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반달곰의 죽음

    중공민항기의 피납·귀환등 약간은 들은 기분이 채 가라앉기도 전에 뜻하지 않은 하나의 비보에 접하게 되였다. 설악산 마등령 정상 북쪽 2km, 속칭·범잔 바위골에서 밀렵꾼의 총을 맞

    중앙일보

    1983.05.27 00:00

  • 반달곰 한국엔 50여 마리 서식|설악산 곰 피살계기… 그 생태를 알아본다

    곰은 현재 6속7종을 헤아린다. 주로 지구의 북반구에 분포돼 있고 아프리카와 오스트레일리아에는 살지 않는다. 우리나라와 일본 시베리아 동쪽, 아무르 우수리 지역 등에 살고 있는 히

    중앙일보

    1983.05.24 00:00

  • 금렵해제 후의 문제

    금지되었던 수렵이 10년만에 해제되고 심산유곡에 다시 총소리가 울려 퍼지게 되었다. 금렵이 해제된 지역은 물론 강원도와 경남 거제일원에 한정된 것이지만 그 조치자체의 의미와 파문은

    중앙일보

    1982.11.08 00:00

  • 무주 설천면 청량·연천리 국내서 반딧벌레 가장많다

    ○…전북무주군설촌면지청량리와 소천리 일대는 우리나라 최대의 반딧벌레 서식지. 개똥벌레라고도 부르는 반딧벌레는 10여년전까지만해도 도시와 농촌지역에서 흔히 볼수있었으나, 농약과 매연

    중앙일보

    1982.09.09 00:00

  • 설악산

    설악산이 유네스코의 「생물권 보전지역」으로 지정됐다. 우리 나라에선 처음이다. 「생물권 보전지역」(Biosphere Reserves)은 유네스코가 1970년 총회에서 채택한 「인간

    중앙일보

    1982.09.02 00:00

  • 후조와 댐

    낙동강 하구개발문제가 다시 제기되고 있다. 그것은 국제자연보호연맹이 하구개발계획을 중지하도록 촉구하는 결의를 채택함으로써 제기된 것이다. 그 결의는 아직 공식적으로 우리정부에 전달

    중앙일보

    1981.11.06 00:00

  • 소수민족들이 사라져가고 있다.|기아·질병·개발·전쟁에 시달려

    한때는 대륙의 주인이었던 소수 미개종족들이 점차 지구상에서 사라져 가고있다. 현재 전 세계에 흩어져 있는 소수종족들은 2억 명으로 추산된다. 검은 대륙 아프리카에서부터 히말라야와

    중앙일보

    1981.09.18 00:00

  • 동식물생태 목록을 만든다

    한반도에 서식, 자생하는 동식물가운데 멸종될 우려가 있거나 학술적 연구가치가 있는2백여 희귀종에 대한 생태목록이 우리 나라에서 처음으로 만들어진다. 한국자연보존협회(회장 이덕봉)는

    중앙일보

    1981.03.17 00:00

  • 금렵완화

    고구려 무용총벽화에 수렵도라는 것이 있다. 말을 타고 달리는 무사가 몸을 돌려 달아나는 사슴을 향해 마악 활시위를 당기는 장면이다. 호랑이를 쫓아 말을 달리는 무사상도 있다. 7세

    중앙일보

    1980.10.09 00:00

  • 창경궁 흰사슴 새끼출산

    ○…창경원 흰사슴이 지난16일 암놈새끼1마리를 낳았다. 배에 있는 회색반점을 빼놓고는 온몸이 새하얀 이 흰사슴은 몸무게 3.5kg, 키 35cm. 사육사들은 이 새끼가 태어나자

    중앙일보

    1980.08.26 00:00

  • 용인자연농원 사불상 새끼 4마리 순산

    세계적 희귀동물인 사불상(사불상)이 6월 초순 용인자연농원에서 새끼 4마리를 순산했다. 우리 나라에서는 용인자연농원에만 있는 이 사불상은 이로써 모두 20마리로 늘었다. 사불상은

    중앙일보

    1980.06.27 00:00

  • 삼척 「강원도립양어장」|"물 속의 견우와 직녀" 산천어를 인공 증식한다

    「물 속의 견우·직녀」라는 산천어가 사이좋게 짝을 지어 지하수의 인공폭포 물줄기를 타고 하늘로 높이 날며 싱그럽게 뛰논다. 일생을 수컷은 청명계곡에서, 암컷은 수 천리 바다에 서로

    중앙일보

    1979.08.04 00:00

  • 고라니 새끼 세 마리 순산

    용인자연농원 고라니가 27일 새끼3마리를 낳았다. 새끼들은 흑갈색바탕에 흰 점이 박힌 털옷을 입고 있다. 이들은 태어난 직후 어미에게 걸음마를 배우기에 한창이다. 이로써 고라니 가

    중앙일보

    1978.06.29 00:00

  • 용인자연농원

    한여름을 방불케 하는 무더위 속에 용인자연농원의 들소 (일명 「아메리칸·비펄로」)와 사불상이 새끼를 낳았다. 지난 20일 태어난 새끼 들소는 수컷으로 몸무게는 35kg. 이로써 용

    중앙일보

    1978.05.24 00:00

  • 「버팔로」한 쌍 용인자연농원 입주|북미산 두 살짜리…미 목장주가 기증

    몸집이 크고 힘세기로 이름난 북미산 야생들소 「버팔로」 한 쌍이 미국 「콜로라도」주로부터 20시간의 긴 여행 끝에 3일 상오 김포공항에 도착했다. (사진) 「콜로라도」주에서 큰 목

    중앙일보

    1977.04.04 00:00

  • (22)다시 야생물의 천국으로…인도

    인도 북부지방은 맹수의 대명사격인 「벵골」호랑이를 비롯해 수많은 야생동물의 낙원이 되어 있었다. 북부뿐만 아니라 서부는 사자의 본거지이며 중부와 남부해안지방도 코끼리·사슴 및 조류

    중앙일보

    1976.11.15 00:00

  • (10)-캥거루

    뛸 때는 두발, 설 때는 세발, 누워있을 때는 네 발이지만 막상 걸을 때는 다섯 발이 되는 동물. 암컷은 배 앞부분에 보육낭이 있으며 그 속에 4개의 젖이 있어 어린 새끼를 이 주

    중앙일보

    1976.09.01 00:00

  • 캥거루

    싸울 때는 한 발, 뛸 때는 두발, 설 때는 세발, 누워있을 때는 네발이지만 막상 걸을 때는 다섯발이 되는 동물. 이러한「캥거루」는 또 새끼를 배에 달린 주머니(육아낭)에 넣고 다

    중앙일보

    1976.07.17 00:00

  • 희귀조 흑두루미를 생포

    【대전】국제보호조이며 우리나라 천연기념물 제2백28호(70년 10월30일 지정) 인 희귀조 흑두루미 1마리가 충남 부여군 석성면 증산리 논두렁에서 이마을 조대현씨(52)에 의해 지

    중앙일보

    1976.03.12 00:00

  • 인류 생존에 관련된 자연 환경 보존 문제-삼성문화재단 주관 한국 경제 「세미나」

    우리나라의 자연은 예로부터 조상들에 의해 아끼고 보호돼 왔다. 근래 인구의 증가, 수차의 전란, 최근까지 계속되고 있는 근대화의 물결은 자연의 개발과 그에 따른 파괴를 결정적으로

    중앙일보

    1975.12.05 00:00

  • 무분별한 자연파괴와 국제적 물가고 속|야생 수 값도 엄청난「인플레」

    무분별한 인간의 자연파괴와「인플레」의 영향으로 동물원의 재롱둥이인 동물 값도 크게 올랐다. 창경원 당국에 의하면 지난 5년 사이 국제가격이 가장 많이 뛴 짐승은 아기집을 가져 어린

    중앙일보

    1974.09.05 00:00

  • 멸종위기 동물보호 호 악어가죽 등 금수

    일년전에 집권한 호주의 노동당 정부는 악어가죽과 「캉가루」가죽의 대외수출을 금지시키는 반면 고래고기의 수입을 불법화했는데 그것은 포유동물·조류·파충류 등 멸종위기에 놓인 동물들을

    중앙일보

    1974.06.05 00:00

  • 어린이대공원에 들어오는-세계서 가장 작은말|미 「애리조나」산 「포니」 12마리 4월에 입주 예정

    세계에서 가장 작은 조랑말인 미국 「애리조나」산 「포니」 12마리가 서울 어린이대공원에 들어온다. 11일 서울시 당국에 따르면 이 「포니」는 미국 「애리조나」주 「투손」시에 사는

    중앙일보

    1974.03.11 00:00

  • (370)제주 문주란

    짙은 꽃 냄새가 해풍에 은은히 풍긴다. 사방을 둘러봐도 문주란 향기뿐 인적마저 끊긴 조그만 모래 섬-제주도 북제주군 구좌면 하도리 난석서 속칭 토끼섬. 이곳은 8월의 뙤약볕아래

    중앙일보

    1973.08.18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