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프랑스작가 아르망 조각展 - 16일까지 서울 예화랑

    천안시에서는 고속버스 터미널을 찾아가는 지표(地標)로 흔히 그앞에 세워진 높이 20의 거대한 조각물이 거론된다. 기차 차축을 차곡차곡 포개 쌓아 여행길의 떠남과 출발을 상징해 터미

    중앙일보

    1997.07.01 00:00

  • 마포 신수동 - 조선때 솥.농기구 만드는 집 밀집된 곳

    마포구신수동은 옛 이름'수철리(水鐵里)'에서 유래된 동명이다.'수철'이란'물+쇠'의 한자식 표기로 신수동109~110 일대를 지금도'무쇠막'또는'무수막'이라고 부르듯 이곳에 달군

    중앙일보

    1997.05.12 00:00

  • '사랑의 학교' E.데 아미치스 著

    어린시절 동화를 즐겨 읽은 독자라면 생생히 기억나는 엔리코.초등학교 4학년인 엔리코의 1년간 학교생활을 일기형식으로 기록한 이 동화는 국내에서만 10여종의 축약본이 나오는등 전세계

    중앙일보

    1997.03.14 00:00

  • 친근감 주는 철골구조 욕실수납장

    프랑스 제과점의 빵 진열대를 축소한 듯한 욕실 수납장. 칸막이가 없어 시원한데다 대장장이가 빚어낸 철물을 사용,고풍스러운 느낌도 맛볼 수 있다. 담쟁이 형태의 장식과 철골 구조가

    중앙일보

    1996.07.21 00:00

  • 청바지값 세계1위

    미국 영화 『에덴의 동쪽』과 『이유없는 반항』의 제임스 딘은1950년대 세계 젊은이들의 우상(偶像)이었다.이들 영화에서 딘이 입고 나온 진바지는 세계적으로 유행,남녀노소 할 것 없

    중앙일보

    1996.06.23 00:00

  • 달아 높이곰 돋아사

    정길례여사도 이렇게 마당에 나와 아리영을 기다리고 있었다. 정여사도 이렇게 하얀 도포 비슷한 실크 누비 가운을 입고 있었다. 그것은 우연의 일치라 하더라도 느낌이 같았다.이른 봄

    중앙일보

    1996.05.12 00:00

  • 겨울밤의 옛날이야기

    나이 듬직한 사람에게는 어른들의 옛날이야기 듣기를 즐겼던 어릴적 추억이 없을 수 없다.헛기침으로 목소리를 가다듬은 다음「옛날 호랑이 담배필 적에」로 시작해「그후로는 잘 살았대」로

    중앙일보

    1995.11.28 00:00

  • 工아닌 匠되는 사회

    사고가 났을 때마다 나오는『그토록 여러 번 지시를 했는데도…』라는 개탄이 모든 것을 다 변명해 줄 수는 없다.지시만 내리면 모든 것이 뜻한 대로 술술 굴러가는 사회였다면 대구(大邱

    중앙일보

    1995.05.03 00:00

  • 능력급制의 4誡命

    증권사들이 능력급 또는 성과급(인센티브)制를 본격적으로 도입한다는 소식이다.아직 구체적인 내용을 밝히고 있지는 않지만 몇몇 회사는 이미 상당한 정도 연구가 진행됐고 어떤 회사는 연

    중앙일보

    1995.05.03 00:00

  • 달아 높이곰 돋아사

    처용가(處容歌) ⑩ 애초 길례가 아리영 아버지에게 끌린 것은딸 아리영에 대한 그의 지극함 때문이었다. 아버지가 그리웠다.그 그리움이 아리영 아버지에게 관심을 갖게했다. 아버지 생각

    중앙일보

    1995.04.12 00:00

  • 불교소설"차크라 바르틴"쓴 城樂胄씨

    『젊은 시절을 서양문화의 홍수 속에서 보냈습니다.「벤허」나 「쿠오바디스」같은 작품들이 인상 깊었습니다.서양은 그들 문명의뿌리라 할 수 있는 예수나 그의 시대를 온갖 예술장르로 형상

    중앙일보

    1995.04.04 00:00

  • 달아 높이곰 돋아사

    안데르센의 『엄지공주』 생각이 났다. 묘한 작품이라 싶었다. 등장 인물의 면면이 길례 주변에 나타난 남자들을 떠올리게 하기 때문이다.길례의 첫 남자도 「나비」였다. 지적(知的) 호

    중앙일보

    1995.03.04 00:00

  • 鍛鍊-좋은쇠를 얻기위해 두드리고 녹이는 과정

    鍛은 金과 段의 합성자며 段은 石(돌)의 변형인 과 수(창. 찌르다,치다)의 결합으로 「돌을 쪼는 것」 또는 「쪼은 돌」을뜻한다.계단(階段)의 段은 「쪼은 돌」(섬돌)로 층계(階)

    중앙일보

    1995.02.13 00:00

  • 우리회사 1호 제품 59년 독일기계로 생산…불량품 많아 반품사태로 고전

    흔히 면도를 남성만의 전유물이라 하지만 우리나라에선 여성이 남성보다 훨씬 오래 전부터 면도를 해왔다. 족집게도 있었지만 주로「실뽑개」라고 불리는 두 가닥의 명주실을 얼굴에 대고 문

    중앙일보

    1992.07.11 00:00

  • "말도 맞는「신발」신어야 잘 뛰죠"|말굽에 편자 달기 50년

    육상선수에게 발에 맞는 운동화가 기본이듯 말도 올바른 편자를 달아야 잘 뛸 수 있다. 말굽을 제대로 깎아내고 거기에 딱 맞는 편자를 대는 일은 속도가 생명인 경주마에게는 특히 중요

    중앙일보

    1992.04.03 00:00

  • 사회·교양

    □…MBC-TV『내고향 좋을씨고」(20일 밤6시45분)=「3대째 대장간-충남당진」. 3대째 농사·굴 채취등의 작업에 사용되는 기구들을 생산하는 당진의 대장간을 소개한다. 꿋꿋이 자

    중앙일보

    1991.12.20 00:00

  • “남이 만드는 것은 만들지 않는다”/타계한 일 혼다창업자 스토리

    일본 혼다(본전) 기연공업 창업자인 혼다 소이치로(본전종일랑)씨가 5일 84세를 일기로 사망했다. 시즈오카(정강)현 대장장이의 장남으로 국민학교만 나온후 21세때인 1928년 자동

    중앙일보

    1991.08.06 00:00

  • 새 음반

    고악기를 연주하는 피아니스트로 유명한 외르크 데무스가 베토벤 『엘리제를 위하여』, 헨델 『유쾌한 대장장이』, 모차르트『터키 행진곡』, 슈만 『트로이 멜라이』, 리스트 『사랑의 꿈』

    중앙일보

    1991.07.19 00:00

  • 세계의 명품(13)일 혼다 경주용차|"남이 만드는 건 만들지 않는다"

    일본의 장인 정신은 「남이 흉내낼 수 없는 것을 만들어낸다」는 독보 정신에서 출발한다. 조그만 우동 가게에서 자동차·전자 제품에 이르기까지 「세계유일의 것」을 만든다는 자부심이 일

    중앙일보

    1991.03.28 00:00

  • (6)「모래판 악동」강호동

    한국의 전통스포츠인 씨름에 있어 90년은 한마디로 「대권이양의 해」였다. 민속씨름이 출범하던 83년 당시 약관의 나이로 초대 천하장사에 올라 천하장사 10회 우승이라는 전무후무할

    중앙일보

    1990.12.08 00:00

  • 명단공개(분수대)

    어두운 밤(석)에 사람을 분별하기 어려워 입(구)으로 아무개라고 부른다는 뜻에서 「명」자가 생겨났다. 이름은 사람의 존재를 확인하는 상징이다. 「존재를 확인한다」는 것은 그 사람의

    중앙일보

    1990.10.19 00:00

  • 주말명화

    KBS 제3TV『세계명작감상』(3일 낮12시)=「위대한 유산」. 영국대문호「찰스·디킨스」의 소설을 『콰이강의 다리』의 감독 「데이비드·린」이 영화화했다. 대장장이 견습생「피프」는

    중앙일보

    1988.07.02 00:00

  • 헝가리 집시악단 서울방문

    헝가리 집시악단이 서울에 왔다. 헝가리 통상사절단의 서울 헝가리주간행사(9일까지)에 참석키 위해 5월31일 내한한 형가리집시악단은「라스로·올라」(Lasjlo Olah) 악단장과 4

    중앙일보

    1988.06.01 00:00

  • 불륜

    그리스신화에서는 신들의 스캔들이 로맨스로 미화되는 경우가 허다하다. 인간세상에서는 도저히 용서받을 수 없는 불륜을 그들은 서슴없이 저지른다. 그 가운데서도 사랑의 여신 「아프로디테

    중앙일보

    1988.01.25 00:00