 있다. 16일 금융계에 따르면 메일뱅킹관련 선두주자

    중앙일보

    2001.08.16 09:16

  • 휴대폰 이용한 모바일 결제 큰 인기

    휴대폰으로 전화만 걸고 받는 사람은 머지 않아 '원시인' 취급을 받게 될 것 같다. 뉴스.증권투자.게임 등 정보단말기 역할 뿐만 아니라 '돈' 역할까지 휴대폰이 하고 있기 때문이다

    중앙일보

    2001.06.28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